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배뇨곤란 대상자 사례기반 교육이 간호 대학생의 단순도뇨 지식, 단순도뇨 자신감 및 단순도뇨 술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안준희,황은숙 중소기업융합학회 2021 융합정보논문지 Vol.11 No.2

        본 연구는 배뇨곤란 환자 사례기반 교육이 간호 대학생의 단순도뇨 지식, 단순도뇨 자신감 및 단순도뇨 술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19년 5월에서 6월까지 수집하였으며 J시내에 위치한 간호대학생 3학년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간호 대학생 75명을 실험군 37명과 대조군 38명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X2-test, independent t-test와 paired-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단순도뇨 자신감(t=4.60, p<.001)과 단순도뇨 술기능력 (t=3.46, p=.001)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사례기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단순도뇨 지식에서는 유의 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뇨곤란 사례기반 교육은 단순도뇨 자신감, 단순도뇨 술기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교육 중재로 사용 될 수 있을 것이지만 단순도뇨 지식에서는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교육의 효과에 대한 검증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cenario-based education for patients with difficulty urination on nelaton knowledge, nelaton confidence, and nelaton catheterization skill abil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May to June 2019, and were conducted for the third grade nursing students located in J city.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in 75 junior nursing college students subjects who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37 and the control group 38.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the X2-test, independent t-test and paired-te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nelaton confidence(t=4.60, p<.001), nelaton catheterization skill ability(t=3.46, p=.001). But scenario-based education was found to be insignificant in the nelaton knowledge of nursing students. Difficulty urination scenario-based education can be used as an effective educational intervention to improve nelaton confidence and nelaton catheterization skill ability. However, in nelaton knowledge,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through additional research.

      • KCI등재

        감정적 여성, 이성적 남성: 미국 중산층 아동들의 또래 놀이에 나타난 젠더와 감정

        안준희 한국문화인류학회 2010 韓國文化人類學 Vol.43 No.1

        Previous research on gender and emotion tends to focuses on the influences of adult socialization practices make on children's acquisition of emotion and gender ideology. Following In contrast, recent studies on children and socialization that emphasizes the role of children and their peer culture make in cultural reproduction, . Following this recent trend, this paper examines how American middle-class children learn cultural ideology regarding gender and emotions, especially focusing on children's pretend play. The First, the analysis of children's pretend play text first shows that illustrates how children actively use and reproduce adult ideologies on of emotionality and gender to produce and construct their peer pretend play. In It particularly illustrates , it shows that children do in fact have very sophisticated ideas about emotion and gender, including the beliefs that women are more emotional than men, and also that men's anger is legitimate whereas women's anger is dangerous. Second, the research shows that children do not passively imitate or adopt adult models of emotion and gender, . but Rather, they actively appropriate, reconstruct, and reformulate adult’s models them to address the goals of children pursue within their peer world such as shifts of alliance formation and exclusion, and or the pursuit of authority and power. The contextual fluidity found in children's expression of emotion and gender suggests that relations between gender and emotionality are not essential and static, but always conflicting, contested, and reformulated by children who makes a significantly contribution contribute as active participants. 기존의 감정사회화 이론들은 젠더화된 사회화 관습에 주목함으로써 감정과 성차의 문화적 재생산에 부모 및 교사가 미치는 절대적인 영향력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재생산의 장으로서의 아동세계와 또래 문화에 주목하여 아동들의 적극적인 학습과 또래 세계에의 창조적인 적용을 통해 감정과 젠더에 관한 미국 사회의 문화적 이데올로기가 재생산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미국 중산층 아동들의 또래 역할 놀이(pretend play)에 표현된 감정과 젠더 관한 문화적 지식을 미국 사회의 감정 규범 및 젠더이데올로기와 관련하여 분석한다. 연구는 여성이 남성보다 감정적이라는 문화적 믿음, 그리고 특정 감정, 특히 여성과 남성의 화에 관한 미국 사회의 이중적 태도를 여성성, 남성성, 남녀의 위계, 남성과 여성의 영역 등 미국 사회의 젠더이데올로기와 연계하여 아동 또래 역할 놀이의 주제로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아동들이 역할 놀이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단순히 어른 세계의 감정과 젠더에 관한 문화적 지식을 수동적으로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이들을 자신들의 또래 세계의 사회적 목표와 문화적 주제를 위해 적극적으로 차용, 재생산, 재구성함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아이들의 젠더와 감정에 관한 문화적 지식 및 이데올로기가 본질적이고 고정불변한 것이 아닌 사회적 맥락 따라 끊임없이 새롭게 구성되고 변화하는 것이며, 이 과정에는 부모와 교사로 대표되는 사회화 담당 기관뿐만이 아닌 아동들, 특히 아동들이 적극적이고 창조적으로 만들어내는 또래 문화가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 KCI등재

        세대별 여성 소비자들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관한 연구 - 실버, 베이비붐, X세대간 비교 연구 -

        안준희,허원무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08 마케팅논집 Vol.16 No.4

        본 연구는 미국 여성들의 실버, 베이비붐, X세대간 식생활차원의 라이프스타일 분석을 통해 세대간 라이프스타일 차이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 미국 여성 소비자들의 식생활관련 삶을 특징짓는 12개의 라이프스타일이 도출되었었다. 12개 라이프스타일간 세대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환경지향, 외식지향, 파티지향, 냉장식품지향, 주방가전무관심, 주방가전대형화, 건강식 지향, 가격민감 관련 8가지 라이프스타일이 세대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족지향, 유행/혁신지향, 주방가전개선, 주방가전청결 관련 라이프스타일은 세대별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버세대는 다른 세대에 비해 외식지향, 냉장식품지향, 주방가전대형화, 가격민감도가 낮은 반면, 환경과 건강식에 대한 관심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베이비붐세대는 실버세대에 비해 외식지향, 냉장식품지향, 주방가전대형화, 가격민감도는 높은 반면, X세대에 비해 환경지향, 파티지향적 특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X세대는 다른 세대에 비해 주방가전에 대한 관심이 낮은 반면, 파티지향적 특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른 세대에 비해 환경지향적인 관심이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세대 간 라이프스타일에 특성에 대한 이해를 제고시킬 수 있는 다양한 시사점을 제시해 주고 있으며, 향후 세대 간 비교 연구를 위한 토대를 마련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merican female household consumers' lifestyle structures regarding food-related AIO among three generation (the mature, baby boomers, and the generation X). Data were collected from a cross-sectional survey of 518 American female consumers aged between 20 and 65. The results foun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welve meaningful lifestyles, including those related to environment, social and dining, party, refrigerated food, indifference toward kitchen appliances, health food, size of kitchen appliances, and price consciousness. As for the mature compared to the other two generations, they were more interested in environment and health food, yet not so much in social and dining, refrigerated food, size of kitchen appliances, and price consciousness. As for the baby boomers, they were more interested in social and dining, refrigerated food, size of kitchen appliances, and price consciousness compared to the mature, while they were less interested in environment and party compared to the generation X. In regard to the generation X, they were indifferent toward kitchen appliances and less interested in environment, while they were much more oriented in party than the other two gener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s various implication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life styles among the three gener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comparing different generations.

      • KCI등재

        "그러면 나는 너 사랑 안 할 거야": 한국 중산층의 감정사회화와 아동의 행위성

        안준희 한국문화인류학회 2014 韓國文化人類學 Vol.47 No.2

        In this article, I examine how Korean middle-class children learn and acquire the local cultural meanings of emotions, especially culturally specified notions of "love," focusing in particular on the children's own experiences. By analyzing discourses of love from children's peer talk as well as talk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I argue that children do not passively adopt adult cultural inputs regarding emotions, but rather engage in the creative appropriation and strategic reinterpretation to construct their own culture-laden emotional world. My findings articulate the contribution children and their peer talk make to emotional socialization and the inherent dynamism of socialization. 본 논문은 한국 중산층 아동들이 감정과 관련된 사회문화적 지식을 학습·재생산·재구성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특히 '사랑'과 관련된 감정담화 분석을 중심으로, '사랑'이라는 감정을 둘러싼 문화재생산 및 사회화의 과정을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아동과 아동이 만들어 내는 또래문화 및 또래담화의 역할에 주목한다. 논문은 '사랑'에 관한 교사들의 담화와 아동 또래담화에 대한 분석을 통해, 아동들이 '사랑'이라는 감정과 관련된 다양하고, 파편화되고, 때로는 모순적인 사회문화적 지식들을 수동적으로 습득하기보다는 이를 또래세계의 사회문화적 목표를 위해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변형함을 보여 준다. 논문의 결과는 감정사회화가 감정에 관한 문화적 지식이 어른에게서 아동들에게 전해지는 단선적 과정이 아닌 아동과 그들의 문화가 주요한 역할을 하는 역동적 과정임을 드러낸다.

      • KCI등재

        일부 고혈압 전단계 성인의 고혈압 지식, 태도와 예방행위와의 관계

        안준희,이명하,유광수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017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Vol.34 No.5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hypertension knowledge, attitude, and preventive activities of 20-30 years prehypertension adults. Method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78 prehypertension adults in J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questionnaires for knowledge, attitude and preventive activities. The data analysis was done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mean of hypertension knowledge was 10.99 out of 18, attitude was 4.28 out of 5, and prevention activities was 5.32 out of 7. The influencing factors for hypertension preventive activities were attitude, perceived health status, marrital status and gender which accounted for 82.6% of the total variance. Conclusions: Hypertension attitude was identified as a variable that affects hypertension preventive activities. For preventing hypertension, national campaign and health education program in each prehypertension early adults need to be built.

      • KCI등재

        관상동맥중재술 환자의 지지교육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안준희,조은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9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upportive education on physical, psychological status and quality of life in the patients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who had not participated previously in cardiac rehabilitation program. This study was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pre-post design, conducted on 49 patients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The experimental group (n=25) received the supportive educational program (self-care management through the booklet respectively and 8 times after discharge through outpatient visits or telephone contact). The control group (n=24) received a traditional discharge education.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descriptive statistics, χ2- test and ANCOVA using the SPSS/ WIN 22.0 program. Quality of life of the experimental group provided with supportive educ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F=25.45, p<.001) and functional status between two groups was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F=19.61, p<.001). Supportive education must be the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enhancing quality of life of coronary artery disease patient. 본 연구는 관상동맥중재술 후에 이전에 심장재활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았던 환자들로 지지교육을 제공한 후 육체적, 심리적 상태에 대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대조군 전후설계로 49명의 관상동맥중재술 후 환자를 대상으로 2014년 8월에서 12월까지 실시하였다. 실험군 (n=25)은 지지교육 프로그램(자가간호 관리 책자와 퇴원 후 병원 외래에서와 전화로 8번의 지지교육)을 실시하였다. 대조군 (n=24)은 기존에 사용하던 퇴원 교육을 받았다. 통계분석은 SPSS/ WIN 22.0 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와 χ2- test, ANCOVA를 이용하였다. 일대일 지지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전체적인 삶의 질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F=25.45, p<.001), 하위 영역 중 기능수준 점수(F=19.61, p<.001)와 전반적 건강(F=10.59,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안녕 수준(F=.69, p=.505)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관상동맥중재술 환자의 지지교육은 대상자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 할 수 있는 효과적인 간호중재임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우리는 모두 친구’, ‘우리는 모두 아름반’: 미국과 한국의 공동체성 사회화에 대한 비교문화적 기술

        안준희 한국문화인류학회 2019 韓國文化人類學 Vol.52 No.1

        In this paper, I comparatively examine the meanings of communality enacted in the preschool classrooms of the U.S. and Korea. Based on detailed ethnographic description of everyday socialization practices in two preschools, I focus on three themes: the meanings of community, ways of conceptualizing “sharing”, teachers’ attitudes towards competit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while teachers in the U.S. imagine an idealized community as a place where everyone is included and treats one another kindly, Korean teachers emphasize cooperation, oneness, and loving minds as essential components of an ideal community. These different images of community lead to varying practices and attitudes towards sharing and competition. Sharing in the U.S. classroom typically means taking turns while Korean teachers, in their practice of sharing, encourage children to simultaneously use things together. Whereas teachers in the U.S. classroom regard children’s competitive talk as socially appropriate expressions as long as they accompany kindness, Korean teachers view children’s competition as hindering social cooperation, and they thereby strive to prohibit children’s competitive interactions. By articulating how so–called sociocentric values are particularized in everyday activities of both classrooms, the paper critically discusses previous dichotomous framework of personhood and suggests the needs to pay attention to the multifacetedness and inherent dynamism of human separateness and connectedness. 본 논문은 미국과 한국의 유아원에서 실천되는 공동체성의 문화특수적 측면을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한국과 미국의 중산층 유아원에서실천되는 사회화 관습을 교사들이 상상하는 공동체의 모습, 나눔의 실천, 경쟁에 대한 태도라는 세 주제를 중심으로 비교 분석한다. 논문은 미국 유아원에서 상상하고 실천되는 공동체에서는 개방성, 포용성, 친절함이, 한국 유아원에서는 협동, 하나됨, 소속감, 마음이 강조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공동체에 대한 상이한 상상은 나눔과 경쟁이라는 사회화 가치를 개념화하는 방식에도 영향을 미쳐, 미국 유아원에서 나눔은 물건이나 공간을 돌아가면서쓰는 것으로 실천되는 반면, 한국 유아원에서 나눔이란 물건과 공간을 동시에 공동으로 사용하는 것을 의미했다. 또한 미국 교실에서 경쟁은 친절함을 수반하는 한 사회적으로 절절한 표현으로 허용되는 반면, 한국 교실에서 구성원들 간의 경쟁은 협력을 방해하는 부정적인 요소로 평가되었다. 한편 한국 교실에서 집단 간의 경쟁은 지속적으로 독려되었다. 논문은 비교문화적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인간 존재의 개별성과 집합성을 상상하고 실천하는 방식에 존재하는 문화차를 논의한다.

      • KCI등재

        A Study on Antecedents of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Older Adults : A test of the Stress-diathesis Model

        안준희,전미애 韓國老年學會 2009 한국노년학 Vol.29 No.2

        한국에서 노인들의 자살문제가 점점 중요한 사회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데 비해, 자살현상과 효과적으로 자살을 예방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자살에 대한 생각은 자살 시도와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을 대상으로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수를 도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스트레스-소질 모델(Stress-diathesis Model)에 기반을 둔 본 연구는, 자살생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소질 요인과 스트레스 요인을 파악하였다. 또한 이 연구는 이들 요인간 유의미한 상호작용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거주형태(독거)와 우울증이 자살생각의 유의미한 주요선행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신경증과 우울증, 신경증과 생활사건의 상호작용 효과는 자살생각에 대한 강력한 설명력을 보여줌으로써, 스트레스 소질 모델이 노인의 자살 생각을 설명할 수 있는 적절한 모델임을 시사해주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노인들의 자살을 방지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관련 연구에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점과 미래 연구의 방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While late-life suicide has been increasing and become an important issue for public health in Korea, little is known about the phenomenon and its contributing risk factors based on which effective preventive measures can be made. Since suicidal ideation is a major precursor to attempted and completed suicide,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reveal primary contributors to suicidal ide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a cross-sectional survey of 247 community-dwelling Korean older adults (age≧60) in the mid-size city in Korea. The statistical methodology employed a robust hierarchical regression procedure that iteratively downweights outliers. Based on the stress-diathesis model, the study examined major diathesis and stressors directly explaining suicidal ideation. The study also explored the significant interaction among these factors. The findings revealed that living alone and depression were significant main antecedents of suicidal ideation. In addition, neuroticism X life events and neuroticism X depression were significant interaction terms with the strongest explanatory power, which provides an empirical evidence to support the stress-diathesis model in explaining suicidal phenomenon of the Korean elderly. The result demonstrates the theoretical implication as well as the practical implication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late-life suicide prevention strategie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