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년의 분노표현 양식에 따른 하위집단 간 공격성, 인지조절전략 및 행복 차이

        양난미(Yang, NanMee),이정훈(Lee, JeongHun),송미경(Song, Mikyoung),이은경(Lea, Eunkyoung)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0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13 No.1

        본 연구는 중년을 대상으로 분노표현 양식에 따른 하위집단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각 집단이 공격성, 인지조절전략, 행복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40~65세의 중년 40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집 1 높은 분노관여 집단, 군집 2 적응적 분노조절 집단, 군집 3 억제 및 표출집단, 군집 4 낮은 분노관여 집단으로 4개의 군집이 도출되었다. 둘째, 중년의 분노표현 양식에 따른 하위집단을 다른 연령대와 비교한 결과, 연령대별로 분노표현 양상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억제 및 표출 집단은 신체적 공격성과 언어적 공격성이 높고 부적응적 인지조절전략을 사용하며 행복 수준이 낮아 4개 군집 중에서 가장 부적응적인 양상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년의 분노표현 양식과 적응적인 삶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subgroup of middle-aged people according to anger expression styles and their differences on the scores of aggression,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and happiness. 409 surveys of middle-aged people between 40 and 60 years old were analyzed. A result suggested the presence of four clusters (high anger-involving group, adaptive anger-control group, suppressive anger-control group and low anger-involving group). By comparing anger expression subgroups of middle-age to other age groups, significant difference was confirmed in anger expression by age. Moreover, suppressive anger-control group showed most maladaptive aspect in 4 clusters with high physical and verbal aggression, low happiness and using maladaptive strategy than adaptive i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Finally, this study ends with the discussion of the anger expression styles and adaptative life of middle age.

      • KCI등재

        대학생의 연애 비선택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양난미(Nan Mee Yang),이선민(Sun Min Lee),문희운(Hui Un Mun)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4

        본 연구는 오늘날 대학생의 연애를 심층적으로 이해함으로써 그들의 적응과 발달을 돕기 위해 연애 비선택경험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애 비선택자 1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고 합의에 의한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심층면접 내용을 분석한 결과 총 3개의 중심개념에 대해 6개의 하위영역 그리고 2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그 연구결과 첫째, 연구참여자들의 연애비선택에는 마음에 드는 상대가 없는 것이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연애 비선택의 과정에서 연구참여자들은 여유가 없는 상황에서 연애가 밀리고 연애에 특별한 가치를 두지 않으며 연애경험이 부정적으로 지각되었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은 연애 비선택의 결과로 자신에게 집중할 수 있고 자유로움을 얻을 수 있었으며, 연인의 빈자리나 주변사람의 소중함을 느끼기도 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연애 비선택에 대한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 on non-selection of romance among college students. A deep understand would lead us to help their adaptation and development. For this, we interviewed 12 people who chose to be single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method of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s a result, 6 sub-domains and 27 categories have been drawn under 3 core ideas in total. First, the participants described their non-selection of romance as temporary because they had no one to like. Second, during the non-selection of romance, romance was out of priority due to the situation without composure for participants. Also, they didn’t place much value on romantic relationship and perceived the experience of past romance negatively. Third, they were focused on themselves and felt free, and they felt the emptiness of their lover and the importance of their surroundings by not selecting romanc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current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연애관계 만족의 관계

        양난미(Yang, Nan Mee),배성희(Bae, Seong Hee)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7 사회과학연구 Vol.56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부모애착, 거부민감성, 성적 자율성이 연애관계 만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학생 275명에게서 수집된 자료를 모형비교를 통하여 최종모형을 선정하고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형비교 결과, 부모애착과 연애관계 만족간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성적 자율성은 두 변인을 매개할 뿐만 아니라 거부민감성이 성적 자율성에 영향을 주는 연구모형이 자료를 더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결과 부모애착은 거부민감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성적 자율성, 연애관계 만족에는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거부민감성은 성적 자율성, 연애관계 만족에는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성적자율성은 연애관계 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매개효과 검증 결과 부모애착과 연애관계 만족 사이에서 거부민감성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대학생의 연애관계와 더불어 성적 문제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rejection sensitivity, sexual autonomy on the intimate relationship in college students. With the survey of 275 college students, we compared a difference in sex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 The result were as followed. First, as the outcome of model comparison, the research model is better than the alternative model. Second, in a consequen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parent attachment had a negative effect on rejection sensitivity, bu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exual autonomy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Rejection sensitivity was confirmed as a negative effect to sexual autonomy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Sexual autonomy showed a positive effect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Lastly, by the outcome of mediating effect, rejection sensitivity fully medit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help understand the intimate relationship of college students and sexual issue.

      • 대학생의 특성분노와 음주문제의 관계에서 자의식과 분노억제의 매개효과

        양난미(Yang, NanMee)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5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8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음주행동을 탐색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특성분노, 자의식, 분노억제가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468명의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특성분노척도, 자의식척도, 분노억제척도와 음주문제척도를 포함하는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연구모형과 3가지 대안모형을 구조방정식 모형검증 방식을 통하여 비교한 결과 특성분노가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자의식과 분노억제의 매개효과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특성분노와 분노억제간의 관계에서 자의식은 부분매개를, 자의식과 음주문제간의 관계에서 분노억제는 완전매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즉, 특성분노수준이 높을수록 자의식, 분노억제 및 음주문제 수준이 모두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동시에 자의식 수준이 높아질수록 분노억제 수준 역시 높아졌으며 분노억제수준이 높아질수록 음주문제는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특성분노가 어떤 과정을 통해 음주문제에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주었으며 앞으로 연구방향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 of trait-anger on college students" drinking problems and whether self-consciousness and anger-in mediated the effects. For this study, 468 undergraduates were recruited in Seoul and other provinces. We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to compare the research model and three alternative models. We fou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sciousness and anger-i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t-anger and drinking problems. Concretely, self-consciousnes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t-anger and anger-in, and anger-i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drinking problems. These results revealed the process of trait-anger influencing drinking problems, and we discusse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에 관한 연구동향

        양난미 ( Nanmee Yang ),김미경 ( Mikyoung Kim ),이아라 ( Ara Lee ),장지선 ( Jiseon J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는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BJW)에 관한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국내 연구현황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02년 이후부터 2021년 1월까지 출판된 학술지 논문과 학위논문 55편을 대상으로 발행연도별 논문 수, 연구방법, 측정도구, 관련변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논문 수는 2002년을 시작으로 2016년까지 매년 1편 내외의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2016년부터 2021년 현재까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둘째, 연구방법별 결과 중 연구대상의 연령대는 초기 성인기, 성별은 남녀 모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으며 연구유형은 관계성 연구를 중심으로 양적연구가 많았다. 셋째,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도구 중에서는 Lucas et al.(2011)의 척도를 김은하 외(2017)가 타당화 한 척도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넷째, 관련변인별로는 인지 관련변인, 진로 및 취업, 정신건강 순으로 연구가 많았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연구방법 및 대상의 다양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 on belief in a just world that has increased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To this end, 55 papers published from 2002 to January 2021 were analyzed for publishing year, research methods, measurement tool, and research variables. The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research per year showed a steadily increasing trend from 2002 to the present of 2021. Second, the participants for the research were mostly men and women in early adulthood. As for the type of research, there were many quantitative studies focusing on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ird, the most used measurement tools were the scale by Kim et al. (2017), the Korean version of Lucas et al. (2011). As a related variable, cognitive-related variables were the most studied followed by career and employment, and mental health.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diversification of research methods and subjects.

      • KCI등재

        교사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 우울의 관계: 성차별지각과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

        양난미(Nanmee Yang),이명신(Myungshin Lee),홍은솔(Eunsol Hong)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기초자료연구소 2021 연구방법논총 Vol.6 No.3

        본 연구는 중등학교 교사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성차별지각과 우울의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중등학교에 재직중인 남녀교사를 대상으로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우울, 성차별지각을 측정하였고, 412명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차별지각이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 우울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이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 성차별지각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당한 세상에 대한 신념이 낮을수록 성차별지각의 수준이 높아졌는데 남성의 경우 그 관련성이 여성보다 강했다. 셋째,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성차별지각과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즉,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낮을수록 성차별지각의 수준이 높아졌고 이로 인해 우울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관계가 남성의 경우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by gend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lief in a just world, perceived sex discrimination and depression of teachers. For this purpose, we surveyed belief in a just world, perceived sex discrimination, depression and gender of the 412 teachers working in secondary schools and the result was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perceived sex discrimin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elief in a just world and depression. Second, gender had moderation effect on belief in a just world and perceived sex discrimination. The lower the belief in a just world, the higher the level of perceived sex discrimination. In the case of men, the tendency was stronger than that of women. Third, the moderated meditation effect of perceived sex discrimination and gend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elief in a just world and depression. In other words, the lower the belief in a just world, the higher the level of perceived sex discrimination, which could lead to more experience of depression, and this pattern was more pronounced in men.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the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남성경찰관의 성폭력 수사행동 (적극적 수사와 이차폭력) 결정요인

        양난미(Yang Nan-Mee),이명신(Lee Myung-Shin) 한국사회복지학회 2011 한국사회복지학 Vol.63 No.1

        경찰의 성폭력 수사행동을 결정하는 요인을 조사하고자, 경찰의 인지 및 태도(수사임무에 대한 법지식, 보호연계임무에 대한 인지, 성폭력에 대한 편견)와 실제 수사행동(적극적 수사와 이차폭력)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이론적 모델을 설정하였다. 경남지역 세 도시의 남성경찰 354명으로부터 수집된 설문조사 자료를 토대로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실시한 결과 최종모델이 발견되었다(CFI=0.947, IFI=0.948, RMSEA=0.048). 분석결과, 적극적 수사행동을 결정짓는 요인은 수사임무에 대한 법지식, 보호연계임무에 대한 인지, 성폭력에 대한 편견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사임무에 대한 법지식과 보호연계임무에 대한 인지가 높을 수록 적극적 수사행동이 증가되며, 반면 성폭력에 대한 편견은 적극적 수사행동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차폭력 행동을 결정짓는 요인은 수사임무에 대한 법지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사 임무에 대한 법지식이 높을수록 이차폭력 행동이 감소되었다. 특히, 성폭력에 대한 편견은 직접적으로 적극적 수사행동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수사임무에 대한 법지식과 적극적 수사, 보호연계임무에 대한 인지와 적극적 수사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적극적 수사를 강화하고 이차폭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성폭력관련 법에 대한 교육, 수사지침의 재정비, 의식전환 프로그램, 경찰의 전문화, 수사환경의 개선, 사회복지사와의 연계체계 구축 등이 제안되었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determinants of male police officers' investigative behavior(active investigation vs. secondary victimization) of sexual violence. For this purpose, a hypothetical model which explains the relationships among the 5 variables (knowledge of law about the investigative role, perception of the protective & connective role, prejudice against the sexual violence, active investigation, and secondary victimization) was developed.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354 male police officers of 3 cities in Gyeongnam area, the hypothetical model was tested. For data analysis,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and the final model was found(CFI=0.947, IFI=0.948, RMSEA=0.048).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del, the followings were found: ① Active investigation was increased by knowledge of law about the investigative role, and perception of the protective & connective role, while decreased by prejudice against the sexual violence. ② Secondary vicimization was decreased by knowledge of law about the investigative role. ③ Prejudice against the sexual violence mediate the effects of knowledge of law about the investigative role, and perception of the protective & connective role on active investigation. ④ Prejudice against the sexual violence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secondary victimization. Based on the findings, multi-educational programs, protocols on investigation of sexual violence, professionalization of the police, and changes in investigation environment as well as a system of collabor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police officer and social worker were suggested as a way to increase active investigation and to decrease secondary victimization.

      • KCI등재

        정당한 세상에 대한 개인적 믿음과 교직 만족도의 관계: 내적통제성에 따른 교사 직무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

        양난미 ( Yang Nanmee ),이아라 ( Lee Ara ),신현우 ( Shin Hyeonwoo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1 교사교육연구 Vol.60 No.4

        본 연구는 중등교사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개인적 믿음과 교직 만족도의 관계에서 내적통제성을 통한 교사 직무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중등교사 375명을 대상으로 정당한 세상에 대한 개인적 믿음, 내적통제성, 교사 직무스트레스, 교직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당한 세상에 대한 개인적 믿음과 교직 만족도의 관계를 교사 직무스트레스가 부분매개하였다. 둘째, 교사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개인적 믿음과 교사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내적통제성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당한 세상에 대한 개인적 믿음이 교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적통제성을 통한 교사 직무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제언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job stress according to internal control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condary teachers’ personal belief in a just world for self (BJW-self) and satisfaction with the teaching jobs. For this purpose, BJW-self, the internal control, teacher’s job stress, and satisfaction with the teaching jobs were measured from 375 secondary school teacher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BJW-self and STJ was partially mediated by the teacher’s job stress. The higher BJW-self, the lower the teacher’s job stress and the higher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At the same time, the higher the teacher’s job stress, the lower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internal control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BJW-self and the job stress. When BJW-self was low, the group with high internal control had higher job stress than the group with low internal control. However, when BJW-self was high, the group with low internal control had higher job stress than the group with high internal control. Third, in the effect of BJW-self on satisfaction with a teaching job,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job stress through internal control was moderated.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if a teacher with a weak BJW-self had high internal control, the teacher’s job stress increased, thereby lowering satisfaction with the job as a teacher.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eachers with strong BJW-self had higher internal control, lower job stress which increases satisfaction with the job as a teacher.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성폭력 상담원의 소진 결정 요인

        이명신(Lee, Myung-Shin),양난미(Yang, Nan-Mee),안수영(An, Su-Young),김보령(Kim, Bo-Lyoung)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6 비판사회정책 Vol.- No.50

        성폭력 상담원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기 위해, 성폭력관련 원스톱지원센터, 성폭력 상담소, 여성긴급전화 1366의 성폭력 상담원 109명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통해, 업무과중, 공감피로, 피해자중심서비스(‘개별화’, ‘비편파성’, ‘의사결정’, ‘정보제공’), 이차피해 태도(‘의심’과 ‘편견’)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첫째, 소진의 하위영역 중, ‘탈진’의 정도가 가장 심각하였으며, ‘비인간화’ 정도도 심각한 반면, ‘성취의 부족’으로 인한 소진은 심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담원의 ‘탈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업무과중’, ‘공감피로’, ‘비편파성’, ‘의심’은 ‘탈진’을 증가시킨 반면, ‘의사결정’은 ‘탈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담원의 ‘비인간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공감피로’, ‘정보제공’, ‘편견’은 ‘비인간화’를 증가시켰고, 반면 ‘의사결정’은 ‘비인간화’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담원의 ‘성취’의 정도는 ‘업무과중’이 높을수록, ‘개별화’와 ‘비편파성’이 높을수록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성폭력 피해자를 위한 피해자중심서비스의 중요성과, 성폭력 상담원의 소진을 예방·감소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피해자중심서비스’ 실천을 위한 교육, 이차피해에 대한 민감성 강화, 조직적 차원의 소진 개입전략)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burnout among the counselors working with sexual-assault victims. Using data collected from 109 counselors, this study attempts to find out the effects of work overload, compassion fatigue, victim-centered services(individualized service, impartial service, service for decision-making, information service), and secondary victimization attitudes(doubt, prejudices) on the levels of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achievement. Analysis showed that the levels of exhaustion and depersonalization of the counselors were serious in that both were above the critical level of burnout. But burnout due to the lack of achievement was not serious in that the level of achievement was higher than the critical level.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the followings were found: ① Exhaustion was increased by work overload, compassion fatigue, impartial service, and doubt, while decreased by service for decision-making. ② Depersonalization was increased by compassion fatigue, information service, and prejudice, while decreased by service for decision-making. ③ Achievement was increased by work overload, individualized service, impartial service. Based on the findings, the importance of providing ‘victim-centered services’, and the ways to reduce and prevent the burnout among the counselors working with the sexual-assault victims.

      • KCI등재후보

        성격 평정에 대한 자기보고와 타인지각의 차이: 외현적 자기애와 자존감을 중심으로

        정명희 ( Myunghee Chung ),양난미 ( Nanmee Yang ) 한국심리유형학회 2019 심리유형과 인간발달 Vol.20 No.2

        본 연구는 외현적 자기애와 자존감이 성격 5 요인과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를 확인하고, 자기보고와 타인지각의 차이 연구를 실시하여 외현적 자기애와 자존감의 자기지각 경향과 자기 고양을 보이는 성격 영역을 살펴보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대전광역시와 경남 소재 4년제 대학생 180명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중 2차 설문이 회수된 83부와 타인 평정을 위한 2차 설문 83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21.0을 사용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집단을 구분하여 MANOVA(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를 실시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첫째, 외현적 자기애, 자존감이 자기보고된 성격특성 영역과 갖는 관계를 살펴보면, 외현적 자기애는 외향성, 개방성, 우호성, 성실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자존감은 외향성, 개방성, 우호성, 성실성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신경증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타인에 의해 지각된 성격특성에 대해서는, 외현적 자기애는 오직 외향성만이, 자존감은 단지 우호성만이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성격 5 요인 각각에 대한 준거 대비 자기 고양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외현적 자기애는 신경증을 제외한 외향성, 개방성, 성실성, 우호성에서 자기 고양 경향을 보이며, 자존감은 우호성을 제외한 다른 4 요인에서 자기 고양 경향을 보였다. 넷째, 높은 외현적 자기애와 높은 자존감(높은 외현적 자기애가 포함되지 않은)은 타인 보고된 자기와 자신이 지각하는 자기가 외향성, 개방성, 우호성에 대해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결과가 가지는 함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고, 후속 연구에 대해 제안하였다. The aim of these studies is to identify the self-other discrepancy in personality ratings concerning overt narcissism, and self-esteem. Sampling from undergraduate students and their perceivers (friends or family members), this study used Narcissistic Personalit Inventory(NPI), Rosenberg’s Self-Esteem Scale(RSES), International Personality Item Pool(IPIP) and Self-Deceptive Enhancement (SDE) for self-rating and only used IPIP for the ratings by others. For data analysis, correlational analysis and MANOVA(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were used.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vert narcissists rated themselves highly on four personality factors (except neuroticism) and high self-esteem individuals rated themselves highly on all of these traits. Second, perceivers rated overt narcissists as extraverted, and high self-esteem individuals as agreeable. Third, overt narcissism and self-esteem showed the tendency of self-enhancement. Fourth, high overt narcissism and high self-esteem(but not high overt narcissis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ctors of openness, agreeableness, extraversion of criterion-based self-enhance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its meaning, limits, and proposals for future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