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rostaglandin F2α 의 양막외 주입에 의한 임신중반기 중절에 관한 연구

        안정자(JJ Ahn) 대한산부인과학회 197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1 No.10

        임신 중반기 임부 17명에 대하여 Prostaglandin F2α의 양막외 주입에 의한 임신 중절술을 시행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임신 중절 소요시간은 평균 26.98시간으로 임신 15~20주 임주에서 23.5시간이었으며 임신 21~26주 임부에서는 30.87시간 소요되었다. 즉 임신주수가 적을수록 임신중절이 빨리 되는 경향이 있었다. 2. 초산부와 경산부 간에는 임신 중절 소요시간에 큰 차이를 볼 수 없었다. 3. 임신 중절 성공율은 24시간 내에 41.18%, 25~36시간 내에 47.06%로서 대부분(88.24%)이 36시간 내에 성공되었다. 4. Prostaglandin 투여 중 부작용은 주로 오심, 구토가 35.29%였으나 모두 일시적이었고 약물 치료를 요하지 않는 경미한 정도였다. 요컨데 Prostaglandin F2α 양막외(하절) 주입 방법에 있어서는 거의 다 부작용이 문제가 되지 않았다. 5. 합병증은 주로 태반 잔류가 3명(17.05%) 있었으나 중절 직후 즉시 소파술 또는 용수박리로서 충분하였으며 심한 출혈도 볼 수 없었다. 그 외 감염이나 경관 열창을 볼 수 없었다. 요컨데 특히 Prostaglandin F2 의 양막외(하절) 주입 방법은 자주 주입해야 하는 번거로운 점과 아직 고가로 시판되는 점은 있으나 대체적으로 약의 전체 소요량이 적게 들었고 대단히 효과적이었으며 특히 전신적 부작용과 합병증이 경미하여 문제시 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 방법은 임신중반기 중절에 가치 있다고 본다. Although much research is being carried out all over the world, mid-trimester abortion still presents many difficult medical problems. The data presented here are based on 17 cases of mid-trimester(15-26 weeks) abortion induced by extra-amniotic administration of prostaglandin F2α at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Results, side effects, complications and applicability to clinical problems were studied. In this study the mean abortion length of time was 26.98 hours The fewer the gestation weeks, the shorter the mean abortion time.(p<0.01). Although there is some tendency for primiparous patients to abort somewhat faster than multiparous patients, overall mean abortion time between primipara and multipara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abortion was sucessfully induced in 88.24% of the patients within 36 hours and the rest of the patients within 48 hours. Three of the 17 cases had incomplete abortion with placental tissues retained but these patients were easily treated by dilatation and curettage or manual removal of the tissues immediatly after abortion. There was no complications of infections or cervical laceration. Extra-amniotic administration of prostaglandin F2α(into the lower uterine wall and the fetal membrane) for mid-trimester abortion appeared to be a safe and effective means requiring reduced amounts of prostaglandin F2αproducing rapid abortion time, higher success rate and minimal acceptable incidence of side effects or complications, although some tedious intermittent administration of prostaglandin F2αsolution was required.

      • KCI등재

        임신중 및 산후의 급성 신우신염에 관한 임상적 연구

        안정자(JJ Ahn) 대한산부인과학회 198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6 No.10

        1977년 1월부터 1982 년 12월까지 만 6년간 이화대학병원 산부인과에서 임신중 및 분만후 6주안에 급성 신우신염이 발생하여 입원 치료를 받았던 환자 101예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급성 신우신염의 발생 빈도는 총분만 환자 13649 예중 101예로 0.74%를 차지하였고 임신 기간별 분포를 보면 임신중에는 임신 중기에 30.7%로 가장 많았고 분만후에는 33.7%를 차지하였다 2. 임상 증상중 가장 흔한 것은 오한(61.4%)이었으며 그 다음은 하부 뇨로 감염 증상(19.8%) 였고 그외 오심과 구토(12%), 요통(10%) 등의 증상이 있었다. 임상 소견은 거의 모든 환자에서 열이 있었으며 38.3℃ 이상의 고열 환자는 7l.3%였다. 또한 대부분의 환자 (88.2%)에서 늑골 척추자 압통이 있었으며 특히 우측 의 압통이 훨씬 많았다(6l.4%). 3. 뇨 세균 배양검사는 68.3%에서 세균이 분리 되었는데 그중 E. Coli가 가장 높았고(73.9%) 그 다음은 Stapbylococcus aureus (11.6%)였다. 배양균의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 검사에서는 E. Coli가 Cefamezin과 Colimycin에 가장 감수성이 높았고(각 74.5%) Stsphylococcus aureus는 Gentamycin에 75%, Cefamezin, Kanamycin, Ampicillin에 각각 62.5%의 감수성을 보였다. 4. 치료는 임신중의 급성 신우신염 환자의 대부분은 Ampicillin으로 치료하였으며 평균 5.7일의 입원후 퇴원하였다. 그외 환자에서는 Cefamezin을 단독 또는 Ampicillin, Penicillin G를 첨가하여 치료하거나 C-M.을 단독 또는 다른 항생제를 병용하여 치료하였다. 5. 치료 후 대부분의 환자에서 (77.2%) 항생제 치료 후 4일 만에 평열로 돌아갔으나 5~6일에 평열로 된 환자가 19.8%였고 평열로 되는데 7일 이상을 요한 환자도 3%나 있었다. 6. 임신중 급성 신우신염의 재발은 13예 (22.4%)로 이중 거의 대부분(12예)이 다시 임신중에 재발되었다. Acute pyelonephritis is the most common serious medical complication of pregnancy and is encountered in as many as 1~2% of all gestations.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linical importance of acute pyelonephritis during pregnancy and puerperium such as incidence, clinical symptoms and signs, urine culture and sensitivities, treatment, and recurrence. 101 cases of acute pyelonephritis admitted at the obstetric department of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for 6 years from January 1977 to December 1982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incidence of acute pyelonephritis during pregnancy and puerperium was 0.74%. Analysis of cases by trimester showed higher prevalence in antepartum, 30.7% occurring in the second trimester. In 33.7% acute pyelonephritis was diagnosed postpartum. 2. The most common symptom was chills(61.4%), and the rest were urinary tract symptom(19.8%), nausea and vomiting(12%) and headache(10%) in that order, all cases with few exceptions had fever and in 7l.3% it was 38.3℃ or more. 88.2% of these women had tenderness at the costovertebral angle and this tenderness was predominant in the right side in 61.4%. 3. In 68.3% of cases, bacteria were isolated from the urine. The most common microorganism isolated was E. Coli. (73. 9%) and the rest was staphylococcus aureus (11.6%). E. Coli. was highly sensitive to cefamezin(74.5%) and colimycin(74.5%), and staphylococcus was highly sensitive to gentamycin(75%), cefamezin(62.5%), and ampicillin (62.5%). 4. We treated most of the cases of antepartum acute pyelonephritis with ampicillin and these cases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after average 5. 7 days duration. The other cases were treated solely with cefamezin or cefamezin plus ampicillin or cefamezin plus penicillin and chloramphenicol or chloramphenicol plus other antibiotics. 5. 77.2% of the patients were completely afebrile within 4 days after the onset of therapy. Of those remaining. 19.8% were afebrile within 6 days, with fever persi

      • KCI등재

        자궁내 태아사망의 임상적 연구

        안정자(JJ Ahn) 대한산부인과학회 198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6 No.9

        1 or 2 times and 38.1% had received 3 or 4 times. 1980년 l월부터 l982년 12월까지 만 3년간 이화대학병원 산부인과에서 입원 분만한 7447예 중 임신 20주 이후에 태아 체중이 500gm 이상인 자궁내 태아사망 118예를 임상적으로 연구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자궁내 태아사망의 발생빈도는 1.58%이었다. 2.. 연령분 포는 19세에서 41세까지의 분포를 보였으며 21~25세군이 39%로 가장 많은 분포를 나타냈 다. 출산력별로 보면 미경산부에서 51.7%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1회 분만군이었다. 3. 자궁 내 태아사망의 기왕력은 9예 (7.6%)에서 기왕력이 있었고 자연유산의 기왕력은 29예 (24.6%)에서 있었다. 4. 자궁내 태아사망의 발견이 가장 많았던 임신주수는 제37~40주였으며 (26. 2%) 태위는 두위가 65.3%로 가장 많았다. 남아와 여아의 비는 1.07:1이었으며 태아 체 중은 2500gm 미만이 70.3%이었다. 5. 분만방법은 유도분만이 45.0%로서 가장 많았고 자연 분만은 38.9%, 개복수술은 16.1%였다. 6. 자궁내 태아사망의 원인은 원인불명이 37.3%. 임신 중독증이 11.9%, 매독 및 제대 원인이 각각 11.0%. 태반 조기박리 8.5%, 선천성 기형 5.1%, 자궁파열 4.3%, 전치태반 2.5%, 융모 양막염. 모체 질환, 자궁 기형 및 외상이 각각 1.7%였 다. 이중 약 1/3(38예) 은 예방될 수 있는 원인이었다고 추정된다. 7. 자궁내 태아사망의 모 성 합병증은 40예 (33.9%)에서 나타났고 이중 출혈이 가장 흔한 합병증으로 37.5 %를 차지 하였고 분만중 및 산후 발열 20%, 자궁 경부 열창 15.0%. 자궁파열 12.5%, 패혈증 및 창상 감염이 각각 5%이었다. 8. 산전관리를 전혀 받지 않은 자궁내 태아사망 임산부는 15.3%였 으며 1~2번 받은 예는 16.1%였고 3~ 4번 받은 예가 38.1%이었다. Intrauterine fetal death is the death of fetus after 20 weeks of gestation. weighing more than 500gm.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auses and preventability of intrauterine fetal death and to decrease the further incidence of intrauterine fetal death. 118 cases of intrauterine fetal death among 7477 deliveries in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from Jan. 1980 to Dec. 1982 were stud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incidence of intrauterine fetal death was 1.58%. 2. Age distribution of mothers with intrauterine fetal death was between 19 to 41years and was highest in the 2l~25 years range (39%). 3. There were 9 cases (7.6%) with previous history of intrauterine fetal death and 29 cases (24.6%) with previous history of spontaneous abortion. 4. The most common gestational weeks when intrauterine fetal death was detected was 37~40 weeks gestational period (26.2%) and the most common presentation was cephslic (65.3%). The sex ratio of male vs female fetus was 1.07 : 1 and 70.3% of intrauterine fetal death weighing less than 2500gm. 5. The mode of delivery for intrauterine fetal death, induction of labor was most common (45.0%) and spontaneous delivery was 38.7% and laparotomy was performed in 16.1% of intrauterine fetal death. 6. The etiologic factors of intrauterine fetal death : 37.3% of cases were unexplained causes, preeclampsia 11.9%, syphilis 11.0%, cord problems 11.0%, abruptio placentae 8.5%, congenital anomalies 5.1%, uterine rupture 4.3%, placenta previa 2.5%,, chorioamnionitis 1.7%, maternal illness 1.7%, uterine anomaly 1.7%, trauma 1.7%. About l/3 of the cases (38 cases) were preventable intrauterine fetal death. 7. There were 40 cases (33. 9%) of maternal complications. The most common was hemorrhage (37.5%). and the others were intrapartum and postpartum ferver (20.0%), and cervical laceration (15.0%), septicemia and wound infection (5% respectively) in that order. 8. 15.3% of the cases had not received any prenatal care, 16.1% of the cases received prenatal care

      • KCI등재

        진단적 복강경술에 관한 임상적 연구

        안정자(JJ Ahn) 대한산부인과학회 198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3 No.8

        진단적 복강경술을 시행한 135예를 대상으로 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연령 분포는 20~30세군이 가장 많았고 출산회수별로 보면 미경산부가 가장 많았다. 2. 적응증은 자궁외 임신이 의심되는 경우가 36예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원발성 불임증 31예, 속발성 불임증 30예로 많았다. 3. 진단절 복강경술에 의해 확인된 임상 진단의 정확율은 50.6%이었다. 4. 개복수술로 확인된 진단적 복강경술의 정확률은 96.3%이었다. 5. 원발성 및 속발성 불임증 환자 61예에서 복강경술에 의해 methylene blue를 주입하면서 난관 소통검사를 한 결과 양측 난관이 소통된 경우가 20예, 난관 주위유착이 2예, 한쪽 난관이 폐쇄된 경우가 12예, 양측 난관이 다 폐쇄된 경우가 27예이었다. 6. 자궁난관 조영술과 진단적 복강경술의 결과를 비교해 보면 자궁난관 조영술 소견과 복강경술 소견의 일치는 31예중 22예(71.0%)이었다. 7. 자궁외 임신을 의심했던 36예중 17예(47.2%)에서 자궁외 임신이 확인되었고 5예(13.9%)는 골반내 아무런 이상을 발견할 수 없었고 염증성 골반 질환이 4예, 정상임신이 3예, 황체파열이 3예 있었다. 그외 난소낭종, 난소출혈, 골반 농양, 난관 수종이 각각 1예씩 있었다. 8. 난소 낭종을 의심하여 진단적 복강경술을 시행한 14예중 8예(57.1%)가 확인되었고 염증성 골반질환이 의심되었던 7예중에서 5예(71.4%)가 확인되었다. 9. 원발성 및 속발성 무월경환자 5예에서 진단적 복강경술을 시행한 결과 양측 난소 결여, 경화성 난소, Streak ovaries, Stein-Leventhal syndrome 및 결핵성 복막염이 각각 1예로 확인되었다. Laparoscopy is a precise and well-recognized diagnostic tool of the gynecologist. In diagnosis, it offers a very convenient means of inspection of the pelvic organs. A total of 135 cases were subjected to laparoscopy during the period from Nov. 1, 1976 to Oct. 31, 1979, in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The indications for performing laparoscopy in these cases were suspected ectopic pregnancy, primary and secondary infertility, obscure pelvic mass, pelvic pain and others. The accuracy of the clinical diagnosis confirmed by laparoscopy was 50.6%. The accuracy of laparoscopic diagnosis confirmed by laparotomy was 96.3%. We compared the results of the hysterosalpingography with laparoscopy since the evaluation of tubal factor is an important step in the work-up of the infertile woman. A complete agreement between hysterosalpingography and laparoscopy was observed in 71.0% of the women. In 36 cases with suspected ectopic pregnancy, 17 cases(47.2%) have been proved to be ectopic pregnancy, and in 14 cases with suspicious ovarian cyst, 8 cases(57.1%) were found to have ovarian cyst. In 7 cases with suspicious pelvic inflammatory kisease, 5 cases(71.4%) were interpreted to be pelvic inflammatory disease, and in 5 cases with primary or secondary amenorrhea, 3 were found to have sclerotic ovaries, streak ovaries, no ovaries, respectively.Laparoscopy may frequently avoid unnecessary laparotomy and is available for the evaluation and information about gynecologic disease.

      • KCI등재

        난소임신 2예

        안정자(JJ Ahn) 대한산부인과학회 198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3 No.10

        난소임신 2예를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wo cases of priary ovarian pregnancy, occuring a one-year period, are presented. The etiologic, clinical, and pathologic findings and management are discussed briefly with a review of pertinent literature.

      • KCI등재

        자연진통 및 Oxytocin 자극진통에 의한 모체혈청과 태아 제대정맥 혈청 Cortisol치에 관한 연구

        안정자(JJ Ahn) 대한산부인과학회 198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4 No.6

        진통이 오기 전의 임부 6예, oxytocin 자극군 33예, 진통을 수반한 응급 제왕절개술 20예 및 자연 질식분만 28예의 합병증이 없는 만삭임부 87예를 대상으로 모체 및 태아 제대정맥 혈 책 cortisol치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진통이 오지 않은 상태에서 시행한 선택적 제왕절개술시에 모체 및 태아 제대정맥 혈청 cortisol치는 각각 163.8±14.8 ng/ml , 23.8±3.4 ng/ml 였다. Oxytocin단시간 자극군에서는 oxytocin자극후 30분에 모체와 태아 제대정맥 혈청 cortisol치가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oxytocin자극 40분후에는 289.6±21.4 ng/ml , 43.4±4.4 ng/ml 무진통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한편 자연진통대를 관찰컨데, 초기에는 385.0±35.7ng/ml , 54.5±6.5 ng/ml 로 혈청 cortisol치 가 무진통 상태에 대하여 크게 증가하였으며 자연진통 말기에는 713.0±31.1ng/ml, 136.6±11.2ng/ml로 더욱 증가되엇다. 따라서 진통자극은 모체 및 태아 제대정맥 혈청 cortisol치를 증가시키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된다. 2. oxytocin단시간(40분간) 자극시 모체 및 태아제대정맥 혈청 cortisol치 증가의 비는 1:6.2로 서 자연진통 자극시와 유사하였다. 3. 태아 제대정맥 혈청 cortisol치의 증가는 모체혈청 cortisol치의 증가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1. Serum cortisol values in maternal and umbilical cord venous blood were 163.8±14.8 ng/ml and 23.8±3.4 ng/ml in women who had undergone elective cesarean section without onset of labor. Serum cortisol levels of maternal and umbilical cord venous blood started to increased to 289.6±21.4 ng/ml and 43.4±4.4 ng/ml respectively at 40 min. after oxytocin stimulation . In cases of spontaneous labor, serum cortisol levels of maternal and umbilical cord venous blood were moderately increased to 385.0±35.7ng/ml and 54.5±6.5 ng/ml in the early stage of labor and more significantly increased to 713.0±31.1ng/ml, 136.6±11.2ng/ml respectively in the late stage of labor. 2. The ratio of the fetal to maternal serum cortisol level after oxytocin short stimulation was 1:6.2 and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fetal to maternal cortisol levels at spontaneous labor group. 3. According to regression analysis the increased fetal serum cortisol level correlated well with the corresponding maternal serum cortisol level.

      • KCI등재

        산과영역에 있어서의 패혈증

        안정자(JJ Ahn),이영희(YH Lee),유한기(HK Yoo),강신명(SM K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7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7 No.12

        본 이화여자대학교 산부인과에서 1968년 1월 1일부터 1971년 12월 31일까지 약 4년간 입원 가료한 패혈증 환자 25예를 임상적으로 분석 관찰하였다. 1) 배혈증의 발생빈도는 총분만, 유산 및 부인과 입원 환자 9604예 중 25예(0.26%)였다. 2) 감염의 원인적 요소는 산후에도 약 48% 발생되었으나 bougie 삽입(7예, 28%) 및 소파중 절술 등(5예, 20%) 부적당한 임신초기 및 중기 중절술이 반수 이상인 점이 주목된다. 3) 임신중절 시술자 별로 보면 비전문의에서 소파술 후와 bougie 삽입 후 온 것이 약 반수 로서 주목된다. 산과전문의가 취급된 것은 오직 정상산후 또는 가정분만 후에 입원한 환자 들에 불과하다. 4) 패혈증으로 인한 합병증은 쇼크 및 황달, 패혈성폐렴, 급성신부전증 및 폐농상 등이 각각 1예였다. 5) 패혈증 25예 증 2예가 사망되었는데 각각 쇼크와 황달 및 급성신부전증에 기인됐다. 6) 항생요법은 산과전문의에 의하여 분만된 환자들은 대부분 1일 penicillin G 2,000만 단위 및 S-M 1gm 정도 1주일 전후하여 잘 치료되었으나 비전문의에 의해서 거쳐온 bougie 삽 입 또는 임신중절 환자들은 1일 penicillin G. 4000-6000만단위 및 S-M 1gm예 이외에 독성 이 강한 Kanamycin, colimycin 기타 수종의 항생제를 첨가 사용해야 했으며 치료기간도 11 일-30일-107까지 장기간을 요했다. 항생제 치료가 4-5일 내에 반응이 없든지 혹은 쇼크의 증세가 시작될 때는 지체하지 않고 수술요법함이 현명하다. Sepsis in obstetric field remains of major importance because of persisting high mortality rate. The pathophysiologic mechanism and treatment remains controversial. Twenty five cases of sepsis who were admitted to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during last 4 years were reviewed clinically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incidence of sepsis were 0.26% of the total obstetric cases admitted. 2) The most common cause of the infection were improper D&E(28%) and bouhination (20%) respectively. 3) Septic pneumonia, acut renal failure and fung abscesswere the main complication of the sepsis. 4) There were 25 patients with sepsis and 2 died (8%) due to septic shock. 5) The pathophysiologic mechanism and treatment of sepsis were reviewed the literature and discussed.

      • KCI등재

        Current management of breech presentation

        안정자(JJ Ahn) 대한산부인과학회 198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1 No.11

        만삭의 둔위에서는 초음파 검사로 태아 기형여부 태아체중 측정과 아두의 방향을 알고 골반측정 진통과젱에 따라 질식분만을 시도하는데 응급제왕젤개술을 할수 있는 준비와 분만을 보조할 숙련된 산과의사 마취과의사 및 필요하면 신생아 소생술을 할 소아과의사가 대기하여야 하고 제왕절개술때에도 둔위의 만출방법은 근본적으로 질식분만과 같으므로 둔위분만의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다

      • KCI등재

        골반결핵 12년간 연구 ( 1971-82 )

        안영옥(YO Ahn),이재옥(JO Lee),조의경(EK Cho),안정자(JJ Ahn),강신명(SM K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8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6 No.11

        The data presented are based on 28 cases of pelvic tubercu1osis among 4830 cases of gynecologic patients admitted into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Seoul for past 12 years (197l~1982). The incidence of pelvic tuberculosis was 0.58%, l: l72 cases which was consi dered fairly high In the past history, the most cases of pelvic tuberculosis (61%, l7 cases) revealed one or more extra pelvic tuberculous lesions including pulmonary tuberculosis(46%, 13 cases), peritonitis {7%, 2 cases), lymphadenitis in neck (3.6%, 1 case) or sal pingitis (3.6%, 1 case). In family history, some 18% of cases with pelvic tuberculosis have had pulmonary tuberculosis in their family members. It was an important finding that majority (86%, 24 cases) of the cases with pelvic tuberculosis were in febrile and 66% of them had mild fever (36.8뫌~ 37.4뫌) which is likely to be overlooked in the diagnosis. The remaining associated findings of abdominal distension (43%, 12 cases) and infertility (39%, 11 cases} were also important from the diagnostic points of view Palpable mass was noticed in 50% of the pelvic tuberculosis, however certain percents (11%) of the cases were symptomless or negative findings. Preoperatively or postoperatively, only 25% of the patient were able to be susp ected as pelvie tuberculosis. There was ll% or 4 cases with pelvic tuberculosis were unrecognized or missed even in the surgery simply because majority of them (3 cases) were infertile pati ents associated with other disease masked such as adenomyosis, pseudocyst or serous ovarian cyst. In the surgery, the operator should be familiar and expert with operative findings and the final diagnosis should be based on meticulous and multipte or repeated hist opathologic studies. The most important points of treatment is considered to be early diagnosis as well as understanding of basic concepts on the tuberculosis. Primary antituberculous medication is considered to be choice of treatment. However it failed, surgical approach by skilled hand of gynecologist is imperative

      • KCI등재

        만삭임신부에서 조기양막파막과 C-Reactive Protein에 관한 연구

        정호진(HJ Chung),안정자(JJ Ahn),강신명(SM K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8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0 No.12

        1986년 5월 1일부터 1986년 7월 31일까지 이화대학병원 산부인과에 조기양막파수로 입원한 만삭임식환자 34예를 실험군으로 하고, 양막파수가 안된 50예를 대조군으로 하여 CRP와의 관계를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조기양막파수군에서 CRP양성율은 양막파수가 되지 않은 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높았다(P<0.001). 2. CRP검사의 민감성과 특이성은 각각 74%와 92%로 만족스러웠다. 3. 조기양막파수가 있는 경우는 양막파수가 되지 않은 군에 비해 제왕절개술율이 유의성있게 높았고(P<0.001), 그 원인은 아두골반 불균형에 의한 것이 가장 많았다. 4. CRP검사는 조기양막파수를 예측하는데 밸혈구수나 감별혈구계산(differential count)보다 훨씬 유의하였다(양성예측도 86%). Premature rupture of the membranes(PRM), both in term and preterm pregnancy, causes considerable perinatal morbidity and mortality. The cause of PRM in preterm pregnancy is thought to be related to clinical or subclinical infection. The literature has conflicting reports as to the predictive value of D-reactive protein(CRP) in chorioamnionitis, with some confirmatory reports as well as refuting repor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CRP determinations in term pregnancy patients with PRM at the time of admission. 34 cases with PRM and 50 cases with intacted membrane were taken part in and analyzed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age, gravity, parity and gestational age) between the study and the control group. 2. Positive CRP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RM in term pregnancy. 3. The patients with PRM in term pregnancy has significantly higher C-section rate than control group. 4.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CRP were acceptable(74% and 92% respectively). 5. The C-reactive protein test appears to be more accurate in predicting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when compared to white blood cell and differential counts. This suggests a relationship between CRP and PRM in term pregnancy and it should be opened for futher study for CR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