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5~6세기 진주지역 토기양식의 특징과 매장의례의 변천

        여창현(Yeo, Changhyun) 한국고고학회 2021 한국고고학보 Vol.- No.119

        진주지역의 후기 가야 토기양식이나 집단의 변천에 관한 연구는 소가야양식 토기 범위라고 일컫는 고성을 포함한 남해안 일대와 경남 서부지역을 아우르는 넓은 범주에서 연구되어 왔다. 필자는 최근의 발굴 성과를 반영하여 시기별 진주지역 토기양식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주요 고분군의 성립과 변동에 따른 토기조합유형을 중심으로 매장의례의 변천과 고분군 축조 집단의 성격을 밝혀 보고자 하였다. 먼저 토기 형식분류를 시도하고, 시기별 변화와 특징을 6단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진주지역 토기양식의 성립(Ⅰ~Ⅱ단계)은 아라가야의 지배층 무덤으로 알려진 말이산 고분군 내 잔자갈 관상을 설치한 대형목곽묘와 전환기 토기류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5세기 후반에서 6세기 초 무렵(Ⅲ~Ⅴ단계)까지 토기복합체의 구성과 함께 특징적인 토기 조합유형이 나타나고, 다곽식 묘제의 출현과 토기제사법의 성립과정 속에서 일련의 매장의례가 공유된다. 5세기 후반까지 무촌 고분군 축조 집단은 생산(상촌리 토기 가마)· 유통 체계(고분군·소하천)가 형성되면서 중심고분군으로 성장하였고, 6세기가 되면 다곽식의 고총 고분이 축조되는 무듬산 일대의 가좌동 고분군이 중심고분군으로 대두된다. 고총 고분의 성립과 함께 토기 조합유형은더욱 정형화되고, 토기제사법은 봉토의 외부까지 확대되어 행해진다. 이후 토기양식이 쇠퇴·소멸(Ⅵ단계)되면서 새로운 묘제인 횡혈식석실묘가 도입되고, 정형화된 토기 조합유형과 매장의례는 사라지고 중심고분군은 수정동·옥봉 고분군으로 이동된다. 진주지역의 고분군 축조 집단은 한 세기 동안 특징적인 토기복합체를 무덤에 소비·부장하고, 정형화된 토기 조합유형을 매개로 매장의례를 공유하면서 변천한다. 또한 매장의례의 변화는 목곽묘에서 수혈식석곽묘로의 전환, 다곽식석곽묘의 성립, 새로운 묘제인 횡혈식석실묘의 출현 등 묘제의 변천과 깊게 관련된다. The transformation of late Gaya pottery styles and groups in the Jinju area has been examined over a broad geographical range, covering the southern coastal region (including Goseong) which is referred to as the Sogaya-style pottery zone, and the region of western Gyeongsangnam-do. This paper proposes that Jinju area was characterized by the composition and development of a material complex distinct from other Sogaya areas, with a change in pottery taking place as the result of a change in the burial mounds. First, the pottery was classified into in six stag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age, as well as the overall nature of change, was examined. The establishment of Jinju pottery (Stages Ⅰ-Ⅱ) is believ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large wooden tombs of the Marisan Burial Ground (known to be the tombs of Ara Gaya’s ruling elite) and transitional pottery found within. Later, from the late 5th century to the early 6th century (Stages Ⅱ-Ⅴ), a distinctive pottery complex came to be established as a result of the development of a formalized type of burial. By the second half of the 5th century, the group that constructed the tombs of the Muchon Burial Ground grew into a central group with the establishment of a production (Sangchon-ri pottery kiln) and distribution system; by the 6th century, the Gajwa-dong Burial Ground were formed. Along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ancient tombs, the pottery complex associated burial mounds was further formalized, and pottery rituals were extended to outside the mound. Later, as the pottery style declined and disappeared, a new type of burial mound was introduced, and the formalized burial and pottery ritual methods disappeared. As a result, the Sujeong-dong and Okbong Burial Grounds emerged as the central tomb complexes. Over a century, the groups that constructed the ancient tombs in the Jinju area changed their status by sharing burial rituals which involved the formalized use of pottery. This sharing of burial rituals continued until the pottery style disappeared and collapsed; new central burial grounds subsequently emerged and new burial rituals came to be introduced.

      • KCI등재

        소가야지역 중심고분군의 변동성과 의미

        여창현(Changhyun Yeo) 한국상고사학회 2023 한국상고사학보 Vol.119 No.119

        본고에서는 5세기 초부터 6세기 중후반에 걸쳐 남강 수계의 경남 서남부 지역과 고성~마산 일대의 남해 연안 지역에서 형성되고 성장한 소가야 집단의 성격과 집단 내부의 상호 관계를 파악하고자 고고학적 물질문화의 지표를 설정하고 중심고분군-하위고분군의 변동성에서 찾아보고자 하였다. 소가야양식 토기의 성립은 전환기 대형목곽묘에 부장된 토기복합체에서 처음 나타나며, 이후 중심고분군들의 성장과 변동에 따라 토기양식의 분포정형에 영향을 끼친다. 소가야지역은 다수의 중심고분군이 시기에 따라 복수로 존재하기 때문에 후기 가야의 제 소국들의 토기양식 분포와는 차이가 있다. 소가야지역 초기 수장층의 무덤으로 볼 수 있는 전환기 대형목곽묘는 잔자갈과 소형 할석을 사용한 평상의 관상 구조로서 지역양식의 토기복합체가 부장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대형목곽묘는아라가야, 대가야, 다라국, 비화가야 등 내륙의 후기 가야의 초기 수장묘에 비해 고분군 내 입지, 매장주체부의 규모, 부장 유물의 수준에서 위계의 차이가 나타난다. 전환기 대형목곽묘에서 고총의 중심고분군으로 이어지는 후기 가야 고분군들의 성장 모델을 제시하고 그 양상을 비교한 결과, 소가야지역의 전환기 대형목곽묘는 대내외적인 복합 요인으로 대부분 고총 고분군으로 성장하지못한다. 합천 삼가 고분군은 후기 가야의 주요 소국들에 준하는 중심고분군으로 성장한 확장형A 모델, 고성 송학동 고분군은 6세기 이후 대외적인 교류의 기항지로서 급성장한 확장형B 모델로 상정하였다. 이 시기 소가야지역은 위세품의 분여나 그에 따른 통제의 모습은 보이지 않지만 고성송학동 고분군은 대가야⋅왜계 마구에서 백제계⋅신라계 착장용 금공품과 마구로 변화되는 부장유물의 모습이 보이므로 집단의 위계나 성격을 어느 정도 유추할 수 있다. 소가야지역의 전환기 대형목곽묘의 출현, 토기복합체의 분포정형과 등급화된 중심고분군의 변동성이 제 집단의 관계망과 위계화 정도를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다고 이해되지만 광역에 분포하는 토기양식의 현상과 중심고분군-하위고분군으로 관계된 집단의 내부 구조 모습은 다양한 물질자료의 해석과 틀이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In order to understand the nature and interrelationship of the Sogaya group formed and grown in the southwestern Gyeongnam region of the Namgang River water system and the southern coastal region of Goseong-Masan from the early 5th to the late 6th century, this paper attempted to establish indicators of archaeological material culture and find the volatility of the central ancient tomb group. The establishment of Sogaya-style earthenware appears for the first time in an earthenware complex buried in a large wooden tomb, and it affects the distribution pattern of earthenware-style according to the growth and fluctuations of the central ancient tombs. In the Sogaya area, there are multiple central ancient tombs depending on the period, so it is different from the distribution of earthenware styles in the late Gaya countries. The large wooden tomb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which can be seen as the tomb of the head of the Sogaya region, is a flat tubular structure using fine gravel and small stones, and a local-style earthenware complex is buried. Large wooden tombs with this structure show differences in hierarchy at the location, size of the burial site, and burial relics compared to the early burial tombs of the latter part Gaya in inland areas such as Aragaya, Daegaya, Daraguk, and Bihwagaya. As a result of presenting the growth model of the late Gaya tombs from the large wooden tombs to the central ancient tombs of the ancient tomb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most of the large wooden tombs in the Sogaya area could not grow into the ancient tombs due to internal and external complex factors. Hapcheon Samga Ancient Tombs were assumed to be an expanded A model that grew into a central ancient tomb group equivalent to the major small countries of Gaya, and Goseong Songhak-dong Ancient Tombs were assumed to be an expanded B model that grew rapidly as a port of external exchange after the 6th century. During this period, the Sogaya area did not show any control, but Songhak-dong Ancient Tombs showed gold pieces for Baekje and Silla dressing from Daegaya and Japan harnesses, so the hierarchy and character of the group can be inferred to some extent. Although it is understood that the emergence of large wooden tombs in the Soya area, the distribution of earthenware complexes, and the variability of the graded central tombs reflect the group's internal structure and hierarchy to some extent, the interpretation of various material data should be supplem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