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論文>도시주거빈곤가구의 공간적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대구광역시 사례연구-

        여창환,김재익 한국주택학회 2003 주택연구 Vol.11 No.2

        주거 빈곤은 많은 나라에서 최우선의 정책과제로 받아들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주거빈곤을 해소하기 위해 주거빈곤기준을 설정하는 등 정책적 관심을 표명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지방화시대에서 도시내의 주거빈곤가구의 분포와 그 특성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대구 광역시를 대상으로 주거빈곤에 관한 세가지 가설을 세우고 이를 통계적으로 검정함으로서 시설기준 및 방수기준의 주거빈곤가구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기준의 주거빈곤의 경우는 주택점유형태와는 상관이 없으나 주택유형과는 매우 깊은 관련이 있다. 즉 시설기준의 주거빈곤가구 중 아파트 혹은 연립주택에 거주하는 가구는 1.4%에 지나지 않은 반면 단독주택은 90.3%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방수기준 주거빈곤의 경우는 주택유형과는 별 상관없으나 주택점유형태와는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설기준과 방수기준 모두 주거빈곤가구의 권역별 공간적 분포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도시발전과정과 이에 따른 도로망의 구축, 전통적 주거지와 신개발지등의 차이가 반영되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본 연구는 그러나 주거빈곤을 규정함에 있어 필수적인 정보라고 할 수 있는 소득과 주거비에 대한 치료를 사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향후 보다 세련된 연구를 위해서는 소득수준과 주거비용(임대료 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건설교통부가 고시한 최저주거기준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 확보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The Spatial Mismatch between Population Ageing and the Level of Public Welfare Service

        여창환,조덕호 한국경제지리학회 2016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9 No.2

        The increase of elderly population is inevitable a universal trend in developed countries. The Korea also followed this tendency. Especially the elderly population in Korea has been rapidly increasing since the 1990s. The rural population is aging more rapidly than the urban one because younger generations move into the urban area, due to better jobs and children education’s opportunities. However, the majority of studies on population ageing are focused on the urban area rather than the rural ones. Rural areas also have been excluded as a priority of the national welfare policy for the elderly people. This paper tries to analyze the population ageing among regions and to identify the regional disparity between the elderly people and the level of public services in the rural area. Based upon these results, this study notes some policy alternatives for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of the rural elderly. It also suggests on the suitable location of public service facilities in the rural areas.

      • KCI등재

        도시개발에 따른 환경변화 측정을 위한 표면온도, 정규식생지수 및 불투수면적 비율 지표의 적절성 분석

        여창환,김재익,현준용 한국지적학회 2017 한국지적학회지 Vol.33 No.3

        This research tries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among indices of urban expansion: surface temperature, vegetation and impervious surface area. In many cases,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the change is measured by land surface temperature and vegetation level using remote sensing data. The values derived from the remote sensing data such as landsat satellite imagery are sensitively depend on season, air flow, and humidity.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this research proposes a new measure of the microclimate change-percent impervious surface area(%ISA) calculated by overlay analysis of vector data, the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and compares it with existing the two measures. The vector data based %ISA measures surface area covered by urban materials, such as cement, asphalt, and iron. Therefore, it is free from seasonal variation, air flow, and humidity.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proves that %ISA, among three urban microclimate change indices, is most consistent and effective index. In addition, when comparing the results in cross sectional analysis with those in period(2001-2014), the impervious area index showed the most consistent results rather than others. 도시개발은 필연적으로 지표면의 변화를 유발한다. 예를 들어 도시 와곽지역에서의 신규 개발은 농지나 임야 등의 지표면을 도로, 건축물 등 인공적인 지표면으로 전환한다. 도시개발로 인한 지표면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대표적인 지수로는 표면온도, 정규식생지수, 불투수면적 비율 등이 주로 활용된다. 최근 위성영상 자료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분석기법도 발전하면서 위성영상을 통해 다양한 환경지수들을 추출하고 있다. 또, 위성영상은 자료 획득 및 자료구축이 용이한 장점도 있다. 그러나 위성영상은 자료 특성상 계절과 기후, 온도 등 외부 자연적 환경에 민감한 영향을 받으며 분석결과에도 영향을 미친다. 위성영상 자료로 측정된 불투수면적 지수도 이와 같은 오차가 포함되어 있어 다양한 계산방법들이 소개되고 있다. 본 연구도 이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벡터 자료 기반의 국가공간정보를 중첩하여 개선된 불투수면적 지수를 제시하고 지수의 적절성을 평가하기 위해 기존의 지수들과 비교, 분석하였다. 벡터 자료를 기반으로 측정된 불투수면적 지수는 시멘트, 아스팔트 및 철과 같은 인공적 재료로 덮인 표면을 추출하여 측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된 불투수면적 지수는 위성영상 촬영시의 외부적 요인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리고 시기적인 변화에서도 단일시기와 변화(2001-2014)를 비교하였을 때, 특정시기의 영향이외에 개발과정에서의 변화량간의 관계에서도 불투수면적 지수가 가장 일관성있는 결과치를 보여 도시 미기후 지수로써 적절성을 제시하였다.

      • 지역균형발전 측면의 충청남도 GRDP 성장요인과 성장주도산업의 공간적 입지특성

        여창환,김동춘,표기준 충남연구원 2009 충남연구 Vol.2 No.2

        최근 들어 국토균형개발, 지역균형성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편, 충청남도는 2002년 이후 GRDP 성장률이 전국1위를 고수하고 있으며, 최근 사회적으로 관심을 모우고 있는 세종시개발의 중심이 되고 있는 지역이다. 본 연구는 충청남도 GRDP 성장률의 원인이 산업구조적 측면에서 어떤 산업의 성장 때문인지를 살펴보고 또 이들 산업이 충청남도 자체성장요인인지 아니면 국가전체 산업성장이나 산업구조적 이점 때문인지를 변이할당분석기법을 통해 규명한다. 여기서 도출된 성장주도산업의 공간적 입지특성을 입지계수분석기법을 통해 도출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도출된 각종 분석결과는 지리정보시스템에 통합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된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충청남도의 성장은 2002년 이후 급격하게 성장한 제조업의 성장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 충청남도 GRDP 중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 또한 다른 지역에 비해 현격하게 높은 수준이었다. 이들 제조업은 충청남도에 포함되어 있는 읍면동 중에 수도권과 접근이 양호한 지역에 상대적으로 많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비추어볼 때, 충청남도의 GRDP 성장은 수도권규제, 특히 공장총량제와 같은 제조업규제로 인한 반사이익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것은 수도권규제완화라는 정책방향의 전환에 따라 쉽게 성장률의 약화로 전환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따라서 충청남도의 지속적 성장을 위해서는 세종시와 같은 복합적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성장거점지역을 중심으로 현재의 수도권 인접지역에 편중되어 있는 성장거점과 병행하여 낙후지역의 차별화된 지역개발계획 및 개발컨텐츠의 발굴을 통해 국가적 차원 및 지역적 차원의 균형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find the factors of GRDP growth and spatial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growth-leading industries in Chungcheongnam-Do, and to present policy implications fo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In this paper, the method of practical analysis utilizes shift share analysis, location quotient(LQ), and GIS spatial analysis. Shift share analysis is used to analyze the factor of GRDP growth in, growth-leading industries. Location quotient is used to present spatial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growth-leading industries. The results of descriptive analysis are integrated into a GIS database syste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leading industries of the regional GRDP growth are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the transportation industry. According to the result of shift share analysis, the growth of these industries is due more to the regional shift(RS) than the national share(NS) or industry mix(IM). The spatial location of these industries is near the Capital Region. To be more exact, these findings showed that the locational specialization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is caused by a spillover effect of the regulation policies in the Capital Region(Especially, the total industrial site volume control system). Thus, to maintain continuous growth of Chungcheongnam-Do and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trategic growth area such as Sejong City, near the Capital Region. Simultaneously, policy support for the depressed areas in the region is need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