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러시아 접속사 что의 비교소사 되기 과정 분석

        엄순천 ( Soon Cheon Eom ) 연세대학교 유럽사회문화연구소 2013 유럽사회문화 Vol.10 No.-

        본 논문의 목적은 что의 품사 전이 과정과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품사혼종 현상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을 통해 순수한 범주에 속하는 что와 중간 범주에 속하는 что의 의미, 문법, 통사적 특성들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아울러 이것이 일회적, 기계적인 현상이 아니라 장기간에 걸쳐 이루어지는 현상으로 언중들의 언어생활, 사회생활이 지속되는 한 계속 이어질 수밖에 없는 현상임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что가 거친 의문대명사→접속사→비교소사라는 2단계의 품사전이 과정 중 접속사사→비교소사의 과정을 분석했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 전이 과정에는 접속대명사, 접속소사 등의 혼종 범주가 존재하는데 저마다의 고유한 의미적, 구조적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더하여 본 논문에서는 연구의 주변부에 머물러 있던 비교소사 что에 대한 분석을 시도했지만 비교소사 что의 면면을 모두 밝히지는 못했다. 또 본 논문에서는 접속사 что와 비교소사 что의 경계설정을 시도했는데 이것이 그리 쉬운 작업은 아니었다. 하지만 접속사 что와 비교소사 что 의 주된 변별성은 문장에서의 위치와 기능임을 알 수 있었다. 먼저 문장에서 접속사 что는 종속복문에서 주절과 종속절 사이에 위치한다면 비교소사 что는 단문에서 주어와 술어 사이에 위치한다. 다음 기능에 있어, 접속사 что의 기능이 종속복문에서 주절과 종속절의 연결 관계를 실현하는 것이라면 비교소사 что의 기능은 다양한 비교 의미를 발화문 전체에 부가하는 것으로 연결 기능보다 비교 의미 전달 기능이 더 중요하고 기본적이다. 또 접속사 что에 의해 연결되는 언어 단위들의 관계가 양방향적이라면 비교소사 что는 자신이 강조하는 어휘나 어휘 군과의 연결 관계가 단일방향적이다. 하지만 이는 비교소사 что에 대한 연구의 일부이기 때문에 비교소사 что에 대한 보다 심도 깊은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 KCI등재

        A Comparison of the Conceptualization of Body Terms Head in Evenki and Korean Idiomatic Expressions

        엄순천 ( Soon Cheon Eom ) 한국러시아문학회 2015 러시아어문학 연구논집 Vol.48 No.-

        본 논문의 목적은 에벤키어와 한국어 신체어 중 머리가 포함된 관용표현의 개념화 양상을 그릇과 경로은유에 기초해서 비교 분석하는 것이었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 에벤키어는 그릇은유가, 한국어는 경로은유가 보다 더 생산적이었으며 대다수의 관용표현은 은환유복합구조였다. ‘머리는 그릇은유’에서 에벤키어와 한국어 모두 주체⇒기능ICM에 의해 머리⇒지적 능력에 환유적으로 사상되었다. 그런데 에벤키어에서 머리는 주로 기억에 사상되었고, 한국어에서는 좀 더 넓은 범위의 지적 능력이나 활동에 사상되었다. 또 에벤키어에서는 생각, 기억 등 지적 능력이나 활동이 물건에 가장 많이 비유되었다면 한국어에서는 귀중품, 물건, 유동성물질 등 다양한 영역에 비유되었다. 이는 에벤키인과 한국인의 삶의 방식의 차이가 인지와 언어에 반영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즉 타이가와 툰드라에서 자연적인 삶을 살아가는 에벤키인에게 가장 중요한 지적 능력이 기억이라면 보다 복잡한 문명사회에서 살아가는 한국인에게는 다방면의 지적 능력이 요구된다. 경로은유에서 에벤키어는 주로 부분⇒전체ICM에 의해 머리⇒주체에 환유적으로 사상되었으며 주체⇒기능ICM에 의한 머리⇒지적 능력의 환유적 사상은 극히 일부였다. 한국어의 경우 전체⇒부분ICM에 의한 머리⇒지적 활동이 이루어지는 장소, 부분⇒전체ICM에 의한 머리⇒주체, 주체⇒기능ICM에 의한 머리⇒지적 능력의 환유적으로 사상이 골고루 발견되었다. 또 에벤키어에서는 머리나 생각, 기억 등의 지적 능력이나 활동이 물건에 많이 비유된다면 한국어에서는 물건, 움직이는 물체, 바람, 샘 등 다양한 영역에 비유되었다. 에벤키어 경로은유는 힘은유와 개념적 은유가 상호작용하는 3중 은환유구조가 대부분이었다면 한국어경로은유는 3중, 4중, 5중 은환유구조로 에벤키어 보다 훨씬 복잡한 양상을 보였다. 이는 에벤키인과 한국인의 사회와 문화·생활환경의 차이를 말해주는 것으로 에벤키인의 문화 및 생활환경이 한국인보다 더 단순함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 영상도식 및 영상도식은유는 신체어가 포함된 관용표현의 개념화 양상 규명에 매우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문화, 문학> : 퉁구스 민족명의 어원 및 자명(自名) 분석: 에벤키족과 에벤족을 중심으로

        엄순천 ( Soon Cheon Eom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5 비교문화연구 Vol.39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he analysis of the origin meaning of Tungus, Evenki, Even. This is related with a close examination of origin of the Tungus, Evenki, Even. Etymology of Tungus is realited with the ancient peoples Dongho of China, a etymology of Evenki is realited with the ancient peoples Ohwan of China. Even is made by omitting the suffix -ki in Evenki. In addition, in Evenki and Even have variety names for themselves. There are reflect the difference in a residential area and lifestyle. The Evenki``s endonyms are birary, manegry, kilen, hamnigan, solon, ongkory, dunkan, ljamter, donki, ojvenki, orochon, ile, mata, hundysal. The Even``s endonyms are yvyn, even, evun, lamut, oroch, mene, dondydkil, dudke.

      • KCI등재

        에벤키족의 애니미즘 분석: 인간의 영혼관을 중심으로

        엄순천 ( Soon-cheon Eom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人文論叢 Vol.53 No.-

        본 논문의 목적은 에벤키족의 애니미즘 특히 인간의 영혼관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에벤키족의 보편적 관념 속에서 인간의 영혼은 새 영혼 오미, 그림자 영혼 하냔, 육신의 영혼 베옌의 3개이다. 오미는 1세가 되면 하냔으로 변신하므로 살아 있는 동안 인간의 영혼은 하냔과 베옌 2개이다. 인간의 영혼은 상계 오미룩의 오미(환생을 기다림) ⇒ 오미는 환생을 위해 중계로 이동 ⇒ 오미는 굴뚝을 지나 화덕에 도착 ⇒ 오미는 자궁으로 이동 및 안착 ⇒ 육신의 영혼 베옌의 탄생 ⇒ 1세 이후 오미는 하냔으로 변신(진정한 인간의 삶 시작) ⇒ 죽음과 동시에 하냔은 오미로 변신⇒ 상계 오미룩으로 이동(다시 환생을 기다림) ⇒ 환생을 위해 중계로 이동을 반복하면서 불멸하는 윤회의 삶을 산다. 애니미즘은 에벤키족 역사, 사회, 문화, 심리적 현상의 총합이며 그 핵심은 영혼의 유무나 영혼의 위무(慰撫)가 아니라 영혼의 윤회와 불멸을 통해 인간과 동식물의 영속(永續), 씨족과 생자(生者)의 건강과 평온 보장뿐만 아니라 동식물의 평온까지도 바라는 지극히 현실적이며 생태적인 세계관이다. In the universal notion of the Evenki, human souls are three: the bird soul Omi, the shadow soul Hanjan, and the physical soul Bεen. Omi transforms into Hanjan at the age of 1, so while alive, human souls are Hanjan and Bεen. The human soul is Omi in the heavenly world (waiting for reincarnation) ⇒ Omi moves to the middle world for reincarnation ⇒ Omi passes through the chimney and arrives at the oven ⇒ Omi moves and settles in the womb ⇒ the physical soul, Bεen, is born ⇒ after the age of 1, Omi transforms into Hanjan(the beginning of a real human life) ⇒ Hanjan transforms into Omi at the same time as death ⇒ moves to the heavenly world Omiruuk (waiting for reincarnation) ⇒ repeatedly moving to relay for reincarnation, he lives an immortal reincarnation life.

      • KCI등재

        에벤키족 씨족명 분포 현황 및 의미 분석: 바이(Baj), 킴(Kim), 샤마/사마(Shama/Sama)를 중심으로

        엄순천 ( Soon Cheon Eom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5 비교문화연구 Vol.41 No.-

        본 논문에서는 알타이어족, 예니세이어족, 고립어족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에벤키족 씨족명 어근 바이, 킴, 사마를 중심으로 해당 씨족명의 기원과 의미, 분포현황, 이동경로, 해당 씨족명이 존재하는 시베리아 제 민족 사이의 친연 관계를 규명했다. 씨족명 ‘바이’의 기원에 대해 아직 명확하게 규명된 바는 없지만 그 의미를 둘러싸고 ‘북쪽’, ‘흰색’, ‘풍요로운’ 혹은 ‘자연의’라는 세 가지 입장이 대립하고 있다. 씨족명 ‘바이~’는 시베리아 제민족 사이에 넓게 분포되어 있다. 먼저 알타이제어 만주-퉁구스어파에 속하는 에벤키, 에벤, 나나이, 울치, 오로크, 오로치, 만주족 그리고 몽고어파와 투르크어파에 분포되어 있으며 예니세이어족이나 고립어족에서도 발견된다. 하지만 이 어근의 씨족명이 에벤키족 사이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는 점으로 미루어 이 씨족명은 프리바이칼리예의 에벤키족에서 기원하여 인근의 부랴트, 몽골, 야쿠트족 사이로 넓게 전파된 뒤 이후 동쪽으로는 아무르강의 닙흐족, 북쪽으로는 유카기르와 케트족 같은 예니세이 고아시아제어권 민족, 서쪽으로는 엔츠족과 셀쿠프족 같은 사모예드제어권 민족에게로 전파된 것으로 보인다. 씨족명 ‘킴~’은 먼 고대에 기원하며 만주-퉁구스어파에 존재하는 유사한 단어, 에벤키족 씨족명 어근 ‘킴~’과 음성학적으로 유사한 중국인의 성 ‘김’, 에벤키족의 설화를 바탕으로 그 의미를 유추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씨족명 ‘킴~’은 ‘사람’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지만 금, 쇠, 돌과도 일정정도 관련이 있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또 씨족명 ‘킴~’은 시베리아 소수민족 사이에 널리 분포되어 있지만 에벤키족 사이에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으며 중국 인근과 페르시아에도 분포되어 있었다. 씨족명 ‘킴~’의 기원은 명확하게 규명할 수없지만 먼 고대 바이칼 인근의 에벤키족에 편입된 후 만주-퉁구스의 제민족 사이에 널리 전파되었고 더 나아가 투르크제민족 사이로 전파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씨족명 ‘샤마/사마~’는 알타이어족의 만주-퉁구스제어권, 투르크제어권, 우랄어족의 사모예드어제어권 민족 등 시베리아의 전역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음성적 형태도 무척 다양한데 에벤키족 사이에 가장 널리 분포되어 있다. 이 씨족명이 알타이어족과 우랄어족의 제민족 사이에서 발견된다는 점은 이 두 어족의 민족들이 아주 먼 과거에 관련이 있었다는 증거이다. 이 씨족명은 오로크족을 제외한 만주-퉁구스제어권의 모든 민족 사이에서 발견되는데 이에 대한 규명이 필요해 보인다. The subjects of analysis in this paper, the clan name roots “Baj,” “Kim,” and “Shama/Sama,” while distributed commonly among the Altai, Ye i, and isolated language groups, are most widely distributed among the Evenki. The clan name root “Baj-” is widely distributed among indigenous Siberian nations, but is most frequently found among the Manchu-Tungus, especially the Evenki. Therefore, it appears that clans with this root originated from Pribajkal``e, known to be the origin of the Evenki, and spread widely among the nearby Buryats, Mongols, and Yakuts, later spread east to the Nivhi of the Amur River, to the Enisej Protoasiatic language nations such as the Yukaghir or Ket to the north, and the Samoyed language group nations such as the Ne and Selkup.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in this paper, the Evenki clan name “Kim” has the meaning of “person,” but also is somewhat associated with gold, metal, or stone. On one hand, while the origin of the clan name “Kim” cannot be clearly established, the clan was assimilated into the Evenki near in ancient times, after which the clan name became widely known among the Manchu-Tungus nations, and furthermore in the Turk nations. The clan name Shama/sama is widely spread across Siberia, including the Manchu-Tungus language group nations of the Altai language family, the Turk language family, and the Samoyed language groups of the Ural language family. Moreover, this clan name is not associated with famous mythic ancestors or heroes of historically famous Asian nations, and it cannot be translated into contemporary language; thus the identification of the meaning and origins of this word is by no means an easy task.

      • KCI등재

        중국 문헌 속 북방지역 소수종족과 퉁구스족과의 관계 규명: 순록 관련 기록을 중심으로

        엄순천(Eom, Soon-Cheon) 충북대학교 러시아 알타이지역 연구소 2018 러시아학 Vol.- No.17

        The major production activities of Tungus were reindeer breeding. Based on the point of view,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nority ethnic Kitan(契 丹), Shibi(室韋), Dopa(都播), Balyago(拔也古), Kukkuk(菊國), Kui(鬼) and Tungus on the basis of Wiseo(魏書) (559), Buksa(北史) (659), Gudangseo(舊唐書) (945), Sindangseo(新唐書) (1060), Munheontonggo(文獻通考) (1307). Wiseo , Buksa , Munheontonggo were recorded of the 3rd and 6th centuries, Gudangseo , Sindangseo were recorded of the 7th and 9th centuries, but the life of minority ethnic recorded in the latter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former. Therefore, the situation of minority ethnic recorded in the above literature can be seen in the situation of the 4rd to 6th century. In the 4th and 6th centuries, Kitan lived in Zabajkal e and Pribajkal e and major production activities were hunting, supplementary activities were reindeer breeding. Kitan lived a nomadic life and had bo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rthern and southern factions of the Tungus. Shibi lived in Priamul e and major production activities of NamShibi were Livestock breeding and fishery, BukShibi-hunting of manta, deer, reindeer, the subject who provided reindeer to NamShibi is estimated BukShibi. In 3th and 6th centuries, in the life of Dopa the reindeer was meaning, but the Dopa was not engaged in reindeer breeding. In the 4th and 6th centuries, Balyago lived in south of Zabajkal e and major production activities were hunting of reindeer. The Kukkuk was likely to be a Tungus who was engaged in reindeer breeding in Zabajkal e, therefore, is estimated that the Tungus of the 4th and 7th centuries were already engaged in reindeer breeding. Kui lived in Zabajkal e, and the reindeer took an important place in life. Based on the voice similarity, it is presumed that Kukkuk and Kui were differentiated from the same Tungus and then became active in Zabajkal e and Pribajkal e.

      • KCI등재

        알타이족 샤머니즘의 기원 및 혼종성과 특수성 분석 : 에벤키족을 중심으로

        엄순천(Eom, Soon Cheon) 충북대학교 러시아 알타이지역 연구소 2020 러시아학 Vol.- No.20

        The only people in the world who use the term shaman are the Altai Tungus tribe. In the Altai Turkic, Mongolian and Tungus languages, no phonetic similarity is found between the words shaman. Thus, the shaman is a word that occurred after the eruption of the Altai tribe. The shaman comes from /hama/ sama-/, which means “shooting a bow” in Evenki. In addition, the Shama/ Sama-type clan names are most prevalent among the Evenki, as well as other clan names originating in the Evenki. Thus, seems the shamans originated in the ancient Evenki language. Evenki shamanism emerged based on the clan system, and It is the product of these mental cultures formed through historical bends in the harsh natural environments of Siberia and the Far East. In other words, the Shamanism of the Evenki is a religious phenomenon in which animism, totemism, space view, and spirit officer act in combination. Since then, the Altai shamanism has been constantly changing through clan movements, environmental differences, and exchanges with other cultures.

      • KCI등재

        죽음과 상례(喪禮)에 나타난 에벤족의 영혼관

        엄순천(Eom, Soon Cheon) 충북대학교 러시아 알타이지역 연구소 2021 러시아학 Vol.- No.22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clarify the Even’s view of the soul through related funeral. In the funeral of the Even, ideas from various eras, such as the view of universe, life and death, view of soul, totemism, and shamanism, were mixed together, and christian elements were accepted along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group, creating an original model, but the traces of traditional beliefs are still preserved. A adult’s funeral usually goes through the ritual to straighten out the dead body ⇒ ritual to wash and shroud dead body ⇒ funeral ⇒ meal ⇒ return home ⇒ purification’s rite. In the traditional funeral methods of the Even, there are a wooden funeral, where a coffin is placed on a tall tree top or a wooden post, and a ground jang, where a coffin is placed by making a square structure with wooden poles or pillars on the ground. Wooden funerals are the oldest funeral method, and after Christian acceptance, all turned into burial. Churima is a house where the dead will live in the underworld, and hɛvɛ is a storage warehouse for the dead’s belongings. It is an essential element of the Even funeral, and this tradition is still maintained. Since reindeer are a means of transportation for the deceased to ride to the underworld, the rite of dedication of reindeer was essential in the past Even funeral. The taboo that family members and relatives of the deceased have to keep, which has been passed down to the Eben since ancient times, is basically due to fear of the souls of the dead. Blood, fire, and birds are used as main motif in the entire process of funeral of the even.

      • KCI등재

        나나이어(허저어)의 문법・형태적 특징 분석

        엄순천(Eom, Soon-Cheon) 충북대학교 러시아 알타이지역 연구소 2017 러시아학 Vol.- No.15

        Nanai language is the language spoken by Nanai people and belongs to the Southeastern Nanai Group of the Southern Faction of the Tungusic Group of the Altaic Family. Nanai language greatly influenced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other languages of the Southern Faction of Tungusic Group and its importance stands out in the genealogical study of Korean language as it is in the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Nivkh language which belongs to Evenki, Manchurian, and ancient Asian languag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Nanai language in terms of its external experience, it is closer to Mongol Faction than Turkic Faction and to Manchu language than Evenki among Tungusic languages. Nanai language has six vowels: a, e, o, i, ⲓ, and u, and the nasalization and diphthongization of the final vowels and the rhythm of vowels act as semantic discriminator. There are 18 consonants in Nanai language: b, v, g, d, d , j, k, l, m, n, n , ɳ, p, r, s, t, h, ch, and the double and triple consonants are not possible in the anlaut and auslaut while any consonant and vowel can come in the anlaut except “r.” Different researchers have different opinions about the part of speech in Nanai language. However it can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content word, auxiliary word, and interjection, and nine sub parts according to the function and meaning. Nanai language has both short and long sentences, but the short sentences have been developed prominently, and long sentences are used very rarely. The word order in Nanai language is S-O-V,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Tungusic contr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