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출신대학 소재지가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첫 일자리를 중심으로

        연보라,이승진,장희원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5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8 No.2

        Using a sample from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2011 data,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 location of former college on labor market outcomes. The difference in labor market performance was examine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former college from which one is graduated is located in Seoul or in capital areas. To this end, this study employed propensity score matching to minimize selection bias, and thereby analyzed students with similar attributes prior to the entrance of universities. The results reveal that graduates from universities in Seoul, as well as those from universities located in the capital area, exhibit better labor market performance in terms of wage level or size of the companie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imply that it is highly likely for graduates from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or in capital areas to get the windward of the labor market outcomes. 본 연구에서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조사된 2011년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OMS2011)자료를 활용하여 출신대학 소재지가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분석하였다. 그리하여 서울 소재 대학 졸업 또는 수도권 소재 대학 졸업 여부에 따라 첫 직장의 노동시장 성과에 차이가 존재하는지 분석하였으며, 기업체 규모 및임금, 비정규직 여부 등을 노동시장 성과의 다각적인 측면을 고려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선택편의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경향점수 매칭방법(propensity score matching)을 사용하여 대학 입학 이전의 유사한 특성을 지닌 서울/비서울 소재 대학 졸업생들과 수도권/비수도권 소재 대학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출신대학 소재지는 첫 직장의 노동시장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 소재 대학 졸업생들은 비서울지역 대학 졸업자들에비하여 기업체 규모 및 임금에서 더 좋은 노동시장 성과를 거두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수도권 소재 대학 졸업생들과 비수도권 소재 대학 졸업생들의 분석 결과에서도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술한 결과는 개인의 배경이나 대학 입학 이전 특성, 대학 위세 등에서 유사한 특성을 지녔을지라도 출신대학 소재지에 따라 노동시장 성과에 차이가 존재할 개연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국제결혼이주여성의 학교활동 참여 결정요인: 초등학생 학부모를 중심으로

        연보라,김경근 한국교육사회학회 2012 교육사회학연구 Vol.22 No.2

        Using data from 2009 National Survey on Multicultural Families, this study explor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determinants of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s participation in school activities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and examines how the relationships vary by their country of origin employ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exhibit that socioeconomic status(SES) in Korea perceived by migrant women exerts both a negative direct effect on and a positive indirect effect on participation in school activities. As a result, the total effect of SES in Korea perceived by migrant women turns out to be more or less trivial and statistically nonsignificant. In contrast, migrant women's SES during their stay in their country of origin does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ir participation in school activities. Contrary to a priori expectations, fluency in Korean tends to dampen migrant women's participation in school activities rather than facilitate it. As could be expected, however, the stronger the migrant women's feeling of discrimination, the less likely they are to participate in school activities. It is also found that those women with greater demand for educational support a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school activities than those women with lesser demand for it. Finally, the stronger the migrant women's tendency to mingle with their Korean neighbors, the more likely they are to participate in school activities. Meanwhile, the results from multi-group analysis show that those women from Japan are considerably less affected by their SES in Korea and demand for educational support in participating in school activities than their counterparts from other countries. 본 연구에서는 2009년 전국다문화실태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국제결혼이주여성의 학교활동 참여를 결정하는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그 관계가 이주여성의 출신 국가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자녀를 둔 국제결혼이주여성 7,779명이며, 분석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이주여성의 한국에서의 높은 사회경제적 지위가 직접적으로는 학교활동 참여를 억제하지만, 간접적으로는 차별의식 완화를 통해 학교활동 참여를 촉진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이에 따라 전체적으로는 이주여성의 한국에서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학교활동 참여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주여성의 모국에서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학교활동 참여에 유의미한 정적 효과를 발휘했다. 선험적 기대와는 달리, 우수한 한국어 능력은 학교활동 참여를 촉진하기보다는 오히려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리고 이주여성이 차별의식을 강하게 느끼면 학교활동 참여가 부정적 영향을 받지만, 교육지원 요구가 강하면 전체적으로 학교활동 참여도 다소 활발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한국인과의 교류가 활발한 이주여성일수록 학교활동 참여에도 적극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다집단 분석 결과는 다른 국가 출신에 비해 일본 출신 이주여성의 경우 학교활동 참여가 한국에서의 사회경제적 지위나 교육지원 수요에 의해 영향을 받는 정도가 작음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대학생의 중도탈락 시기 및 영향요인 분석

        연보라,장희원 한국교육사회학회 2015 교육사회학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대학생 중도탈락 시기를 살펴보고 중도탈락 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교육체제로부터의 탈락 초점을 두고 대학 중도탈락 현상을 살펴보았으며,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1~9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대학에 입학한 경험이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생존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입학 이후 최초 1년 미만과 3년에서 4년 사이의 기간에 대학중도탈락의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중도탈락 시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 고등학교 당시 교육포부, 고등학교 유형, 진로진학 교육경험 등의 변인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최근 한국에서 증가하고 있는 고등교육체제로부터의 중도탈락 현상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대비책과 관련 정책방안을 구안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Drawing on the first to ninth data(2004-2012),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emporal aspects and determinants of college student departure by applying event history model. Specifically focusing on system departure rather than institutional departure, the result from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suggests that 0 to 1 year and 3 to 4 year after entrance exhibit higher risks of student departure. Moreover, variables such as sex, educational aspiration at high school, track of secondary education, and experience in career education or extracurricular activities exert significant effects on student departure. Findings from this research are expected to lead to in-depth knowledge on increasing college student departure in the Republic of Korea as well as to contribute to develop policy measures to prevent students from leaving colle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