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세속성자 수요모임의 예배에 드러난 신앙 공공성에 관한 연구

        안창덕 한국실천신학회 2018 신학과 실천 Vol.0 No.59

        이 연구의 목적은 〈세속성자 수요모임〉이 예배를 통해서 드러내고자 하는 ‘신앙 공공성’을 탐구하는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한 1차 자료는 이 모임의 인터넷 홈페이지와 예배, 순서지이다. 이 모임은 ‘가나안 성도’를 대상으로 하므로 이들이 증가하는 원인 중 하나를 교회의 ‘사사화’로 보았다. 교회의 ‘사사화’를 한국 교회의 모든 문제의 근원적 요인중 하나로 보고 교회 밖 대안 운동으로 시작한 〈세속성자 수요모임〉은 이에 대한 비판적 목적을 가질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이를 ‘신앙의 공공성’으로 판단하고 이들의 예배를 분석함으로 이를 증명했다. 인터넷 홈페이지는 이 모임이 신앙의 공공성을 목적으로 한다는 것을 상세하게 공개하고 있고 예배의 순서에는 이 목적이 분명하게 의도되어 있어서 이를 분석한 후 설명하였다. 이 모임은 예배드리는 목적을 “투쟁의 현장에서, 거리에서 예배드리며 사회적 책임에 대한 도전과 실천을 감당”하는 것이라고 요약하고 있다. 이 모임의 설교에는 ‘축복’,‘은혜’,‘성공’과 같은 기복적 용어들이 사용되지 않았고 다른 개념들은 사회적 변화의 의미로 해석되었으며 내용은 교회와 사회를 변화시키려는 목적이 있었다. 기도제목은 세계와 사회의 일들만을 대상으로 했으며 기도제목이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시점과 위치는 이 모임이 어떤 관점으로 세상을 보는 가를 알려준다. 그 외 순서를 분석해서 이에 포함되어 있는 신앙의 공공성을 분석했다. 이 연구를 통해 교회의 사사화 현상과 대조적으로 〈세속성자 수요모임〉이 신앙의 공공성을 어떻게 드러내는지를 알 수 있다. The present study is aimed to explore ‘religious Public Nature’ the Secular Saints’ Wednesday Meetings (SSWMs) try to demonstrate through their worship services. The primary data for this study include the homepage and the bulletin for the worship services used by the SSWMs. As the meetings are for ‘Canaan Christians,’ a term for Korean Christians who do not go to church, the cause for the increase in their number has been credited for the ‘privatization’ of churches. Starting as an out-of-church alternative to the privatization of churches serving as fundamental cause for all problems in the church, e.g. finance, transmission by heredity, power and classes, the SSWMs set up the proposition that they shall hold a goal critical to the privatization. With judgement that it is ‘public religiosity,’ the study has analyzed to prove it. As the homepage of SSWMs publicizes in detail that the purpose of the meetings is religious publicity and the order of the worship service is clearly expressive of this purpose, the study analyses and explains them. The meetings summarize their purpose of worshipping as “to worship on the scene of battles, on the streets, taking the challenge and acting in regards to social responsibilities.” The sermons of these meetings are void of terms for wishes, such as blessings, grace, or success, and other concepts are interpreted as meaning social changes. The content of the sermons are aimed to change churches and the society. The titles for prayer are confined to events happening in the world and the society, and the points of time and space the prayer titles appear and disappear demonstrate the perspectives of these meetings towards the world. The order of worship services has been analyzed to analyze the public nature of the religion contained in it. The study may illuminate how the SSWMs demonstrate the public nature of a religion in contract to the privatization phenomena of churches.

      • KCI등재

        ‘무소속 신앙인’과 모임의 특성에 관한 연구: <세속성자 수요모임>을 중심으로

        안창덕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 2019 종교문화연구 Vol.- No.33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efinition of ‘independent believer’ and the identity of the gathering at the ‘Wednesdays meeting of the secular saints’(‘Wednesday gathering’ hereafter). It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studies on ‘Canaan Saints’ which has become a big problem in the recent Korean Christianity can be trapped in various kinds of contradiction due to the fact that the meaning of the terms is not understood clearly. Also, this study examines its content with the view that such gathering might become an alternative as a new evangelical movement. To this end, this study points out the error of the term ‘Canaan Saints’ and explains the legitimacy of ‘Independent Believers.’ The religious movement that is happening today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groups: one is a movement within the scope of existing religion and the other is the creation of a new religion. The ‘New Asceticism’ and ‘Wednesday Gathering’ in the United States share the common ground in that they are new religious movements within evangelicalism as well as in their contents. They criticize existing churches and societies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religion and culture and offer an alternative. Wednesday Gathering emphasizes the social participation of believers through rituals, and all orders reveal this. This gathering is neither structured nor continuous. The ‘Independent Believers’ attending the gathering are unmanaged and often attend one-off. This gathering only serves as a ritual for temporal gatherings and thus has a characteristic of liminal anti-structure. Here, ‘Independent Believers’ remain as ‘Marginal People.’ They also have a characteristic of ‘liquid church’ in that they emphasize the practice in reality while not being structural, and try to connect religion and society.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Wednesday Gathering becomes a ‘temporary community.’ This study can provide a clearer standard for the studies on the identity of ‘Independent Believers’ and their gathering, and deepens the understanding that the Wednesday Gathering with these characteristics seeks to become an alternative movement outside of church. 이 연구는 ‘가나안 성도’들에 대한 연구가 명확한 용어상의 의미가 파악되지 않은 채 이루어짐으로 해서 여러 모순에 빠질 수 있다는 전제를 가지고 <세속성자 수요모임(이하 수요모임)>에 모이는 ‘무소속 신앙인’들에 대한 정의(正意)와 이들이 모이는 모임은 어떤 정체성을 가지고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이 모임은 구조적이지 않으며 지속적이지도 않다. 여기에 참석하는 ‘무소속 신앙인’들은 관리되지 않으며 일회적으로 참석한다. 이 모임은 일시적 모임으로 종교 의례(ritual)만 제공할 뿐, 이로 인해 리미널(liminal)한 반구조(anti-structure)의 특성을 가진다. 여기서 ‘무소속 신앙인’은 ‘주변인’으로 남는다. 이런 특성으로 인해 <수요모임>은 ‘임시 공동체(temporary community)’가 된다. 이 연구로 ‘무소속 신앙인(Independent Believers)’과 이들이 모이는 모임의 정체성에 대한 연구에 보다 분명한 기준을 제시할 수 있고 이런 특성을 가진 수요모임이 교회 밖 대안운동으로 지향하고 있는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 KCI등재

        고령자의 종교적 참여와 연구 방향 제안

        안창덕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7

        이 연구는 고령화가 사회의 큰 문제로 등장한 한국에서 종교와 고령자와의 관계를 고찰하면서 종교적 참여에 초점을 맞춘 그동안의 연구에서 벗어나 종교적 참여를 하 지 않는 고령자들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사회의 발달과 기술의 진보로 인간의 수명은 이전보다 훨씬 늘어났으며 이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가 그 사회 가 해결해야 할 가장 우선적인 문제 중 하나가 되었다. 고령화에 대한 초기연구는 그 동안 신체적인 건강에 초점을 맞추고 진행되었으나 고령자의 건강은 단순히 신체적 건강뿐 아니라 정서적, 심리적 건강 등 삶의 질을 종합적으로 높이는 ‘성공적인 노화’ 에 대한 개념이 새롭게 등장하였다. 여기서 종교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 졌으며 이후 종교와 고령자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 런 연구는 주로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종교기관에 출석하는 고령자들을 대상으로 하며 교회나 종교기관에 정기적이고 고정적인 출석을 하지는 않지만 종교적 정체성을 가진 고령자들에 대한 연구는 미진하다. 이 연구는 교회나 종교기관에 출석하지는 않는 개신교 고령자를 대상으로 하며 가장 연구가 필요한 두 가지 경우로 첫째, 경제적 하위 집단에 있는 고령자들과 둘째, 교회를 떠나 방황하는 ‘가나안 고령자’를 제시하였다. 이 두 가지 사례는 신앙이 없어지거나 타 종교로 개종해서 기존의 종교적 정체성을 잃어버리는 것과 다르다. 이들은 자의적, 타의적으로 교회의 출석을 멈추게 되지만 여 전히 개신교인의 정체성을 유지한다. 따라서 그동안 종교와 고령화의 관계를 주로 교 회나 종교기관에 정기적으로 출석하는 고령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는 이들을 제 외한 한계를 가진다. 이 연구는 이들의 현황에 대한 설명을 한 후 이들에 대한 추후 연구의 필요성과 타당성을 제기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the elderly in Korea, where aging has emerged as a big problem in society, and has raised the need for research on the elderly who do not participate in religion, focusing on religious participation. The development of society and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have extended the life span of humans much more than before, making aging one of the world's top priorities. Early research on aging has focused on physical health, but the concept of "successful aging" has emerged a new, which not only improves physical health, but also improves the quality of life comprehensively, including emotional and psychological health. Religion is kn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here, and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the elderly has been actively conducted. However, these studies are mainly aimed at the elderly who attend organized and systematic religious institutions, and the studies on the elderly who have a religious identity, although they do not have regular and fixed attendance at church or religious institutions, are insufficient. This study targeted Protestant elderly people who did not attend churches or religious institutions and most needed to be studied, with the first, the elderly in economic subgroups and the second, the 'aged in Canaan' who wandered away from the church. These two examples are different from losing faith or losing existing religious identity by converting to another religion. They arbitrarily and deliberately stop attending church, but still retain their Protestant identity. Therefore, researches on older people who regularly attend church or religious institu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aging are limited.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explained the current situation and raised the necessity and validity of further study.

      • KCI등재

        실시간 전력 계통 해석을 위한 InTouch HMI 구현

        안창한(Chang-Han Ahn),이상(Sang-Deok Lee),박지호(Ji-Ho Park),장병훈(Byung-Hoon Chang),이현철(Hyun-Chul Lee),이근준(Geun-Joon Lee),백영식(Young-Sik Baek) 대한전기학회 2009 전기학회논문지 Vol.58 No.12

        Uncertainty of power system operation increases due to complexity and facilities diversification in the power system. Therefore the importance of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 which obtain and manage the actual data in real-time is very important. Accordingly in the studies of power system analysis, the efforts to include real-time power system analysis in simulation and applications are made in many ways. The real-time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SCADA system is considered so as to develop the power system analysis program that matches actual system conditions. The observation and management of SCADA system is realized by Intouch which is mainly used for factory automation and PSS/E(Power System Simulator for Engineers) provides real time system data. SQL DB and Python language is used for real-time communication between the softwares. It is very comfortable to use the various functions in Intouch WindowMaker.

      • 전력 계통 해석을 위한 InTouch HMI 구현

        안창한(Chang-Han Ahn),백영식(Young-Sik Baek),이상(Sang-Deok Lee),장병훈,이근준(Geun-Joon Lee),이현철(Hyun-Chul Lee) 대한전기학회 2009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9 No.7

        전력계통 해석 분야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시뮬레이션한 결과에 HMI를 도입하여 기존의 공급자 중심에서 사용자 중심으로 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조류계산 엔진 소프트웨어인 PSS/E를 사용하여 시뮬레이션을 했다. 그 결과값을 Python으로 코딩한 프로그램을 이용 SQL 데이터베이스로 옮겨 주었다.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구현된 InTouch에 데이터를 나타나게 함으로써 HMI를 구현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