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과학영재학교와 민족사관고 학생의 여가활동실태 분석

        안정덕,이훈식,송강영 한국콘텐츠학회 200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actual condition of leisure activity in the case of Korea Science Academy students(KSA) and Min Jok Leadership Academy(MLA) student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KSA students(male:122, female:44) and MLA students(male:71, female:113) with voluntary consent. 1) KSA and MLA's male students showed the highest ratio for participation in the sports, KSA's female students in the taste-culture activity and MLA's female students in the sight-seeing. 2) Mental stress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ratio in the response to the question asking the principal straight motive of leisure activity, and 75~80% students considered the leisure activity as an important means to maintain health and physical fitness. 3) The students's 30% answered that they participate by themselves, and KSA male's 51% and female's 40%, MLA male's 40% and female's 48% participated in leisure Activity planlessly. 4) In weekdays, KSA's male students enjoyed mostly the sport for leisure activity, but taste-culture activity showed the highest ratio in the case of MLA students and KSA female students. 5)The male students, 38% of KSA and 54% students of MLA did not play computer game at al in weekdays, and 70% of the female students in total did not play computer game. KSA's male students spent more time in playing computer game than MLA's male students did. 6) The biggest reason for being unable to participate in the leisure activity was the insuficiency of time due to homework or studying for quiz. The laziness also showed high percentage of 19~25% varying between the groups. 한국과학 영재학교 학생들과 민족사관고 학생들의 여가활동 실태를 규명하기 위하여 영재학교 166명(남:122, 여:44), 민사고 184명(남:71, 여:113)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1) 남학생들은 스포츠에 여학생의 경우 영재학교는 취미교양 활동에 민사고는 관람 감상활동에 가장 많이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여가활동을 하게 된 직접적인 동기는 정신적 스트레스와 갈등 해소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75~80%정도가 여가활동이 건강과 체력 유지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3) 혼자서 여가 활동을 한다는 비율이 30%정도였고, 계획 없이 여가활동을 실시한다는 응답도 영재학교 남학생 51%, 여학생 40%, 민사고는 남학생 40%, 여학생 48% 정도인 것으로 제시되었다. 4) 평일에 주로 영재학교 남학생들은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였고, 민사고 남 여학생 및 영재학교 여학생 집단은 취미 교양활동에 가장 많이 참여하였다. 5) 남학생의 경우 영재학교 38%, 민사고 54% 학생들이 평일에 컴퓨터 게임을 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고, 여학생은 70% 정도가 컴퓨터 게임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학교 남학생들이 민사고 남학생들 보다 컴퓨터 게임에 더 많은 시간을 소비하였다. 6) 여가 활동을 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로 시험이나 과제로 인한 시간부족을 꼽았고, 게을러서 여가 활동을 하지 않는다는 응답도 19~25%나 되었다.

      • 태권도를 중심으로 한 동아리 체육활동이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안정덕,한남익,조쟁규 한국스포츠리서치 2003 한국 스포츠 리서치 Vol.1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of the physical educational club on high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mental health improvement.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26 male students who were studying in an Electronic High-Tech High School. All of subjects were freshman.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was 63 male students who were acting in the Physical Educational Club, and the control group was 63 male students who did not join any student club. Pre-test was conducted on March when the school start, and post-test was completed on October(after 7 months). The statistical method was used paired t-test.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were as follow. 1. The experimental group who were participated in physical education club had more significantly positive improvement than control group on general self-esteem and social self-esteem. 2. The experimental group who were participated in physical education club had more positive effect than control group on the decrease of obsessive-compulsive, interpersonal sensitivity, depression, paranoid ideation, anxiety, phobic anxiety.

      • 경남지역 어린이의 태권도 수련과 자신감 인식

        안정덕 창원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1997 경남 체육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경상남도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어린이들이 태권도 수련을 통하여 얻는 심리적 혜택 중에서 사회적인 자신감, 신체적 자신감, 일반적인 자기 가치에 대한 인식을 규명해 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Harter가 1982년에 개발한 어린이들이 인지하고 있는 학업적 자신감, 사회적 자심감, 신체적 자신감, 일반적인 자기 가치에 대한 인식 척도 질문지를 국내의 초등학교 3, 4, 5, 6학년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측정 가능하도록 재구성하여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하였다. 재 구성된 질문지는 사회적 자신감을 나타내는 항목 6개, 신체적 자신감 7개, 일반적인 자기 가치 인식을 나태내는 7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심리변인간 및 항목간의 상관관계도 아주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지역 편중성을 줄이기 위해 창원시와 김해시 2개 도시에서 피험자를 선정하였고, 반응 왜곡자를 제외하고 총 407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자신감에 있어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었고, 신체적 자신감은 남학생이 전체적으로 유의하게(P<.001)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자기 가치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는 여학생이 유의한 수준에서(P<.01) 남학생보다 높게 인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피험자들을 태권도 수련정도에 따라 유단자 집단과 유급자 집단 그리고 무경험자로 나누어 각 자신감 변인과 집단간 변량 분석하여 사후검증한 결과, 1년이상 정도의 장기간 태권도를 수련한 어린이들은 그렇지 못한 어린이들에 비해서 친구를 사귀는 것이나 급우들과의 관계를 더 성공적으로 평가하고, 미래에도 더 성공적일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각종 스포츠와 게임 등 신체활동과 관련된 영역에서도 유단자 어린이들은 일반학생과 유급자 어린이들보다 더 자신감있게 자기 자신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었다. 셋째, 1년 이상 장기간 태권도를 수련한 남자 어린이들은 일반 어린이들에 비해서 교우관계나 신체적 활동에서 심리적으로 더 큰 자신감을 느끼며 생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자 어린이의 경우에는 집단간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여자 어린이의 경우 사회적 자신감이나 자아개념은 태권도 수련 여부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고, 신체적 자신감과 관련한 부분은 앞으로 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비만인들의 심리적 적응 특성에 대한 연구

        안정덕,표내숙 釜山大學校 師範大學 2000 교사교육연구 Vol.3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psychological adjustment for the obese. We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by investigation of the articles. 1) In the foreign study, the severely obese patients(body mass index : BMI>40kg/m²) were mostly invited with the study's subjects. These obese person were experienced highly often the social discriminative treatment and prejudice. The most frequent stigmatizing situations were hurtful comments from children and negative assumptions from others(such as low work's efficiency or emotional problems because of overweight). These stigmatizing situations were feced about once a year. 2) The most frequent coping responses employed by obese persons were the positive self-talks and to act self-confident so that no one thinks to bother them. This result showed that the obese person were using psychological coping strategy against obesity stigmatization. 3) The foreign articles noted that the obese people were felt more negative body image, more negative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distress. On the other hand, the domestic study presented that the obese person were not affected self-esteem, melancholia, and family function of dynamic unity because of obesity. The difference of foreign study and domestic study was due to the selection of subjects or culture difference.

      • 고도 비만인들의 심리적 적응 특성과 단축형 비만 적응 질문지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안정덕 창원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01 경남 체육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두 가지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첫째는 고도 비만인들의 심리적 적응 특성에 대한 연구로서 고도 비만인들이 사회적인 평가와 비난상황에 대하여 어떤 반응을 하고, 스스로의 인식에 어떤 영향을 받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결과를 고찰하는 것이다. 둘째는 비만 적응 질문지(Butler 등, 1999)를 국내 고등학생 고도비만 학생들의 심리적 적응과 삶의 질을 검사하는 질문지로서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평가하여 재구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피험자로는 2000학년도 부산 광역시 교육청 학교보건기본방향에 의거하여 실시된 학생체격검사에서 고도비만으로 판정되어 시교육청에서 의뢰한 한국건강관리협회 부산지부에서 별도로 관리하고 있는 고등학생 중 인문계 6개학교, 실업계 7개학교 84명이 참가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외국의 연구에서는 비만자들의 신체적 외모에 대한 부정적인 사회적 피드백은 자아 존중감과 정신병리학적인 취약성 요인과도 관련될 수 있다고 논의 한 반면, 국내의 연구에서는 아직까지 비만으로 인해 우울, 자아 존중감 및 가족 구성원간의 역동적인 결속력에 문제가 될 만한 악영향을 받고 있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었다. 2) Butler 등(1999)의 질문지를 문항분석과 내용 및 안면 타당도 검증을 실시한 결과, 5번 문항과 9번 문항은 왜도에서 문제가 있었고, 특히 첨도에서 지나치게 많이 벗어났으며(±2 이상), 우리 문화적 정서와 차이가 많이 난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어 제외하였다. 3) 집중 타당성(convergent validity)검사를 실시한 결과 문항 검사간 상관계수(item-total correlation)는 전 항목이 P<.001수준에서 매우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hapiro-Wilk test에 의한 정규성 검정을 실시한 결과 W : Normal값이 0.931로 제시되어 정규분포를 이루고 있어 이 검사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통계처리 기법을 활용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4) 질문지의 내적 일치도를 위한 Cronbach's α값이 0.91로 나타나 신뢰성이 아주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측정-재측정에서도 18개 항목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5)에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제시되어 신뢰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 경남 고교육상선수들의 경기력과 관련된 경기지향, 경쟁상태불안, 스포츠자신감의 구조모형

        안정덕 창원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1996 경남 체육연구 Vol.1 No.1

        오늘날의 스포츠 경기는 경기 당일이나 경기 순간의 심리적 영향에 의하여 승패가 결정되는 경향이 더욱 짙어지고 있다. 더욱이 개인적인 기록경기나 대인 경기에서 이같은 현상은 의외로 많다. 수없이 많은 심리적 준비와 심상 훈련, 그리고 분명히 기록상으로 최고임에도 불구하고 경기 순간의 부진함은 심리적 연구에 대한 새로운 과제를 시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경남의 육상 경기력 향상을 위하여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인 중 가장 기본적이면서 강력한 경기 지향성과 경쟁상태불안 및 자신감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실제 경기 현장에서 측정하였다. 피험자는 96년 5월 7일부터 10일까지 울산에서 개최된 제35회 도민 체육대회에 참가한 고등부 육상선수 128명을 피험자로 선정하였다. 이 중 반응 왜곡이나 성의 없는 응답자를 제외하고 남학생 57명, 여학생 44명을 분석대상을 하였다. 경기 3~5일 전에 각 학교를 방문하여 선수들의 특성변인인 경기지향과 특성 스포츠 자신감을 측정하였으며, 경기 당일 경기 시작 30분 1시간 전에 선수들의 상태변인인 경쟁상태불안과 상태 스포츠 자신감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경남 고교 육상 선수들은 일반적으로 결과 지향적이며, 특히 남자 고등학교 선수들이 여자 고등학교 선수들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수행 지향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 선수들은 남자 선수들에 비해서 자신감이 낮고 불안은 높게 나타나 적절한 수준의 긴장과 좀 더 자신감을 높여서 효율적으로 최상의 경기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경기 지향성은 다른 심리적 변인과 상관관계가 없는 독립적인 변인으로 개인의 성취동기나 경기목표 지향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결과지향이 인지적 경쟁상태불안에 직접적 효과를 주는 것으로 경로분석 결과 제시되었다. 경쟁상태불안과 자신감 변인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경로 분석 결과는 인지적 경쟁상태불안만이 상태 스포츠 자신감에 약간의 직접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나 자신감과 불안과의 관계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특성 스포츠 자신감과 인지적 상태 자신감은 유의하게 상태 스포츠 자신감에게 직접적인 효과를 주었다.

      • 태권도 체육관 활성화 방안

        안정덕 창원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02 경남 체육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태권도 체육관을 활성화시키는 구조적 모형을 지도자, 태권도의 본질적 구성, 도장경영, 지리적·환경적 조건의 측면에서 분석해 보고, 급변하는 정보화 시대에서의 태권도의 미래를 예측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국내의 태권도장에는 초등학생들만 있고, 중·고등학생이 되어도 태권도를 계속한다는 것은 선수 아니면 체육학과나 태권도학과에 진학하기 위한 또 다른 입시수단으로 전락하였다. 특히 성인들의 수련장면은 극히 보기 어려운게 지금의 현실이다. 어린이들에게는 가장 많이 참여하는 학원 스포츠로써 자리잡았으나 청소년들과 성인들의 생활체육과 평생체육으로 연결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을 극복하고 태권도장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1차적으로 사범의 개인적인 성실함에서 풍겨나는 지도현장의 진지함과 무도인다운 인격에 대한 신뢰감이다. 다음으로는 태권도의 용어와 기본동작, 품새 등에 내재해 있는 구조적인 멋을 시대감각에 맞게 재구성하고 창조해 가는 일련의 노력을 계속해서 경주해야 한다. 또한 사범의 지도 기법을 둘러싼 교육철학과 프로그램, 경영전략은 난립해 있는 태권도장들 속에서 경쟁력을 유지하는 방안이 될 것이며, 체육관의 지리적 환경적 조건은 활성화 승패의 50%를 결정한다고 할 정도로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고려하였다. 끝으로 지식 정보화 시대에서 태권도는 자연 대안적인 스포츠로서 더욱 많은 사람들이 즐길 것으로 예견하였다.

      • 정신지체 장애인에 대한 심리학적 이해

        안정덕 창원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02 경남 체육연구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지체 장애인의 인지적 과정에서의 결함 원인 탐색을 위한 지금까지의 연구 문헌을 분석하여 미래연구 방향을 설정해 보는데 있다. 최근 정신지체의 개념은 지능(IQ)과 시작 연령(18세 이전)뿐만 아니라 환경 적응성과 생활기능성을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하고 있다. 정신지체인은 정상인과 비교하여 폐활량, 체중, 신장 순으로 결합도가 깊으나 지적요인에 비해 그 정도가 심한 편은 아니었다. 특히 감각 · 운동 능력이 분명 지체되어 있으나 발달 양식에 대한 다양한 증거들의 수집에 연구 방법적인 결함이 제기되고 있고, 준거 측정의 현실적인 타당도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어 과학적으로 이용하는 데는 제한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정신지체아는 그림이나 단어과제를 확인하는 의미론적 처리속도와 시 · 청각 자극제시 후 손가락이나 전신을 반응하는 운동제어에서 반응시간이 정상인에 비해 지체되어 자극을 확인하고 부호화하여 계획하는 중앙처리 단계에서 분명한 차이가 존재한다는 일관된 연구 결과가 제시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결함은 돌릴 수 없는 한계나 불변적 특성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사건유발전위(ERP) 방법에 의한 연구와 자극에서 반응까지의 전 과정을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는 EMG 측정을 통한 근반응 기능성 연구로 정신지체인의 구조적 한계와 교육적 처치 효과 가능성에 대한 보다 정밀한 접근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생활적응성을 높일 수 있는 운동요법적인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실천적 미래연구의 방향으로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