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전국의 공중화분 및 공중진균 포자 분포에 관한 연구

        편복(Bok Yang Pyun),김성원(Sung Won Kim),오재원(Jae Won O),이혜란(Hae Ran Lee),김정수(Jung Soo Kim),이경일(Kyung Il Lee),강임주(Yim Joo Kang),국명희(Myung Hee Kook),강혜영(Hae Young Kang),김진석(Jin Suk Kim),이명현(Myung Hyun Lee)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00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10 No.1

        목 적 : 공중화분과 공중진균에 대한 분포 조사는 전세계적으로 이미 많이 연구되었고, 알레르기 질환과의 연관성에 대해서도 구미에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있다. 이는 알레르기 질환에 대한 기본 자료로서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이를 기초로 역학적 조사가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아직 전국적인 공중화분과 공중진균에 대한 분포 조사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 공중화분의 분포에 대하여 산발적이고 지역적인 보고가 있었으나 전국적인 역학적 분포 조사는 보고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저자들은 1997년 7월 1일부터 1999년 6월 30일까지 2년간 전국의 공중화분과 공중진균의 분포를 조사하였기에 이를 보고한다. 본 연구는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의 주관으로 이루어진 한국 어린이, 청소년 알레르기 질환에 관한 전국적 역학조사의 일환으로 조사가 시행되었다. 방 법 : 1997년 7월 t일부터 1999년 6월 30일까지 전국 10개 지역에 공중화분 및 진균포자 채집소를 정하여 가능한 동일한 조건을 얻기 위하여 모든 채집기(rotorod sampler; Sampling Technologies, Inc. MN)는 바닥으로부터 150 ㎝ 높이에 장치하여 매일 오전 8시부터 익일 오전 8시까지 24시간 동안 공중화분 및 공중진균을 포집한 후 매 2주마다 집결소(한양대 구리병원)로 보내어져 그곳에서 2명의 연구원에 의해 Calberla`s fuchs운으로 염색하여 100배 배율 하에서 공중화분을 관찰하고 400배 배율 하에서 공중진균을 관찰 동정하고 ㎥당 grain과 spore 수를 동정, 측정하였으며, 각 지역의 기상 관측소와 연계하여 채집 기간의 날씨(풍향, 기온, 습도 등)를 매일 기록하여 연관성을 비교하였다. 결 과 : 전국적으로 가장 많이 화분이 비산되는 시기는 8월 12일부터 9월 21일까지이었다. 지역별로는 전주지역에서 가장 많은 화분이 채집되었으며, 그 다음은 부산지역 순이었으며 대전, 대구, 여수지역은 비교적 적은 양의 화분이 채집되었다. 공중화분은 12월 중순부터 1월 중순까지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봄철 화분분포는 3월 7일부터 3월 30일까지 절정을 이루고 있었다. 지역별로는 부산지역이 가장 먼저 화분이 발견되었으며. 가장 많이 채집되었고, 그 다음으로 전주지역, 여수지역 순이었다. 8월부터 9월까지 두드러기쑥(Ambrosia)와 쑥(Artemisia) 가장 많이 나타났는데, 전주, 부산, 서울지역에서 많은 분포를 보였다. 공중진균은 7월 10일경부터 10월 24일까지 절정기를 이루었으며, 강우량과 비래하였으며, 장마철과 같이 아주 많은 양의 강수량이 있는 시기는 급격히 감소하였다가 비가 개인 다음날부터 많은 양의 진균포자가 비산하였다. 1998년 7월에 서울, 대전, 여수, 부산지역에서는 게릴라성 폭우로 인하여 강수량은 급증하였으나 공중진균의 양은 감소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공중진균 포자의 비산은 11월부터 서서히 감소되며, 12, 1월에는 현격히 감소되지만 전국적으로 연중 발견되었다. 공중진균은 전국적으로 유사한 채집량을 보이고 있으며, 종류별로는 Cladosporium, Alternaria, Leptospheria의 ascospore 순으로 많이 발견되었다. Purpose : As outdoor allergen, pollen and mold are increasely drawing attention all over the country in Korea. The peninsula is located in a temperate zone and has four distinct seasons. In this study, we described the seasonal variation of the pollen and mold distributions in Korea, which may be used to evaluate the pollenosis prevalence for the first time. Methods : Rotorod samplers were installed on the 10 stations at each state in Korea. Outdoor allergens were collected daily in each station from July 1, 1997 to June 30, 1999. After staining they were identified, counted and recorded with the weather in each state. Results : The pollens were found in the beginning of February through the middle of December. The earliest pollen was found from Pusan which is a south region, and followed by Chonju, Daegu which are midsouth. The peak season for pollen was from the end of April to the middle of May(major pollen: Tree, Grasses), the second peak was depicted from the end of August to the middle of September (major pollen : sagebrush, ragweed) the outdoor molds were largely collected from the July to the middle of October. Cladosporium and Alternaria were prevalent all year round and Ascospores of Leptospheria was peak in monsoon season. Conclusion : The pollens were found during the whole year except from middle of the December through the middle of the January. Molds were found all year round.

      • KCI등재

        농약(農藥)이 토양미생물상(土壤微生物相)에 미치는 영향(影響) - 토양세균(土壤細菌)Flora의 구성변화(構成變化)에 대하여 -

        창술,Yang, Chang-Sool 한국토양비료학회 1985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18 No.2

        This investigation was undertaken to clarify the effects of consecutive application of insecticide (Hexachlorocyclohexane: HCH, 10 ppm each year) and fungicide (Tetrachloroisophthalonitrile: TPN, 40 ppm each year) on changes of the composition of soil bacterial flora in the experimental plots treated with each pesticide for two years. For these purposes, the isolating of bacterial cells growing on albumin agar plate was carried out with non-treated, HCH-treated and TPN-treated soil. And these isolated strains were grouping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diagnostic table of Cowan & Steel based on the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bacterial cells. The mortality rate of bacteria was 30% in control, 44% in HCH and 51% in TPN plot respectively, in the process of obtaining pure culture. This suggests that the application of HCH or TPN enriched the fastidious bacteria in soil. The proportion of Gram-negative strains to the total isolates was 37% in control, 37% in HCH and 75% in TPN plot respectively. This means that the application of TPN enriched Gram-negative strains in soil. And the application of TPN increased the number of Gram-negative, nonspore-forming strains, and meanwhile decreased the number of spore-forming strains. In the results, the application of HCH or TPN changed considerably the composition of soil bacterial flora. And the influences of HCH and TPH on changes of the composition of soil bacterial flora were not equal each to each. 밭토양(土壤)에서 살충제(殺蟲劑) Hexachlorocyclohexane(HCH) 및 살균제(殺菌劑) Tetrachloroisophthalonitrile(TPN)의 연용(連用)이 토양세균(土壤細菌) flora의 구성(構成)을 어떻게 변화(變化)시키는가를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HCH 및 TPN을 년(年)1회(回) 2년간(年間) 연용(連用)한 각실험구(各實驗區) 그리고 대조구(對照區)로서 농약(農藥) 무처리구(無處理區)로부터 단리(單離)한 세균세포(細菌細胞)의 현미경적(顯微鏡的) 관찰(觀察)과 생리적(生理的) 시험(試驗)을 하였다. 그리고 이 형태적(形態的) 및 생리적(生理的) 결과(結果)에 기초(基礎)한 Cowan & Steel의 제(弟)1차(次) 감별기준(鑑別基準)에 따라 이들 단리균주(單離菌株)를 Grouping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희석평판법(稀釋平板法)에 의한 알부민 한천배지상(寒天培地上)에 형성(形成)된 micro-colony를 육즙한천배지(肉汁寒天培地)에 이식배양(移植培養)하여 순수분리(純粹分離)하는 과정(過程)에서 많은 세균(細菌)이 사멸(死滅)하였는데 대조구(對照區)에서 30%, HCH구(區)에서 44%, TPN구(區)에서 51%의 사멸률(死滅率)을 각각 보였다. 이는 이들 농약(農藥)의 연용(連用)에 의하여 사멸(死滅)하기 쉬운 즉(卽) 영양요구성(營養要求性)이 복잡(複雜)한 세균군(細菌群)이 토양(土壤)중에 집적(集績)되었음을 시사(示唆)한다. 2. 전단리균주(全單離菌株)에 대한 그람음성세균(陰性細菌)은 대조구(對照區)에서 37%, HCH구(區)에서 37%, TPN구(區)에서 75%를 각각 나타내어 TPN은 그람음성세균군(陰性細菌群)을 토양(土壤)중에 우점(優占)시켰다. 3. 각실험구(各實驗區)로부터 단리(單離)된 균주(菌株)에 대한 현미경적(顯微鏡的) 관찰(觀察)과 생리적(生理的) 시험결과(試驗結果)로부터 HCH와 TPN은 서로 다른 pattern으로 토양세균(土壤細菌) flora의 구성(構成)을 변화(變化)시켰다. 4. 전단리균주(全單離菌株)에 대한 포자형성세균(胞子形成細菌)은 대조구(對照區)에서 77%, HCH구(區)에서 40%, TPN구(區)에서 0%를 각각 나타내어 농약처리구(農藥處理區)에서 포여형성세균군(胞予形成細菌群)이 저하(低下)되었고, 특(特)히 TPN구(區)에서는 포자형성균(胞子形成菌)이 전(全)혀 분리(分離)되지 않았다. 5. HCH 혹은 TPN의 살포(撒布)에 의하여 Group I(Bacillus)에 유별(類別)되는 포자형성세균군(胞子形成細菌群)이 감소(減少)된 반면(反面)에 그람음성(陰性)의 포자비형성세균군(胞子非形成細菌群)이 증가(增加)되어, HCH 및 TPN은 토양세균(土壤細菌) flora의 구성(構成)을 현저(顯著)하게 변화(變化)시켰다.

      •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양금기보법 비교연구: 개량양금 기술표현체계 개발을 전제로

        윤은화 ( Yin Hua Yin ),미지 ( Mi Ji Yang ) 세계음악학회 2015 음악과 문화 Vol.32 No.-

        The Yang geum mentioned Guracheolsahyeongeum (歐邏鐵絃琴) by Yeonam Park, Ji-won in Western Yang guem. Originally,Yang geum was a sort of Dulcimer. It has been translated and spread to the world under the names such as Tympanon, Harkvert, Cembalo and Yangqin. Actually new traditional music composition skills in Korea are represented and required in several ways through the Modernized Yang Geum, but the real state of a study on sign system of the modernized Yang Geum`` new performing technique is poor. Accordingly, this study was made to develop a newly improved Yang Geum``s performing technique sign system by searching the existing Chinese Yangqin, Korean Traditional Yang Geum and Modernized Yang Geum``s performing technique sign systems. Yang Geum has been actively played, studied and improved as a folk musical instrument of the world, while the Korean Yang Geum research has continued to have little on traditional music. The Korean Traditional Yang Geum is dominated mainly by one-handed technique, whose tune is frequently changed by environment. And popular acceptance is poor due to the limit of the instrument noisy tuning. As a result, China``s Modernized Yang Geum Performing Technique Sign has been systematically studied for a long time and organized and mentioned on the first top part of any manual. This notated a special technique playing in commonly used sign when playing the Modernized Yang Geum Performing that led to the correct Modernized Yang Geum performing expression. First, the Chinese Modernized Yang Geum is composed by staff notation and number notation, and the correct technique training is good by the notation system of performing technique. Second, the Korean Traditional Yang Geum is composed by staff notation(except jungganbo), and the notation sign system ofjungganbo was used by the notation sign system of performing technique when having reverse score of staff notation. Third, Korea``s 18strings Modernized Yang Geum improved the musical instrument by magnifying the register of the Korean Traditional Yang Geum and the notation system was notated by the staff notation of the West. The notation sign systems of performing technique includes left hand slapping · Zither Stick · vibrato · rolling the stick · One-time pushing · twice pushing · pushing from the bottom sound · glissando · grace note · continuation technique · chord technique · barrier slapping technique · left-hand technique · right-hand technique · arpeggio · banchegui technique · staccato · tremolo · two voice tremolo · vibrato · mute technique. However, several performing techniques by composers are reported cause chaos, and even the same performing notation is differently indicated to have poor precision shown. Fourth, Korea``s 43strings Modernized Yang Geum is a musical instrument improved by the North Korea``s Yang Geum with all techniques of the existing instrument 18strings Modernized Yang Geum accepted that led not only to Korean music but to several musics. This allowed the suspension of the existing 18strings Improved Yang Geum to be expanded, the traditionality and merits of the existing Modernized Yang Geum to be preserved by improving the musical instruments such as pedaling, the new Modernized Yang Geum performing technique to be expanded according the demand of a new era, and several technique expressions to be progressively presented. As a result, the Korean Modernized Yang Geum``s new performing technique sign systempresented the pedal, Goejo rate, performing technique of two stick, semitone technique expression system by expanding the existing Modernized Yang Geum performing technique except the rolling the stick, arpeggio, tremolo, vibrato. Like this, 43strings Modernized Yang Geum is the musical instrument improved to play several musics not only of the existing 18strings Modernized Yang Geum performing techniques but also new traditional music, which seems to be the beginning to raise importance of the future new traditional music Yang Geum``simportance u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