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촌지역 거주 노인의 통합적 인권보장 실태에 관한 연구

        안준희,김미혜,정순둘,김수진 한국노년학회 2018 한국노년학 Vol.38 No.3

        This study purport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human rights of older adults residing in rural areas of Korea. The study utilized, as an analytic framework, 4 priority directions (1. “older persons and development”, 2. “rural area development”, 3. “advancing health and well-being into old age”, and 4. “ensuring enabling and supportive environments”) with 13 task actions recommended by Madrid International Plan of Action on Ageing (MIPAA). Furthermore, the study examined gender differences in all items included in the analytic framework. Data was collected by the face-to-face survey on 800 subjects aged 65 and over.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TATA 13.0 program. The main results were summarized in order of 4 priority directions as follows. First, average working hours per day were 6.2, and men reportedly participated in economic activities and needed job training more than women, while women participated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more than men. Awareness of fire and disaster prevention facilities was low in both genders. Second, accessibility to the support center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as well as protective services for the vulnerable elderly was found to be low. IT-based services and networking were used more by men than women, and specifically, IT-based financial transactions and welfare services were least used. Third, medical check-ups and vaccinations were well received, while consistent treatments for chronic illnesses and long-term care services were relatively less given. In addition, accessibility to mental health service centers was considerably low. Fourth, although old house structures and the lack of convenience facilities were found to be circumstantial risk factors for these elders, experiences of receiving housing support services were scarce. The elderly were found to rely more on informal care, and concerns for their care were higher in women than men. Plus, accessibility to elderly abuse services was markedly low.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ed were implications for implementing policies and practical interventions to raise the levels of the human rights for this population. 본 연구는 마드리드 고령화 국제행동계획(MIPAA)의 노인 인권보장 관련 기준이 제시하는 1) 노인과 발전, 2) 농촌개발 3) 노년까지의 건강과 안녕증진, 4) 독립된 생활을 지원하는 환경확보라는 주요 방향과 13개의 세부 과제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농촌 노인 인권관련 실태를 통합적으로 파악하고 이에 대한 성별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북, 경기, 충남, 전남의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8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고, 기술통계분석과 T-test 분석을 STATA 13.0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노인과 발전: 경제활동은 참여율과 노동시간이 남성이 높았으며, 일평균 노동시간은 6.2시간으로 나타났다. 평생교육은 여성의 참여율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직무교육의 필요성은 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긴급 상황에서 화재 및 방재시설에 대한 인지 정도는 남녀 모두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농촌개발: 독거노인지원센터 및 취약계층이 받는 보호지원 서비스의 접근성이 낮았고, 정보기기 기반 서비스 이용률 및 정보기기 통한 교류 여부는 여성이 전반적으로 낮았으며, 정보기반 서비스 중 금융거래 및 행정/복지서비스 관련 이용률이 가장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3) 노년까지의 건강과 안녕증진: 보건의료서비스의 경우 1회성의 건강 검진 및 예방 접종의 이용률은 높은 반면 만성질환의 정기적 관리 및 중증질환을 관리하는 장기요양서비스 이용률은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정신건강관련 기관의 접근성은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4) 독립된 생활을 지원하는 환경확보: 주택안전에서는 주택구조와 편의시설 부족이 가장 위험하다고 응답했으나, 주거서비스 지원을 받은 경험은 낮게 나타났다. 돌봄 환경에서는 여전히 비공식적 돌봄에 의지하며, 돌봄에 대한 여성의 걱정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대서비스는 접근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농촌노인 인권보장상황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 및 실천적 개입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감정적 여성, 이성적 남성: 미국 중산층 아동들의 또래 놀이에 나타난 젠더와 감정

        안준희 한국문화인류학회 2010 韓國文化人類學 Vol.43 No.1

        Previous research on gender and emotion tends to focuses on the influences of adult socialization practices make on children's acquisition of emotion and gender ideology. Following In contrast, recent studies on children and socialization that emphasizes the role of children and their peer culture make in cultural reproduction, . Following this recent trend, this paper examines how American middle-class children learn cultural ideology regarding gender and emotions, especially focusing on children's pretend play. The First, the analysis of children's pretend play text first shows that illustrates how children actively use and reproduce adult ideologies on of emotionality and gender to produce and construct their peer pretend play. In It particularly illustrates , it shows that children do in fact have very sophisticated ideas about emotion and gender, including the beliefs that women are more emotional than men, and also that men's anger is legitimate whereas women's anger is dangerous. Second, the research shows that children do not passively imitate or adopt adult models of emotion and gender, . but Rather, they actively appropriate, reconstruct, and reformulate adult’s models them to address the goals of children pursue within their peer world such as shifts of alliance formation and exclusion, and or the pursuit of authority and power. The contextual fluidity found in children's expression of emotion and gender suggests that relations between gender and emotionality are not essential and static, but always conflicting, contested, and reformulated by children who makes a significantly contribution contribute as active participants. 기존의 감정사회화 이론들은 젠더화된 사회화 관습에 주목함으로써 감정과 성차의 문화적 재생산에 부모 및 교사가 미치는 절대적인 영향력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재생산의 장으로서의 아동세계와 또래 문화에 주목하여 아동들의 적극적인 학습과 또래 세계에의 창조적인 적용을 통해 감정과 젠더에 관한 미국 사회의 문화적 이데올로기가 재생산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미국 중산층 아동들의 또래 역할 놀이(pretend play)에 표현된 감정과 젠더 관한 문화적 지식을 미국 사회의 감정 규범 및 젠더이데올로기와 관련하여 분석한다. 연구는 여성이 남성보다 감정적이라는 문화적 믿음, 그리고 특정 감정, 특히 여성과 남성의 화에 관한 미국 사회의 이중적 태도를 여성성, 남성성, 남녀의 위계, 남성과 여성의 영역 등 미국 사회의 젠더이데올로기와 연계하여 아동 또래 역할 놀이의 주제로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아동들이 역할 놀이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단순히 어른 세계의 감정과 젠더에 관한 문화적 지식을 수동적으로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이들을 자신들의 또래 세계의 사회적 목표와 문화적 주제를 위해 적극적으로 차용, 재생산, 재구성함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아이들의 젠더와 감정에 관한 문화적 지식 및 이데올로기가 본질적이고 고정불변한 것이 아닌 사회적 맥락 따라 끊임없이 새롭게 구성되고 변화하는 것이며, 이 과정에는 부모와 교사로 대표되는 사회화 담당 기관뿐만이 아닌 아동들, 특히 아동들이 적극적이고 창조적으로 만들어내는 또래 문화가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노인의 적응적 대처, 기능 제한, 사회적 지지, 자살 생각 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경로 분석: 재미 한인 노인을 대상으로

        안준희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6

        This study purport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IADL, social support, and suicidal ide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adaptive coping strategies on IADL, social support, and suicidal ideation. Specifically, the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IADL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aptive coping strategies and suicidal ideation. Using data from 220 community dwelling older Korean immigrants (age 65 and older) in Los Angeles County, path analysis was conducted to test the study hypotheses by STATA program. The resulting model accounted for 47 % of the variance in suicidal ideation, with adaptive coping strategies making the largest contribution to suicidal ideation. While IADL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suicidal ideation, social support satisfaction did not play a significant role in mediating between adaptive coping strategies and suicidal ideation. Meanwhile, adaptive coping strategies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associated with IADL and positively related to social support. Adaptive coping strategies was not only found significantly directly associated with suicidal ideation but also indirectly via IADL and social support. Findings provide implications for implementing culturally sensitive, suicide-prevention programs for older Korean immigrants, especially those living with functional disability. 본 연구는 재미 한인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에 있어서 경험하는 기능 제한이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에 관련된 심리 사회적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첫째, 기능 제한이 자살 생각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력을 살펴보고,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둘째, 적응적 대처전략이 기능적 제한, 사회적지지, 자살생각 간의 구조적 관계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1) 적극적 대처 전략이 기능 제한, 사회적지지, 자살생각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2) 마지막으로는 적극적 대처전략이 기능제한과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자살생각에 이르는 간접적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자는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거주하는 한인 노인 220명이었으며, 설문지 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가설검증을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경로 분석을 실시 하였다. 연구결과로는 기능 제한은 자살 생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 적응적 대처 양식은 기능제한에 유의미한 부적영향을, 사회적지지에는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적응적 대처양식은 자살 생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을 뿐 아니라 사회적 지지와 기능 제한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기능장애를 가진 취약한 재미 한인 노인들의 자살 위험을 낮추는데 효과적인 예방 전략을 식별하고 문화적으로 민감한 정신건강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관상동맥중재술 환자의 지지교육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안준희,조은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9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upportive education on physical, psychological status and quality of life in the patients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who had not participated previously in cardiac rehabilitation program. This study was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pre-post design, conducted on 49 patients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The experimental group (n=25) received the supportive educational program (self-care management through the booklet respectively and 8 times after discharge through outpatient visits or telephone contact). The control group (n=24) received a traditional discharge education.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descriptive statistics, χ2- test and ANCOVA using the SPSS/ WIN 22.0 program. Quality of life of the experimental group provided with supportive educ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F=25.45, p<.001) and functional status between two groups was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F=19.61, p<.001). Supportive education must be the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enhancing quality of life of coronary artery disease patient. 본 연구는 관상동맥중재술 후에 이전에 심장재활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았던 환자들로 지지교육을 제공한 후 육체적, 심리적 상태에 대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대조군 전후설계로 49명의 관상동맥중재술 후 환자를 대상으로 2014년 8월에서 12월까지 실시하였다. 실험군 (n=25)은 지지교육 프로그램(자가간호 관리 책자와 퇴원 후 병원 외래에서와 전화로 8번의 지지교육)을 실시하였다. 대조군 (n=24)은 기존에 사용하던 퇴원 교육을 받았다. 통계분석은 SPSS/ WIN 22.0 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와 χ2- test, ANCOVA를 이용하였다. 일대일 지지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전체적인 삶의 질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F=25.45, p<.001), 하위 영역 중 기능수준 점수(F=19.61, p<.001)와 전반적 건강(F=10.59,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안녕 수준(F=.69, p=.505)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관상동맥중재술 환자의 지지교육은 대상자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 할 수 있는 효과적인 간호중재임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중고령 장애인의 차별 경험이 주관적 건강상태와 주관적 행복도에 미치는 영향: 선형성장모형을 이용하여

        안준희 한국노인복지학회 2022 노인복지연구 Vol.77 No.2

        This study examined to analyze the effects of discrimination experiences on self-perceived health and happiness in the middle aged with disability using the data of 2nd wave PSED(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For the data analysis, linear growth model was applied to four year(2006-2019) data to examine the effects on the base year and the rate of change. The results showed that self-perceived health and happiness had a constant rate of growth during period of four years. The results of conditional growth model showed that education levels, income, employment, chronic illness were significant contributors to self-perceived health trajectories while discrimination*exercise days and discrimination*education levels ha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As for happiness trajectories, income, age, average exercise days a week, smoking,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chronic illnes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whereas discrimination*employment and discrimination*perceived SES levels ha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Based on these results, theoretical, practical as well as polic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o help improve discrimination towards the midde aged with disability, as well as their health and mental health status. 본 연구는 중고령 장애인의 차별 경험과 부가적 차별요인들이 주관적 건강상태와 주관적 행복도의 궤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실시한 장애인고용패널조사로부터 수집된 2차 웨이브(제 1-4차) 원자료를 사용하였다. 중고령 장애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주관적 행복도의 초기 값와 변화율에 대한 예측요인을 모형화한 연구 모형을 선형성장모형(Linear Growth Model)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고령 장애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주관적 행복도는 매년 소폭 증가하는 성장변화를 나타냈다. 이러한 변화를 설명하는 조건모형 분석결과, 주관적 건강상태의 변화를 설명하는 주요변수로는 학력, 소득수준, 취업 여부, 만성질환이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조절변수로는 차별 경험x운동일 수와 차별 경험x최종 학력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주관적 행복도의 변화를 예측하는 주요변수로는 소득수준, 연령대, 1주일 평균 운동일, 흡연 여부, 차별 경험, 만성질환이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조절변수로는 차별 경험x취업 여부와 차별 경험x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이중위험가설 및 교차이론에 대한 이론적 함의를 제시하고, 중고령 장애인의 건강 불평등을 완화 시킬 수 있는 실천적⋅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간호학과 남학생들의 학과 적응 과정

        안준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7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necessary information for educational intervention by discovering the components and factors related to the adaptation process of mal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nursing. This qualitative research suggested by Strauss & Corbin(1998) and data collection had been conducted from April to August, 2016 using in-depth interview method. It was started with an open-ended question with "How are you doing at school these days?" and the interview took about one to two hour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provided by Strauss & Corbin(1998). As a result of category analysis by paradigm about the research on male nursing students' adaptation experience in the department, it was found that causal condition is 'academic specificity', and main phenomenon is 'uncomfortableness', and contextual condition is 'gender difference and social prejudice'. Also, it was represented that interventional condition is 'putting meanings(motive for application)', and action/interaction strategy is 'challenge spirit(vision)', which led to 'endurance for vision' and 'complementar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which help male students adapt more well through wide comprehension about the adaptation process in the department of nursing. 본 연구는 간호학과의 남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과 적응 과정의 구성요소와 도움을 주는 요인을 밝혀냄으로써 중재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방법은 Strauss & Corbin (1998)이 제안한 질적 연구 방법론으로 2016년 4월부터 8월까지 심층면담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요즘 학교생활은 어떠하십니까?"의 질문으로 면접은 1~2시간 정도 걸렸으며 자료 분석은 Strauss & Corbin (1998)이 제공한 '개방 코딩', '축 코딩' 및 '선택적 코딩'에 따라 수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남자 간호 대학생들의 적응 경험에 대한 패러다임 분석을 통해 인과적 조건이 '학과의 특이성'이고 주된 현상은 '불편함'이며 맥락적 조건은 ‘성별 차이’와 ‘사회적 편견 '. 또한 중재적 조건은 ‘의미(지원 동기)', 작용/상호 작용 전략은 '비전을 위한 인내'과 '상호보완'을 이끌어내는 '도전 정신'이다. 본 연구결과는 간호학과 남학생들의 학과 적응 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통해보다 학과 적응을 돕는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겠다.

      • KCI등재

        언어사회화와 또래 담화 연구

        안준희 한국문화인류학회 2024 한국문화인류학 Vol.57 No.2

        This article provides a review of peer language socialization approach, a research area that combines the language socialization perspective with a conversation-analytic one which focuses on moment-to-moment processes of children’s interaction with one another in their own peer groups. After introducing the historical backgrounds and theoretical underpinnings of peer language socialization research, it discusses three major themes and findings of this area: (1) how peer talk establishes and maintains peer culture (2) how peer talk repro duce issues asso ciated with so cial catego ries and identities (3) how peer talk maintain and transform sociopolitical and linguistic landscap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