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사회서비스: 민간의존적 공급의 한계와 과제

        양난주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14 동향과 전망 Vol. No.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services in Korea. Inthis study, social services include social welfare services provided for the disadvantagedand more universally provided care services. The former serviceshave been provided by non-profit organizations, which have financiallybeen supported by governments, as main social welfare agencies. However,after the mid-2000s, social service markets have been created in the area ofchild care, long-term care for the elderly. As a result, a dual structure haveemerged in the social service provision. A main problem in social servicepolicy can be defined as a heavy dependence on small private service agenciesand the absence of a comprehensive public management system. It negativelyaffects the quality of social services and the realization of users’rights. It is suggested that the government should turn its policy efforts fromthe financial support for demand expansion to the supply management andquality control. 이 논문은 한국의 사회서비스의 특성을 분석하고 사회서비스 정책의 문제점과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서비스를 개념적으로 정의하고 취약 계층에 대한 사회복지사업으로부터 형성된 초기적 사회서비스와 사회서비스 시장을 통해 공급되는 보육과 노인장기요양서비스을 한국의사회서비스로 규정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의 사회서비스는 저소득층 중심, 기관보조금, 지방사업이라는 특성을 가진 사회복지사업과 보편적 개별 급여,이용자재정지원, 사회서비스 시장 기제도입을 특성으로 하는 돌봄 서비스라는이원화된 구조를 가지고 공급되고 있었다. 이러한 사회서비스 정책의 문제는 첫째, 민간의존적 공급으로 인해 사회서비스 질 관리를 하기 어렵고, 둘째, 통합적인 공적 공급 체계 부재로 인해 사회서비스 이용자의 권리가 보장되고 있지 못한것으로 진단하였다. 이러한 문제들은 결국 공적 재정 투입이 사회서비스 질을 높이고 이용자의 욕구를 충족하고 권리를 실현하는 방향으로 작동하는 것을 방해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의 사회서비스 정책이 수요 확대 중심에서능동적인 공급 관리로 과감하게 전환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자기돌봄 도입에 대한 탐색적 연구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사례

        양난주,채지영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23 사회복지정책 Vol.50 No.3

        The concept of self-care has evolved as a new paradigm in healthcare policies in Western societies since the 1970s. In South Korea, it gained prominence in 2020 with its integration into the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Older Adults program, emphasizing the significance of older individuals taking an active role in preventive care and health management. This exploratory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plementation of self-care within this program.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s involving 17 frontline care workers and elderly users of the program. The analysis revealed disparities in how self-care was perceived among these stakeholders. Self-care support largely relied on the competencies of individual care workers, and variations were noted across implementing organizations. One significant challenge highlighted in the study was the precarious employment status of care workers, often on one-year contracts. This instability created care relationships that passively accommodated user preferences instead of actively encouraging self-care practices. Additionally, substantial disparities in care needs among elderly users complicated the realization of the self-care orientation of Customized Care Services. The study’s findings emphasize the need for a more comprehensive approach to older adults’ care policies. Rather than focusing solely on a single program, such as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Older Adults, discussions should encompass broader topics like community preventive care systems and the provision of social care.

      • KCI등재

        영국 돌봄자 권리 제도화의 역설

        양난주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17 동향과 전망 Vol.- No.101

        The Care Act 2014 stresses the major advance it represents in terms of the legal rights for carers in UK. This study analyzes the institutionalization of carer rights in UK. We have found that the institutionalization of carer rights does not lead to the strengthening of citizenship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under the male bread winner model of the British welfare state, where women are forced to take care responsibilities, institutionalization of carer rights resulted in mobilizing family care. Second, inadequate social care provision, which was caused by cash-benefit centered, residual and marketized British social care policies, led to expansion of informal care. Third, when social care services were substantively declined due to the reduction of welfare spending, institutionalization of carer rights failed to strengthen social citizenship. 영국은 일찍이 돌봄자수당을 도입한 나라로 비공식돌봄의 비중이 높고, 돌봄자운동이 발달하였다. 2014년 도입된 돌봄법은 지방정부에 돌봄자의 욕구와 권리를 보장할 의무를 지워 돌봄자 권리를 획기적으로 개선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글은 영국의 돌봄자 권리 제도화를 복지국가의 성격 그리고 성인돌봄정책 변화의 맥락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영국의 돌봄자 권리 제도화가 돌봄의 원리에 입각한 사회권의 강화인지 여부를 진단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돌봄자 권리의 제도화는 돌봄시민권의 강화라고 해석하기는 어렵다는 결론을 도달했다. 먼저 남성생계부양자모델에 입각하여 가족과 여성에게 돌봄을 강제하는 복지국가의 제도적 특성에서 돌봄 수요는 일찍이 현금급여방식으로 발전했다는 점이 비공식 돌봄을 강화해왔다. 두 번째, 자산조사에 근거하여 선별적 지원방식을 가지고 있는 성인돌봄정책이 사회적 수요를 감당할만큼 충분한 사회서비스를 제공해오지 않았으며 최근의 재정감축으로 인해 서비스의 양과 이용자 규모는 줄어왔다. 사회적 돌봄이 축소되는 조건에서 돌봄자 권리의 제도화는 돌봄자의 사회권 강화라기보다는 비공식 돌봄에 의존을 강화할 수밖에 없는 자유주의적 돌봄정책의 귀결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