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감성지능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엄기욱(Ki Wook Um) 한국노인복지학회 2013 노인복지연구 Vol.0 No.60

        본 연구는 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감성지능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감성지능의 하원차원 간 관계구조를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노인복지시설 종사자 1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종사자의 자기감성이해는 타인감성이해와 자기감성활용을 매개로, 그리고 타인감성이해는 자기감성활용을 매개로 서비스 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기감성조절은 연령을 통제한 상태에서 서비스 질에 직접적인 영향력은 없었으며, 자기감성활용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서비스 질에 대한 감성지능의 4가지 하위차원 간 관계구조는 자기감성이해를 선행변수로 하고 타인감성이해와 자기감성조절을 매개로 하여 자기감성활용에 영향을 미쳐 서비스 질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노인복지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 서비스 제공 인력들의 감성지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또한, 시설 종사자들의 보수교육 등을 적극 활용하여 자신의 감성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이러한 자기이해가 자신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질적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교육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dimensions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terms of the impact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workers in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on the quality of service. This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a total of 210 workers working in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although workers’ emotional self-control does not have a direct influence on the quality of the service when controlled for age, there is an indirect impact on the quality of service through the workers’ utilization of their own emotions to allow them to understand the emotions of others. As a result, the structure of the four sub-dimensional relationships of emotional intelligence affected the quality of service by allowing empathy and emotional self-control while setting emotional self awareness as a prerequisite variabl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program to improve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worker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elderly welfare services. Furthermore, it is suggested to take advantage of continuing education for welfare facility workers to provide the opportunity to help them understand their own emotions and also to educate them so that this self understanding can lead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service they provide.

      • KCI등재

        노인장기요양기관 유형별 요양보호사의 부상 및 인권침해 경험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엄기욱(Ki Wook Um),박인아(In A Park)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5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43 No.-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기관 유형별 요양보호사의 부상 및 인권침해 경험의 차이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 요양보호사의 이직을 예방하기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재가시설과 입소시설에 종사하는 1,364명의 여성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재가시설 요양보호사는 입소시설 요양보호사 보다 이용자나 그 가족으로부터 업무 이외의 개인적 서비스에 대한 요구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입소시설 요양보호사는 재가시설에 비해 업무과정에서의 부상경험이나 이용자나 그 가족으로부터의 신체적, 언어적 폭력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부상 및 인권침해 경험은 이직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설유형에 따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차이를 보였다. 재가시설의 경우 직업만족은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이용자나 그 가족으로부터의 피학대 경험이 가장 큰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한편 입소시설 요양보호사의 경우 대상자와 보호자로부터의 부당한 요구는 다른 요인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요양보호사의 부상 및 인권침해를 예방하고 이러한 사례가 발생할 경우 요양보호사가 고용상 불이익에 대한 두려움 없이 자신의 권리를 보호하고 주장할 수 있는 법적,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함을 제언하였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care workers’ experience in injuries and infringements of human rights on their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elderly long‐term care facility and to suggest strategies for preventing care workers’ turnover. For these purposes, data were collected from 1,364 female care workers working at home care facilities and residential facilities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es, first, care workers at home care facilities received more demands for personal services other than their duties than those at residential facilities. On the contrary, care workers at residential facilities experienced injuries and physical and verbal violence at work more frequently than those at home care facilities. Second, care workers’ experience in injuries and infringements of human right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turnover intention. Third, th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facility type. That is, in care workers at home care facilities, job satisfaction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heir turnover intention, and the biggest impact factor was experience in abuses by their clients or the clients’ families. In care workers at residential facilities, on the other hand, when other factors were controlled, unjust demands from the clients and their guardians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he workers’ turnover intention.

      • KCI등재

        사회복지사의 기관유형, 급여수준, 직업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엄기욱(Ki Wook Um),박인아(In A Park)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7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16 No.-

        본 연구는 ‘2000년도 한국 사회복지사 실태조사’와 ‘2005년도 전북 사회복지사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일선 사회복지사의 급여수준과 직업만족을 통제한 상태에서 기관유형에 따라 이직의도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연도별로 교차분석, F검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복지사의 성, 연령, 학력 등이 기관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2000년도 자료에서는 성과 연령 분포에서, 2005년도 자료에서는 이와 함께 학력분포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급여수준, 이직의도, 직업만족 수준이 기관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2000년도에는 급여수준에서, 2005년도에는 급여수준과 이직의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사의 급여수준과 직업만족을 통제한 상태에서 사회복지사가 종사하고 있는 기관유형에 따라 이직의도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2000년도 자료에서는 성과 직업 만족만이 이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인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2005년도 자료에서는 직업만족과 종사하고 있는 기관유형이 이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현재 일선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를 설명함에 있어 사회복지사의 개인특성이나 직무만족 등과 함께 사회복지기관의 특성과 기관유형 간 근무환경의 차이가 주요한 변수로 고려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The present study analyzed social workers’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institution type with their wage level and job satisfaction controlled, using data from ‘A Survey of Korean Social Workers in 2000’ and ‘A Survey of Jollabuk-do Social Workers in 2005.’ For this analysis, we conducted cross analysis, F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by yea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social workers’ gender, age, academic qualification, etc. were different according to institution type. Specifically,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distribution of gender and age in the data of the year 2000, and in the distribution of gender, age and academic qualification in the data of the year 2005. Second, social workers’ wage level, turnover intention and job satisfaction were different according to institution type. Specificall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wage level in 2000, and in wage level and turnover intention in 2005. Lastly, this study conducted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see if turnover intention was different according to social workers’ institution type with their with their wage level and job satisfaction controlled. According to the results, only gender and 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in the data of the year 2000, and job satisfaction and institution typ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in the data of the year 2005.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explaining social workers’ turnover intention,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 and the difference of working environment among different types of institution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as important variables along with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 KCI등재

        일본 거주 외국인 영주자의 사회복지 수급권에 관한 연구

        엄기욱 ( Um Ki-wook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保健社會硏究 Vol.29 No.1

        본 논문에서는 일본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 영주자에게 제공되는 사회복지 권리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일본은 합법적으로 체류하고 있는 외국인 영주자에게는 사회보험의 경우 일본인과 동일한 수급권을 인정하고 있으며, 공공부조나 사회복지서비스의 경우는 수급권을 인정하지는 않지만 인도주의적인 차원에서 일본인에 준용하여 적용하고 있다. 그리고 생존에 위협을 받는 위급한 사항 등에 대해서는 불법체류 외국인도 사회복지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경우도 현재 외국인에게 달리 적용되고 있는 사회보험을 사회통합적 관점에서 동일한 기준으로 개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결혼이민자로서 한국 국적의 미성년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외국인에게 만 인정하고 있는 공공부조제도 또한 대상자와 급여를 확대하며, 일상생활상에 겪고 있는 다양한 생활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적 인식 개선, 지역단위의 실천현장 확대 및 내실화가 필요하다. This study purposed to survey social welfare rights given to the permanent resident residing in Japan, and to obtain their implications for Korea. Aliens staying legally in Japan are given the same rights to social insurance as Japanese. In addition, rights to public assistance or social welfare services are not acknowledged, but, in a humanitarian dimension, these services are applied to aliens as much as they are to Japanese. Moreover, in emergent situations, illegally staying aliens are also allowed to get social welfare service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for Korea, which is currently applying social insurance differently to aliens, to amend the system so that the same criteria would be applied to aliens as an effort to achieve social integration. Furthermore, the public assistance system, which is currently allowed only to marriage immigrants who are rearing minor children with Korean citizenship, needs to expand its subjects and benefits, to improve social perceptions for solving various life problems in daily life, and to make its practice in localities more extensive and substantial.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