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동되는 소리 시각화 어플리케이션

        양민하(Yang, Minha)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3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3 No.2

        최근 우리 주변에 있는 스마트 단말장치들 대부분은 서로 많은 량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있다. 많은 단말장치들이 은닉된 데이터 전송을 기본 기능으로 탑재하고 있으며, NAS와 유사한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지니고 있는 경우도 있다. 또한 이종 단말 장치간의 통신은 앞으로 더 확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럼에도 이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이를 기반한 소프트웨어 프로토타이핑에 대한 연구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근거리 통신망에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와 스마트 TV간의 연동을 지원하는 소리 시각화 어플리케이션 제작을 실험한다. 소프트웨어 프로토타이핑의 형식을 띠고 있기에, 원활한 연구를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는 스마트폰과 스마트패드(타블렛)로 한정하였고 스마트 TV는 데스크탑 어플리케이션으로 대체하여 개발하였다. 이종 디바이스 간의 연동을 실험하기 위해 TCP/IP 소켓 통신을 이용했고 음원 데이터 교환을 위해 FTP를 이용했다. 소리 시각화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기 위해 FFT와 확산 그리고 모션벡터 알고리즘을 응용했다. 본 연구를 통해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랙션이 단말기 중심의 인터랙션만큼이나 직접적이고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디자인된 어플리케이션들은 모두 실제 구동이 되도록 개발되었으며 인터넷을 통해 작동 동영상을 배포하고 있다. Almost the whole recently manufactured smart devices like smart phones and tablets support various data transfer functions between different devices. Many smart devices have hidden data transfer functions, and some of them have cloud storage functions similar to NAS. In the years to come, even more devices will support the communications between different devices. Even though, studies on this phenomenon are not made widely now, and the software prototyping studies are not made properly either.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audio-visualizing application that support the shortrange wireless commnication with mobile devices. For the smooth research, mobile devices are limited in smart phone and smart pad (android tablet). And smart TV application is replaced by desktop application. TCP/IP socket communication was used for short term signal exchange, and FTP was selected for music files transfer. To create audio-visualizing application, FFT and physical spread algorithm and motion vector field were applied. Through this research, I found the interaction between local devices in short range network connection is important as much as the device dependent interaction. Applications made for this study are prototypes but all functional, and operation movies are distributed through Vimeo service.

      • KCI등재후보

        동작 인식 기반 반응형 영상 제작 연구

        양민하(Yang, Minha)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6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다중 카메라를 이용한 실시간 반응형 영상의 제작과정을 ‘묵상’을 기초로 분석하는 것이다. 모션 벡터 알고리즘과 영상 캘리브레이션 그리고 센서 하드웨어와 오디오 구성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작품의 구상과 제작 그리고 설치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기술하였다. Natural user interface의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사례로써 연구를 했기 때문에, 논문은 기술적 분석이 중심이 되었다. 모션 벡터 알고리즘은 적외선 카메라로부터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이미지 버퍼와 과거의 이미지 버퍼를 비교해 가면서 역학 필드를 만들도록 개발하였다. ‘묵상’은 종교적 기표를 모아 가상의 종교장치를 만드는 것으로 구상을 시작했기 때문에 소리를 담고 출력하는 오브제가 필요했다. 이를 위해 오브제는 적외선 카메라와 조명, 그리고 스피커를 포함한 센서 하드웨어의 역할을 하고 있다. 오브제에서 음원이 출력되면 오브제 중심에서 주변으로 원형의 선들이 확산되는데, FFT를 통해 찾은 주파수 대역별 값에 의해 다른 크기와 속도의 선들이 생성된다. 영상은 임의로 생성한 2차원 그리드 평면에 매핑해 전시 벽면에 투사하는데, 이를 캘리브레이션 방식에 대한 조사와 연계해 기술하였다. ‘묵상’에서는 음량에 의해 영상을 생성되고, 관람객의 움직임은 모션 벡터로 환원되며, 이렇게 생성된 모션 벡터는 다시 화면의 영상에 영향을 끼치게 되는데 이런 일련의 과정은 실시간 반응형 영상 제작에서 매우 자연스러운 순환 구조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for analysis of the process of the interactive real-time moving image production using multiple camera based on ‘Meditation’. This research analyzes the Motion vector algorithm, video calibration, sensor hardware and audio configuration, the whole processes related to the conception, production, installation of works was described. The research is written for the purpose of technical analysis because the study is conducted as a practical and specific cases for natural user interface. Motion vector algorithm is developed to create the dynamics fields by comparing the image buffer which inputs in real-time and the past image buffer from the infrared camera. ‘Meditation’ requires the objet that can contain and decode the sound, and the artwork is created in a virtual religious device through collecting the various religious signifier. The objet functions as a sensor hardware, an infrared camera and the led bulbs including the speaker. When the decoded and segmentalized audio sound is come through the objet, the circular lines are spread to the periphery from the center of objet. And the lines of different size and speed are generated by extracting value of frequency band founding from FFT. 2-dimensional grid UV mapping calibration is described with the survey of 3 other calibration methods in this research. In ‘Meditation’, the moving-images are formed by audio level, and motion vector field is built with the movement of audience, and the screen image is re-construct by the motion vector field. This whole circulation of the interaction is very natural in real-time interactive moving-image design.

      • KCI등재

        FTIR 멀티터치스크린을 이용한 UI 개발

        양민하(Yang Minha)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9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9 No.3

        다중 입력 단말 장치들이 다변화되고 컨텐츠 디자인과의 연계가 절실한 상황에서 멀티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에 대한 기술적인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멀티터치스크린의 다중 입력 인터페이스를 컨텐츠 디자인과 연결하기 위한 선행 개발을 전제로 시작되었다. 이에 멀티터치스크린을 이용해 "The wind blows"라는 작품을 제작하는 과정과 다중 입력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의 제작 과정 그리고 그 알고리즘을 공개하였다. 또한 작품을 제작하기 위해 사용된 GUI에 대해서도 기술하였다. 멀티터치스크린은 여러 가지 종류가 있지만 전시환경에서 대형으로 제작하기 위해 영상 투사 장치로 빔 프로젝터를 선택 했다. 또한 멀티터치스크린 제작에 FTIR(Frustrated Total Internal Reflection) 방식을 사용하였다. DI(Diffused Illumination) FTIR LLP(Laser Light Plane) DSI(Diffused Surface Illumination) 방식의 멀티터치스크린 제작 방법을 조사하여 설명하였고 장단점을 비교해 상대적으로 좌표 인식의 정확성이 뛰어난 FTIR 방식을 선택해 개선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논문을 통해 CCV(Community Core Vision)의 알고리즘을 응용한 매우 간략한 다중 입력 인터페이스 알고리즘을 고안해 제시하고 있다. In these days Multiple touch terminal devices are developing rapidly and contents design is deeply related to these devices. Technical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interfaces of multi-touch screen are required. This study are begun by preceding research for the connection of multiple point recognition interface with contents design. So "The wind blows" was created with multi-touch screen. The algorithm for multi point recognition software interface of "The wind blows" the process of multi-touch screen construction and GUI structures are explained in this study. There are plenty of ways to make multi-touch screen. But if multi-touch Screen has to be huge or need to be constructed on a tight budget a beam-projector will be a best solution. And to develop multiple pointing software interface multi-touch screen was required. To construct multi-touch screen using a beam-projector DI(Diffused Illumination) FTIR(Frustrated Total Internal Reflection) LLP(Laser Light Plane) DSI(Diffused Suface Illumination) these 4 methods are best methods to use. Because of the accuracy of vision recognition FTIR method was chosen to make multi-touch screen. In this study very simple algorithm to realize multiple pointing software interface is presented and that algorithm was inspired by Community Core Vi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