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별불가사리로부터 분리된 Asterosaponin P<sub>1</sub>의 항노화 효능

        진무현 ( Mu Hyun Jin ),이소영 ( So Young Lee ),여혜린 ( Hyerin Yeo ),김효진 ( Hyo Jin Kim ),장윤희 ( Yun Hee Chang ) 대한화장품학회 2018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4 No.4

        별불가사리(Asterina pectinifera Muller and Troschel)는 우리나라 전국 연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토속종으로, 패류 양식장에 피해를 주는 불가사리류 중의 하나이다. 별불가사리 퇴치를 위해 대부분 건조하여 비료로 활용하고 있으며,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실제 활용은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별불가사리로부터 피부 유용성분을 밝혀 새로운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성분연구를 통해 별불가사리로 부터 2종의 polyhydroxysteroid와 1종의 saponin을 분리하였으며, 이의 구조를 각각 5α-cholestane-3β,6α,7α,8,15α,16β,26-heptol, 5α-cholestane-3β,4β,6α,7α,8,15β,16β,26-octol 및 asterosaponin P<sub>1</sub>으로 동정하였다. 이 물질들의 피부 효능을 확인한 결과 asterosaponin P<sub>1</sub>이 표피 줄기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키고, 각질형성세포에서 히알루론산을 합성하는 효소인 hyaluronan synthase-2와 hyaluronan synthase-3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asterosaponin P<sub>1</sub>은 섬유아세포에서 진피의 주요 콜라겐인 type 1 콜라겐의 생합성을 촉진하는 효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별불가사리로부터 분리한 asterosaponin P<sub>1</sub>은 노화에 동반되는 피부 증상을 개선하는 항노화 화장품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starfish, Asterina pectinifera Muller and Troschel (Asterinidae) is an indigenous species commonly found in all coasts of Korea causes damages to shellfish farms. In order to exterminate A. pectinifera, they are dried and used as fertilizer. Although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create high added value from the retrieved A. pectinifera, their actual utilization is relatively low.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to find new practical uses of starfish by identifying useful ingredients for skin anti-aging. Two polyhydroxysteroids and one asterosaponin were isolated from the A. pectinifera. The structures of these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5α-cholestane-3β,6α,7α,8,15α,16β,26-heptol, 5α-cholestane-3β,4β,6α,7α,8,15β,16β,26-octol, and asterosaponin P<sub>1</sub> on the basis of chemical and spectroscopic analysis. Among these compounds, we have found that asterosaponin P<sub>1</sub> increased epidermal stem cell proliferation and the expression of hyaluronan synthase-2 and hyaluronan synthase-3 gene, which are enzymes that synthesize water-binding matrix hyaluronic acids in keratinocytes. In addition, asterosaponin P<sub>1</sub> increased synthesis of pro-collagen type I, a major dermal collagen in fibroblasts. As a result, asterosaponin P<sub>1</sub> isolated from A. pectinifera could be used as a useful cosmetic ingredient that improves skin symptoms accompanying skin aging.

      • KCI등재

        Paeonol에 의한 표피줄기세포 활성화

        김도형 ( Do Hyung Kim ),김효진 ( Hyo Jin Kim ),여혜린 ( Hyerin Yeo ),이천구 ( Cheon Goo Lee ),이상화 ( Sang Hwa Lee ) 대한화장품학회 2016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2 No.2

        피부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표피는 개체의 생존에 절대적으로 중요하며, 기저막에 위치한 표피줄기세포에 의해 평생 끊임없이 재생되고 있다. 표피줄기세포는 한정된 세포분열을 진행하고 각질세포로 분화하는 transit amplifying (TA)세포를 만들어 냄으로써 오랜 기간 재생에 필요한 많은 각질세포를 만들어 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표피줄기세포 세포분열 활성화 화합물로 목단으로부터 추출한 페오놀(paeonol)을 350여 개의 화합물들로부터 검색해 냈다. 이러한 세포분열 활성화 효능은 표피줄기세포 특이적으로 나타나며, 표피줄기세포의 지표로 알려진 p63 단백질의 발현 경향은 페오놀을 처리한 표피줄기세포에서 변화하지 않음을 유세포분석법으로 확인하였다. 콜로니형성 분석에서는 페오놀을 처리한 표피줄기세포가 1.3배 이상 더 나은 콜로니 형성능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PCR array 분석을 통해서 페오놀의 효능은 여러 신호전달에 의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페오놀이 줄기세포성에 영향을 주지 않고 표피줄기세포의 재생능력을 향상시키므로 표피줄기 세포 활성화 물질로서 화장품 소재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Epidermis is continuously regenerated by keratinocyte stem cells (KSCs) residing in basement membrane, which is critical to the survival of an organism. KSCs are believed to persist during the whole lifetime and generate an enormous number of keratinocytes, required for the maintenance of epidermis, through transit amplifying cells dividing definite times until they become differentiated. In this report, we have developed a phenolic compound, paeonol, purified from Moutan Cortex, as a KSC proliferation activator, by screening about 350 herbal compounds. The cell proliferation activation by paeonol is specific for KSC not for keratinocyte,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ression of p63 protein, a KSC marker, in KSCs treated with paeonol was observed in FACS analysis with anti-p63 antibody. In the colony forming assay, paeonol-treated KSC showed improved colony forming activity more than 1.3 fold. In addition, the result of PCR array shows that the activity of paeonol is through several signal pathways involving stem cell func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aeonol could enhance KSC proliferation activity without reduction in stemness and could be applied to cosmetics as a KSC activating ingredi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