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제2분과 : 도시생태 ; 도심지 대규모 공원이 주변 음이온 농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오득균 ( Deuk Kyun Oh ),양성철 ( Sung Chel Yang ),이창우 ( Chang Woo Lee ),김정호 ( Jeong Ho Kim ),윤용한 ( Yong Han Yoo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3 No.2

        무분별한 도시개발과 인구집중으로 인해 현재의 도시는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도심지내 녹지면적 확충, 바람길 형성, 도심 하천의 복원 등 많은 노력이이루어지고 있다. 도시계획시설로서의 녹지는 실외 레크레이션장으로 이용됨은 물론, 도시 내에서 절대적으로 부족한자연과의 공감대 형성에도 크게 기여하며, 도시환경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대기오염물질의 저감, 소음완화, 미기후 조절 등 공익적 기능이 강조되고 있다. 녹지의 다양한 효과 중 식물의 광합성에 의해 발생하는 음이온은 일찍이 인간의 건강 증진에 대한 효과뿐만 아니라, 음이온의 전기적 특성에 의한 공기정화 효과가 제기되어 왔으며 이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었다. 음이온의 전기적 특성에 의한 공기정화의 경우, 내연기관과난방 시 화석연료가 연소할 때 발생되는 양이온성인 질소산화물(NOx)이 발생하고, 항원물질, 곰팡이, 포자, 박테리아, 세균 , 다이옥신류, 미세먼지 등이 섞여 있는데 이들은 모두양이온인 중이온으로 대전되어있다. 이러한 오염물질에 음이온이 작용하여 중화시켜 무겁게 하여 지표로 가라앉게 되어 공기가 정화된다. 도시녹지가 도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로는 도시수목의 증산량 및 토지피목재료의 알베도를 측정하고 도시녹지에 의한 도시 미기후개선의 기능을 규명한 연구, 도시수목의 대기 CO2, SO4 및 NO4 흡수량을 계량화 하고 녹지면적과 여름철 온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대기환경개선에 기여하는 효과를 구명한 연구(조현길 등 2003), 도시공원에서 여름철 기온분포를 관측하고 녹지 내의 피복상태 및 수림형태와 온도저감간 관련성을 회귀분석을 통해 해석한 연구 등 다양하게 진행되었다. 도심지의 음이온 분포 측정 및 분석연구로는 녹지 및 비오톱 유형에 따른 음이온분포를 측정하고 도시생태인자와 기상의 음이온과의 상관성을 분석한 연구, 도심지 생태복원 하천에서 하천의 내부와 주변부의 음이온을 측정하고 기상, 거리 와 음이온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생태복원 하천이 도심지에 미치는 영향에 분석한 연구(김정호 등; )에 의하 진행 되었으나, 실제음이온이 미치는 영향범위를 파악하지는 못하였다. 이에 본연구는 도심지 대규모 공원에서 토지피복에 따른 음이온을 측정하고, 거리에 따른 음이온을 측정하여, 공원 내 토지피복상태와 음이온간의 관련성을 회귀분석을 통해, 도심지 대규모 공원이 주변 음이온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수행하였다. 연구대상지로 선정한 인천광역시의 경우, 우리나라 5개의 광역시 중 약 3년간 순 전입인구가 가장 많으면서 꾸준한 인구증가로 도시 인구밀집에 따른 도시화가 가장 우려되는 도시이다. 이에 녹지의 양과 질적인 측면에서 개선이 가장시급한 도시로 판단되어 남동구 일원의 중앙공원 중 5지구와 7지구를 연구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측정지점의 경우 공원내 토지피복에 따라 구분하여 총 60지점을 측정지점으로 선정하였으며, 공원 외부의 경우 20m, 50m, 100m, 150m, 200m간격으로 선정하였다. 음이온 측정의 경우 Nico사의 Com 3200pro를 사용하여 측정지점에서 1분간 측정하였으며, 기온, 습도, 풍향, 풍속을 측정하였다. 또한 측정된 값에서 공원이 공원외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풍향은 서풍, 풍속은 1.5m/s이하의 값을 사용하였다. 측정결과 5지구 토지피복의 경우 녹지면적은 80.7%, 불투수 포장면적은 19.3%로 녹지면적이 공원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7지구의 토지피복의 경우 불투수 포장면적62.2%, 녹지면적 37.8%로 5지구에 비하여 불투수 포장면적이 많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었다. 공원 내부 음이온 측정결과 5지구의 평균 음이온은 743ea/cm3로 측정되었으며 7지구의 경우 681ea/cm3로 측정되어 토지피복 특성 중 녹지면적비율이 높은 공원에서 음이온 측정값이 높았다. 거리에 따른 음이온 측정값의 경우 5지구의 풍상쪽 전체평균 음이온은 500ea/cm3로 측정되었으며, 공원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음이온 측정값의 경우 50m = 100m > 20m > 150m > 200m 지점 순으로 측정되어, 거리에 따른 음이온평균값이 뚜렷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풍하쪽의 경우전체 평균음이온 661ea/cm3으로 측정되었으며, 20m > 50m = 100m > 150m > 200m 순으로 측정되어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음이온 평균값이 감소하였다. 또한 회귀분석 결과 편차는 크게 나타났으나, 약 100m 지점까지 녹지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7지구의 풍상쪽의 전체 평균음이온의 경우 623ea/cm3로 측정되었으며, 거리에 따른 음이온 측정값의 경우 50m > 100m > 200m > 150m > 20m순으로 측정되어 5지구 풍상쪽과 마찬가지로 뚜렷한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풍하쪽의 경우 전체 평균 673ea/cm3로 거리에 따른 평균값은 20m > 50m = 100m > 150m > 200m순으로 측정되어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음이온 평균값이 감소하는 수준이었으나 전체 평균값에서 큰 차이가 나지않아 공원의 영향이 크게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추후 다양한 기상조건을 고려한다면 더 뚜렷한 경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