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고려한 공공디자인 접근체계 및 방법을 관한 연구

        엄나너 ( Na Neo Eom ),이광영 ( Gwang Young Lee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1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0 No.4

        21세기 국가 간 경쟁보다 도시 간 경쟁이 보편화되면서 디자인이 곧 경쟁력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확산됨에 따라 그 동안 소홀히 여겨왔던 디자인의 공공성에 대한 반성차원에서 공공디자인은 자연스럽게 하나의 주요 트랜드로 등장하게 되었다. 세계 주요 도시들은 공공디자인을 통해 도시이미지와 도시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기존의 공공 개발 사업이 도시의 기능 및 양적인 문제만을 해결하는데 반해 공공디자인은 문화적, 심미적 접근을 통해 도시를 디자인하여 도시 경제를 활성화하는데도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공공디자인들은 대체로 도시에 대한 이해없이, 디자인 개념의 성찰없이 물리적 측면에서의 특징만을 내포하거나 시각적으로 도시환경을 바꾸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공공디자인의 잘못된 방향을 바로잡기 위해 물리적 측면을 비롯하여 사회, 경제, 역사·문화, 환경의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접근하는 체계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도시재생과 공공디자인 관련 문헌 고찰, 이론 고찰,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하여 요소를 도출하고, 지속가능한 도시재생과 공공디자인과의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고려한 공공디자인의 접근체계를 고안하고, 최종적으로 방법을 제시한다. Competition between cities is generalized than competition between nations and new paradigm that design is competitive power has been widespread, public design became one of the trends as a way of self-reflection about public service of design which used to be careless. Public design is effective to activate the city``s economy with the city design through cultural aesthetic approaches whereas existing public development work only solves city``s function and quantitative problem. However, current public design sometimes includes characteristic for physical side or visually changes urban environment without understanding of the city and self-examination of design concept. System which approaches with consideration of various aspects such as physical, economical, historical, cultural, environmental aspects to correct wrong direction of public design.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factors through study of literatures related to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 public design, theory study, advanced studies, case analysis in domestic and overseas, and to analyze interrelationship between urban regeneration and public design. This study plans approach system of public design with consideration of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and finally suggests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