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구광역시 마을공동체 사업의 성과 평가와 과제

        안지민,최정수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20 대구경북연구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mmunity vitalization projects promoted by Daegu Metropolitan City for the past five years (2015-2019) and to derive tasks to be resolved and future policy directions. The logic model was us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community vitalization projects. We attempted to improve the project on the basis of evaluation of the community vitalization projects. According to the logic model, We derived and selected evaluation elements representing input, activity, output, and outcome of the community vitalization projects. Then, we carried out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 of each element though doing literature research, questionnair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community vitalization projects steadily increased the output while continuing a certain level of input and activity every year. Also, they raised the awareness of the scope of the village and neighbors and the willingness to reside continuously. In addition, not only the formation of village communities increased, but the types of activities of village communities were also diversified. Theref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provide customized support corresponding to the diversification and segmentation of community demands in the future and to continuously support for the spread of community outcomes.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에서 지난 5년간(2015~2019년) 추진한 마을공동체 사업에 대해 평가하고 해결해야 할 과제와 향후 정책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마을공동체 사업의 성과를 평가하기 위해 프로그램 논리모형을 활용하였으며, 마을공동체 사업에 대한 평가를 통해 사업의 환류와 개선을 시도하였다. 논리모형에 따라 마을공동체 사업의 투입, 활동, 산출, 결과를 나타내는 평가요소를 도출․선정하고 문헌조사, 설문조사, 심층면접조사 등을 통해 각 요소에 대한 양적․질적 평가를 하였다. 투입은 인력, 재정, 제도, 활동은 지원, 교육, 홍보, 개발, 협력, 산출은 활동량, 활동만족도, 그리고 개발․생산․구축으로, 결과는 인식과 의향, 특성의 변화 등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마을공동체 사업은 매년 일정한 수준의 투입과 활동을 지속하면서 꾸준히 산출을 증가시켰으며 마을과 이웃의 범위 인식과 지속적 거주의향을 제고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마을공동체 형성이 늘어났을 뿐만 아니라 마을공동체의 활동유형도 보다 다양화되었다. 따라서 향후 공동체 수요의 다양화․세분화에 대응하는 맞춤형 지원과 공동체 성과 확산을 위한 지속적 지원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지역이해교육의 관점에서 본 중등 사회과 교과서의 대구·경북지역 자료 활용 실태와 개선과제

        안지민,최정수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21 대구경북연구 Vol.20 No.1

        In order to overcome the crisis of local decline, the need for regional understanding education has been growing. It is the time when it is necessary to localize secondary social studies subjects to expand the object of regional understanding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has analyzed regional data used for learning in a total of 21 social studies textbooks of secondary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on regional understanding in Daegu and Gyeongbuk, and derived future improvement tasks through discussion of the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usage of regional data in social studies textbooks of secondary education was generally insufficient, and the use of regional data was concentrated in a specific unit. Above all, many of the utilized local data were from the metropolitan area. Even by publisher, the level of redundant use of the metropolitan area data was very high. The use of regional data in Daegu was only 5 cases in 21 types of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all 5 were general regional data used for "learning through the region." As a task to improve this, this study presented the development of local content with specificity, sharing of recent local content, development of localization textbooks, and systematic management of the promising local content and results . 지방쇠멸 위기 극복 차원에서 지역이해교육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지역이해교육의 대상 확대를 위한 중등 사회과 교과의 지역화가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구․경북 지역이해교육의 관점에서 중등 사회과 교과서 총 21개 종을 대상으로 대구·경북 지역자료의 실태를 분석하여 개선과제를 도출하고, 이를 위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중등 사회과 교과서의 지역자료 활용이 전반적으로 부족하였으며, 지역자료의 활용이 특정 단원에 집중되었다. 무엇보다 활용된 지역자료의 상당수가 수도권 자료였으며, 출판사별로도 수도권 자료의 중복적 활용 수준이 매우 높았다. 대구의 지역자료 활용은 21종의 중등 교과서에서 총 5건에 불과하였고, 5건 모두가 ‘지역을 통한 학습’을 위해 활용된 일반적 지역자료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과제로 특수성을 담은 지역콘텐츠 개발, 개발된 지역콘텐츠의 공유, 지역화교재 개발, 개발된 지역콘텐츠 및 결과물의 체계적 관리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자녀의 고등직업교육기관직업체험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관한 연구: 경상북도 중도입국 청소년을 중심으로

        안지민,장흔성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21 대구경북연구 Vol.20 No.2

        This study explores the significance and essence of the experience gained by adolescents immigrants during their participation in vocational experience programs offered by higher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s. It aims to identify the structural circumstances and contexts that these youths experience during the process of moving to Korea It also seeks to offer guidance to support policies and career education and vocational experience programs necessary for the adolescents to successfully settle in a region by examining their participation in vocational experience programs.The aim was to direct vocational experience programs in providing services that align with the circumstances and preferences of participants. Three-stag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dolescent immigrants who participated in a vocational experience program co-hosted by Yeungnam University college’s community service center and Gyeongsangbuk-do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The intention behind the interviews was to allow the adolescents to restructure their experiences within a given context and discover significance themselves. A total of six topic categories were drawn from the interviews. While the participants were able to expand the scope of their awareness of a new environment through the vocational experience program, they still felt overwhelmed and want to proceed. It is deemed that the effectiveness of vocational experience programs for adolescents immigrants will increase when they are offered in conjunction with measures that secure residence stability connected to the local labor market. 본 연구는 중도입국 청소년이 고등직업교육기관 직업체험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가지는 경험을 탐색한 연구이다. 지역의 관점에서 중도입국 청소년이 한국으로 이주해서 직업체험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과정을 탐색하여 이들이 지역에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원 정책과 진로교육 및 직업체험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직업체험프로그램이 수요자의 상황과 선호에 부합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지역의 고등직업교육기관과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공동 개최한 직업체험프로그램에 참여한 중도입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신의 경험을 맥락 속에서 재구성하고, 스스로 의미를 찾도록 돕는 3단계 구조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얻은 연구참여자들의 경험 진술에서 6개 주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직업체험프로그램을 통해 새로운 세계에 대한 인식의 범위를 확장했지만 여전히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는 막막함 속에서 더 노력하고 싶은 욕구를 느끼고 있었다. 중도입국 청소년을 위한 직업체험프로그램은 지역의 노동시장과 연계한 체류 안정성 확보 방안과 함께 제공되어야 그 실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채생기우(蔡生奇遇)> 풍자성 고찰 -인물 형상화와 욕망을 중심으로-

        안지민 국문학회 2023 국문학연구 Vol.- No.48

        This article takes as its subject of study the Yadamgye(野談系) short novel Chaesaenggiwoo(蔡生奇遇). The purpose is to examine Old man Chae(蔡)’s Satirical character, his son’s psychological phase of fantasy, and traces of women’s desires.Through this, I would like to reveal that the way of depicting characters and desires contributes to effectively taking on satire. Previous studies have tended to look at the work mainly based on the confrontation between Old man Chae(蔡) and interpreter Kim Ryeong(金令). It seems that there was a strong intention to place the work in the coordinates toward modern realism novels by highlighting aspects that dynamically show social status trends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However, as that view has solidified to this day, it is thought that areas excluded from the work also clearly existed. This paper focused on three aspects of the excluded areas. First, contrary to the existing view that defined Old manChae’s character as ‘serious’ and ‘stern’, it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fallen noble class is effectively being satirized by acquiring a comical typicality that goes back and forth between desire and respect (ideology) around ‘whims’ and ‘memory loss’. Next, the description of the fantastic desire detected in the son Chae-saeng(蔡生)’s gaze, attitude, and emotions shows that this text is not only composed of the axis of the confrontation between old man Chae and interpreter Kim Ryeong, but also that there is another axis of generational conflict between father and son. This tells us that the text contains a fantastic narrative of the son’s dual desire to fulfill his desire that goes against his father’s teachings without seriously violating his father’s world. Next, we examine how the fantastic desire detected in the son Chae-saeng’s gaze, attitude, and emotions reveals the duality of hesitation between his father’s teachings (ideology) and his desire. In addition, it is revealed that the son’s narrative is being satirized by depicting the narrative of a foolish person’s megalomaniac desire and windfall as the miraculous fulfillment of the desire is achieved solely by the interpreter. Lastly, by analyzing the desires of old man Chah’s wife, Chae-saeng’s wife, and Kim Ryeong’s daughter, we examine how each woman escapes from traditional hierarchical relationships and society’s expected gaze. In doing so, this article aims to reveal that the text satirizes the downtrodden yangban clas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ile unleashing the various desires of the members of the Fallen Yangban family.

      • KCI등재

        사전학습 코드 언어 모델 기반의 외부 지식 프롬프트를 활용한 결함 감지 연구

        안지민,이재훈,최윤석,이지형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24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34 No.2

        소스 코드의 결함을 감지하는 작업은 소프트웨어의 유지보수 및 안정성 향상 측면에서 매우중요한 작업이다. 최근 대용량의 자연어와 코드 데이터셋으로 사전학습한 언어 모델의 등장으로 추가 학습을 통해 결함 감지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사전학습 모델은비교적 명확한 문법적 오류에 대해서 높은 감지율을 보이는 것에 비해,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는 런타임 오류에 대해서는 낮은 감지율을 보인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런타임오류에 대한 감지 성능을 높이고자 결함 감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외부 지식 데이터 풀을구축하고, 코드의 계층 구조를 활용한 검색 기법을 통해 데이터 풀에서 적절한 외부 지식을검색해 이를 모델의 프롬프트로 활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을 통해, 기존 방법 대비 정확도와 F1-score에서 높은 성능 향상을 보여 제안 방법이 효과적임을 보였다. Identifying potential errors in source code is a crucial task for enhancing softwaremaintenance and reliability. The recent emergence of pre-trained language modelstrained on huge datasets of natural language and programming language hasenabled defect detection through fine-tuning. However, these models have a highdetection rates for relatively obvious syntax errors, but they struggle to detectruntime errors which can stem from various causes. In this paper, we propose amethod to enhance runtime error detection performance by leveraging externalknowledge. Our approach builds an external knowledge base consisting of codesand their commit messages, and retrieve a sentence relevant to the input sourcecode from the knowledge base as a prompt for the model. Through experiments, we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our proposed method by showing a highperformance improvement in accuracy and F1-score compared to existingapproaches.

      • KCI등재

        사회서비스의 주관적 성과에 관한 이용자와 제공자의 인식 비교 연구 : 대구광역시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을 중심으로

        안지민 한국비교정부학회 2014 한국비교정부학보 Vol.18 No.3

        This study is based on the coorientation model, which claims that the effects of social services can be maximized when the discrepancies between users’ and providers’ perspectives are fully understood in the process of reflecting social service users’ subjective outcome ratings in social service policy as performance information. Based on the model, this study examines if there are discrepancies between social service users’ and providers’ perspectives on the subjective outcomes of social services; the study includes a comparison analysis on factors that influence the subjective service outcomes as perceived by users and providers. The results indicate discrepancies between service users and service providers at the level of evaluating the subjective service outcomes. Similarly, a high degree of discrepancies was also demonstrated in the influence of attribute-level satisfaction on overall satisfaction. Such differences between users’ and providers’ perspectives on subjective service outcomes should be understood so that they can be efficiently reflected in policy-making, and systematic evaluation should be conducted with a focus on performance management rather than achievement assessment.

      • 재즈 보컬 알 자로(Al Jarreau)의 스캣(Scat) 라인 분석

        안지민,한경훈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7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1

        스캣이란 재즈 싱어들이 복잡한 선율을 악기처럼 연주하는 테크닉으로서 주로 스윙 시대와 비밥 시대를 거치면서 발전을 해왔다. 스캣 싱잉의 대표 연주자로는 엘라 피츠제럴드, 루이 암스트롱, 바비 맥퍼린 등이 있고, 각자 고유한 스타일과 연주기법으로 개인의 영역을 확장해 왔으며, 가요를 포함하여 여러 장르의 대중음악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알자로의 스캣 라인의 특색은 첫째로 보컬의 즉흥연주는 다른 악기와는 다르게 가사와 호흡, 음절에 지대한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둘째로 하나의 악기로서의 개념으로 접근해 본 목소리의 한계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참고자료로 크게 드럼, 색소폰, 베이스, 트럼펫, 플루트, 콩가로서 음절 및 발음을 포함한 소리의 유사성을 구분하고 그 쓰임을 분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