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인권리협약의 효과적 이행을 위한 공간정보 구축방안 연구

        안종욱,신동빈 대한공간정보학회 2012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20 No.6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s the international conventions to acknowledge that persons with disabilities have dignity as human being and to give us duty to make an effort for protec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rights. This study deducts several tasks in spatial information field to fulfill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effectively. First of all, For the deduction, this study starts by considering accessability, personal movement, freedom of expression and accessability to information. Second, this study defines persons with disabilities as the spatial information what ensure for prior considerations. Third, this study deducts some requirements on spatial inform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on the basis of the survey targeting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 expert opinion, and suggests objectives, strategies, tasks, systems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Especially, this study sets up a goal on spatial information establishing strategy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s ‘Disadvantaged groups like persons with disabilities can obtain requirable information without distinction of person, thereby pursuing the convenience of life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장애인권리협약은 장애인이 인간으로서 가지는 존엄성을 확인하고 장애인의 인권보장을 위해 노력할 의무를 밝힌 국제인권조약이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권리협약을 효과적으로 이행하기 위해 공간정보 분야에서 추진해야할 과제를 도출하였다. 우선적으로 공간정보 분야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는 접근성과 개인의 이동, 그리고 의견・표현 및 정보접근의 자유 등이다. 그리고 위의 사항을 보장하기 위한 공간정보를 장애인 공간정보라 정의하였다. 또한 장애인권리협약의 효과적 이행을 위한 공간정보 구축방안으로 먼저 장애인 대상 수요조사와 전문가 의견을 토대로 구축대상 장애인 공간정보 항목을 도출하였고 이를 구축하기 위한 전략으로 목표, 추진전략 및 추진과제, 추진체계를 제시하였다. 특히 장애인 공간정보 구축전략의 목표를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가 비장애인과 다름없이 관련 정보를 획득하여 생활의 편리성을 추구하고 삶의 질을 향상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 교과용도서 자율화·다양화를 위한 구분 기준 탐색

        안종욱,신항수,이소연,차경미,권석일,김홍래,안경자,윤종현,허영준,김성혜 교과와교과서학회 2021 교과와교과서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교육부의 ‘2022 개정 교육과정 추진 계획’의 발표와 관련하여,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등 교과용도서의 국·검·인정 발행 체제 구분을 위한 합리적인 기준을 구안 및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와 최근 발표된 교과용도서 구분 고시 등을 참조하여 국·검·인정 발행 체제 및 구분 고시의 특성을 탐색하였으며, 교과용도서 국·검·인정 구분 준거(안)을 ‘기본 고려 사항’과 ‘구분 기준’으로 나누어 개발‧제시하고, 구분 준거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제시한 교과용도서 구분 준거(안)은 교과용도서 자율화‧다양화 정책에 부응하는 창의적이고 질 높은 교과용도서 개발을 위한 기본적인 토대라고 할 수 있으며, 교과용도서 구분 심의와 교육부, 검정 심사 기관, 시·도 교육청 등의 교과용도서 개발 및 보급 관련 업무 계획을 수립하는 데 활용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사회의 변화와 요구 사항을 반영한 교과용도서의 발행 및 학교 현장 적용이 가능하고, 학습자의 교과용도서 선택권이 확대될 것으로 판단된다. In relation to the announcement of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Plan, this study proposes reliable criteria to classify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books based on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under government-copyrighted, government-authorized, and government-approved publishing systems. Previous curriculum book categorization notices and relevant studies were analyze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systems and notices. Based on the analysis, the study proposes ‘basic considerations,’categorization criteria’, and suggestions for applying categorization criteria. These categorization criteria can serve as a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e and high-quality curriculum books that are commensurate with the policy of curriculum book autonomy and diversification. The criteria can also be used for establishing work plans for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curriculum book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extbook authorization institutions, and educational boards of cities and provinces. It is expected that social change and demand will be more closely reflected in curriculum books, and leaners’choices for curriculum books will be expanded.

      • Markov Chain 모형을 이용한 수도권 인구분포예측에 관한 연구

        안종욱 안양대학교 수도권발전연구소 2006 수도권연구 Vol.- No.3

          The distribution of Population across territory plays a very important role as a leading indicator in various urban planning and its implementation. Inaccurate prediction of population distribution will bring about loss of the rationality that may rooted in a plan or an idea not only for the concerning cities but also for their adjacent metropolitan areas. On the basis of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the prediction, this paper revie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tion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e study is undertaken by analyzing migration data among Seoul Metropolitan Area"s administrative districts, which shows that the change of population movement is a primary factor dominating changes in population distribution. The analytical method employs Markov Chain Model, which is one of the popular methods for population analysis home and abroad. The period of the analysis in this study covers five years from 2001 to 2005. The target area is subdivided into Cities(shi), Counties(gun), and Wards(gu), and analyzed by its administrative subdivisions. In the analysis of this model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e predicted result is from 0.01 to 0.999, which means that this model has higher predictability.

      • 구획형 망막색소변성증 1 예

        안종욱,김유강,김종순,김재덕 圓光大學校 醫科學硏究所 1990 圓光醫科學 Vol.6 No.1-2

        Cases of sector retinitis pigmentosa, a variant of typical retinitis pigmentosa, are seen infrequently. It is chracterized by pigmentary changes occuring in one quadrant of the retina, visual field defects usually only in the region of retinal pigmentation, and minimal or no extention of retinal area involved with time. The authors experienced a 45-year-old male patient who suffered from bilateral symmetric sector retinitis pigmentosa, residing in inferior quadrants, producing corresponding defect in the superior visual field.

      • KCI등재

        Kaempferol promotes bacterial pathogen resistance through the activation of NPR1 by both SA and MPK signaling pathways in Arabidopsis

        안종욱,Nguyen Xuan Canh,김선호,Bahk Sunghwa,강호빈,Le Anh Pham Minh,박재민,RAMADANYZAKIYAH,김상희,Park Hyeong Cheol,정우식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22 Plant biotechnology reports Vol.16 No.6

        Flavonoids have a variety of biological functions including UV protectant, antioxidant, allelopathy and auxin transport inhibitor in plants. In addition, favonoids are implicated in defense response against pathogens. In this study, we found that kaempferol, a kind of favonol, induces bacterial pathogen resistance. In addition, we identifed the signaling pathway to explain how kaempferol can induce pathogen resistance in Arabidopsis. We showed that kaempferol upregulates the transcription of two pathogenesis-related (PR) genes. Interestingly, the monomerization and nuclear translocation of NPR1, a key regulator of PR gene expression, was induced by kaempferol through the accumulation of salicylic acid (SA). Furthermore, we found that the kaempferol-induced monomerization of NPR1 is mediated by the activation of MPK3 and MPK6. Taken together, this study suggests that kaempferol induces pathogen resistance by both SA and MPK-dependent signaling pathways in Arabidopsis.

      • KCI등재

        구한말과 일제 강점기 지문학(地文學)의 도입 및 변화에 대한 연구

        안종욱 한국지리학회 2023 한국지리학회지 Vol.12 No.1

        구한말 및 일제 강점기에 ‘지문’은 보편적인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중등 지리 과목 중 가장 심화된 내용을 담고 있던 계통지리 과목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해방 직후 중등 지리 과목인 ‘자연환경과 인류생활’의 교수요목과 구한말 및 일제 강점기 초기의 지문학 교과서 내용 간 유사성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지문’이 등장하고 사라지는 과정을 대한제국과 조선총독부의 교육 관련 각종 법령 및 이에 포함된 중등교육 학과 과정의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시대적 상황을 고려하여, 해당 시기 일본 학계의 지리학 정의에 관한 논의와 문부성의 교수요목을 비롯한 법령의 변화상도 함께 다루었다. 지문학 관련 내용은 1910년 무렵 일본의 중등학교 지리과 교수요목에서 ‘지문’이라는 과목명이 사라진 후에도, 인문지리가 더해진 ‘지리학통론’이나 ‘지리개설’ 등의 과목을 통해 고유의 자연지리적 특성을 유지해 왔으며, 이와 같은 특성은 해방 직후의 중등학교 교수요목으로 이어진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