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팔츠(Pfalz)의 개혁파 종교개혁의 발전(1558-1561) : 멜란히톤과 칼빈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안인섭 ( Ahn¸ Insub ) 한국개혁신학회 2021 한국개혁신학 Vol.71 No.-

        16세기 종교개혁 당시 독일에는 전통적인 봉건적 영주들과 선제후들 가운데 로마 가톨릭주의나 루터주의 지역과 맞닿아 있으면서 스위스에서 시작된 개혁주의를 시범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공간이 생겼다. 팔츠의 종교개혁은 신성로마제국의 정치적이고 외교적인 구조 위에서 열린 공간 속에서 배양되어 선-종교개혁(Pre-Reformation)이라는 잠복기를 통해 점진적으로 진행되고 있었다. 아우구스부르크 가신조(1548)와 아우구스부르크 종교화약(1555) 사이의 기간이 팔츠 종교개혁에서는 결정적인 시기였다. 오토 헨리 선제후(재위: 1556-1559)가 루터주의를 수용하게 되었는데 이때 순수 루터주의와 개혁주의가 어설프게 공존하게 되면서 분쟁의 씨앗이 잠재되어 있었다. 개혁신앙의 자양분을 가지고 있었던 프레드릭 3세가 즉위할 때(1559. 2.)부터 이미 하이델베르그 대학 내에는 헷수시우스의 순수-루터파와 클레비츠의 개혁파간의 갈등이 고조되어 있었다. 이 교회의 균열을 해결하기 위해서 프레드릭은 멜란히톤에게 조언을 청했다. 멜란히톤의 중재를 위한 "판단(Iudicium de Controversia Coenae Domini)"이 1559년 11월 1일에 작성되어 팔츠 선제후에게 보내져 해결의 방향을 제시하게 되었다(출판은 1560. 9). 멜란히톤은 “판단”에서 성찬에서 떡을 떼는 것을 고전 10:16을 인용하여 그리스도의 몸에 참여함이라고 해석하여 개혁파의 성찬론에 거의 근접했다. 그러나 5개월 후(1560.4.19.) 멜란히톤이 사망하게 되자, 팔츠는 신학적으로 지도력의 공백을 맞아 더욱 스위스를 바라보게 되었다. 제네바의 칼빈은 불링거(Heinrich Bullinger)로부터 자료를 넘겨받아 팔츠의 신학논쟁을 야기했던 순수-루터파 헷수시우스를 비판하는 논문을 출판(1561)하면서 팔츠의 개혁파 종교개혁에 직접적으로 신학적 개입을 했다. 1558년에서 1561년 사이에 위와 같은 역사적 격변이 일어나면서 팔츠는 개혁주의 종교개혁의 기반 위에 서게 되었다. 이런 개혁신학의 토대 위에서 팔츠 선제후에 의해 1562년에 시작해서 1563년에 하이델베르그 신앙고백서가 출판될 수 있었고, 그것이 각국으로 번역되고 확산됨으로 팔츠는 국제적 칼빈주의의 구심점이 되었다. 따라서 16세기 팔츠 지역의 개혁주의 종교개혁의 발전은 신성로마제국의 정치적인 맥락과 순수-루터파와 멜란히톤주의의 분열과 갈등, 그리고 칼빈과 불링거를 중심으로 하는 스위스 개혁주의의 연계라는 다차원적인 맥락에서 조명해야 할 것이다. During the Reformation of the sixteenth century, Germany had a space to apply the reformed thoughts that originated in Switzerland just like a pilot project among the traditional feudal lords and Electors, while meeting the borders of the Catholic or Lutheran regions. The Reformation of the Palatinate was cultivated in an open field on the political and diplomatic structure of the Holy Roman Empire, and was gradually progressing through the incubation period of Pre-Reformation. The period between the Augsburg Interim (1548) and the Peace of Augsburg (1555) was decisive in the Palatinate Reformation. Otto Henry (reign as Elector: 1556-1559) accepted Lutheranism, when he poorly invited the Gnesio-Lutherans and reformed thinkers without consideration, leaving the seeds of conflict. From the period of Frederick III, new Elector of the Palatinate, who was nourished with the Reformed faith, came to the throne (1559 Feb.), there was already a conflict between Heidelberg's Gnesio-Lutherans and Reformed theologians as Klevitz in Heidelberg University. To resolve the theological conflicts, Frederick turned to Melanchthon for his advice. Melanchthon's "Judgment (Iudicium de Controversia Coenae Domini)" for arbitration was written on November 1, 1559 and sent to Elector the Palatinate to suggest the direction of resolution (published on 9 September 1560). Melanchthon's interpretation of breaking bread in the sacrament in “judgment” was quoted from 1 Corinthians 10:16 as a participation( koinonia) in the body of Christ, and came close to the sacramental theory of the Reformed theologians. However, after the death of Melanchthon (1560.4.19.), facing a doctrinal vacuum in its leadership, the Palatinate became to head to a theological view of Switzerland. Calvin of Geneva received a letter with the data from Heinrich Bullinger and made a direct theological intervention in the Reformation of the Reformed theology, publishing a writing (1561) criticizing the Gnesio-Lutheran Heshusius that caused the tough controversy in the Palatinate. Between 1558 and 1561 the above historical upheavals took place, putting the Palatinate on the basis of the Reformed theology. On this background, the Heidelberg Catechism, which began in 1562 by Elector of the Palatinate, was published in 1563. It was translated and spread throughout the whole Europe. The Palatinate became the pivotal place of the international Calvinism.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the Reformed Reformation in the Palatinate in the sixteenth century should be recognized in the multilateral contexts of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Holy Roman Empire, the divisions and conflicts between Gnesio-Luterians and the followers of Melanchthon, and the interaction with the Reformed camps, such as Bullinger and Calvin, in Switzerland.

      • KCI등재

        도르트 총회(1618-1619) 직전 시대의 네덜란드 교회와 국가 관계의 배경 연구

        안인섭 ( Insub Ahn ) 한국개혁신학회 2018 한국개혁신학 Vol.57 No.-

        종교개혁의 중심 사상인 은총의 신학이 신학적으로 정리되고 국제적으로 공인된 것은 도르트 총회(Synod of Dort, 1618-19)였다. 그 배후에는 네덜란드가 스페인에서 독립하는 역사적 과정이 맞물려 있었다. 그러므로 도르트 총회는 개혁주의 신학의 핵심이면서 동시에 교회와 국가의 관계의 문제이기도 했다. 네덜란드는 합스부르그의 지배 밑에서 유연한 연합되어 있었던 지역이었는데 1566년 성상파괴운동과 1568년 독립 전쟁 발발 이후 칼빈주의 신앙과 국가의 독립 의식이 맞물리게 되었다. 아르미니우스파와 호마루스파의 신학적 차이는 동시에 그들의 교회와 국가관에도 드러났다. 이 두 신학적 경향은 모두 다른 사상과 종교를 가졌다고 해도 국가로부터 조사와 박해를 받을 수 없고 신앙의 자유를 갖는다는 1579년의 우트레크트 연합(Utrecht Union)의 정신 위에 서 있었다. 이 우트레크트 조약은 당시의 개신교가 박해를 받고 있었던 역사적 상황에서 보면 매우 의미있는 신앙의 자유 사상으로서 네덜란드 7개주 연합 공화국(1588)의 모체가 되었다. 이 우트레크트 연합은 또한 스페인 군대들의 안트베르펜 폭동사건 (de Spaanse Furie, 1576) 이후 형성된 헨트 평화회의(De Pacificatie van Gent, 1576)의 사상 위에 정초 되었다. 그러나 아르미니우스파와 호미루스파는 교회와 국가의 관계에 대해서 명확한 차이점을 가지고 있었다. 항쟁파인 아르미니우스파는 자신의 자유로운 신앙을 국가의 통제 밑에 넣고자 하는 에라스투스주의 즉 국가교회주의적이었다. 경제적으로는 스페인과의 무역의 활성화를 도모했으며 신앙의 문제에 대해서는 주 정부가 관할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런 면에서 이들은 홀란드의 행정장관인 올덴바르너펠트(Oldenbarnevelt, 1547-1619)와 같은 노선이었다. 그러나 호미루스 중심의 반항쟁파는 교회와 국가 모두 하나님의 말씀의 통치하에 있으며, 교회와 신학적인 문제에 대해 교회는 국가로부터 자유하며 독립적이라는 정통적인 칼빈주의의 노선을 따랐다. 스페인에 대해서는 강경한 입장이었으며, 교리적인 면에 있어서는 일치성을 중요시 했고 지방 분권보다는 정치적 중앙집권화를 바랐다. 같은 맥락에서 이들은 네덜란드 국가 안에서 발생하는 신학적 문제에 대해서도 전국주의적이었다. 이후의 네덜란드 역사는 18세기 말 프랑스 혁명때까지 교회는 국가에 간섭을 받지 않으면서 동시에 국가와 함께 파트너가 되어 하나님의 나라를 세워왔다고 평가할 수 있다. In the center of the Reformational thoughts, the theology of the grace was internationally authorized in the Synod of Dort(1618-19). In the backgrounds of that process we see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Netherlands from Spain. The Synod of Dort(1618-19) has thus the meaning in the perspective of the issue of Church and State, as well as that of the Reformed theology. The Netherlands was a region of the flexibly united provinces under the rule of the Habsburgs. Since the iconoclasical move-ment(1566) and the outbreak of the independent war(1568), the faith of the Calvinism and the will of the national independence were closely engaged. Basically the Arminians and the Gomarists stood on the idea of the Union of Utrecht(1579), which proclaimed the protection of the human rights not to be examined by the state for the religious differences and to have a religious freedom. The principle of the Union of Utrecht showed a special implication in terms of the tolerance of thoughts, when we consider the circumstances of the persecution of the Protestants in those days. The Union of Utrecht became the parent tree of the Republic of the Seven United Netherlands (Republiek der Zeven Verenigde Nederlanden). In the base of the Union of Utrecht we finds the idea of the Pacification of Gent(1576) which was formed just after the Spanish Fury(Spaanse Furie, 1576). The the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e Arminians and the Gomarists were also revealed in their distinct viewpoints to Church and State. The Remonstrants illustrated the Erastian thought, so that they tried to bring their ecclesiastical issues under the control of the state of the province. The Remonstrants, economically, aimed to revitalize the trades with the Spain, and they accepted the supremacy of the state of the province to the theological matters. In this sense they followed the political line with Oldenbarnevelt(1547-1619), who was a state man of the province of Holland and supported the religious tolerance. On the other hand, the Gomarists strongly believed that both state and Church should be controlled by the Word of God. They followed the orthodox Calvinism which emphasizes the freedom and independence of the Church from the State in the ecclesiastical and theological issues. The Gomarists held strong position against Spain and they put the emphasis on the unity of the doctrine. Thus, they wanted to have a centralized power rather than the decentralized one. In the same context, the Gomarists tried to solve the theological issue which was presented by the Remonstrants in the national synod.

      • KCI등재

        통일신학 정립을 위한 개혁주의적 고찰 : 어거스틴(354-430)의 사상을 중심으로

        안인섭 ( Insub Ahn ) 한국개혁신학회 2017 한국개혁신학 Vol.53 No.-

        한국 교회의 통일신학은 크게 보아 보수와 진보로 양분되어 있었다.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신학적으로는 성경 중심적인 보수적인 신앙을 견지하면서도 정치적 이데올로기에 치우치지 않고 균형있는 관점을 제시하려는 시도들이 나타나고 있다. 한국 교회 최대의 과제인 통일에 대해서 다수의 한국 교회가 일치된 목소리를 가지고 구체적이고 본격적으로 움직이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첫째로 한국 교회가 급격하게 세속화 되었고 무기력화 되었기 때문이며, 둘째로 한국의 다수 교회가 공감하며 따를 만한 통일에 대한 신학적 제시가 미흡했다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통일신학 연구들을 분석할 때 첫째로 통일신학을 정립하려고 하는 시도들은 다양한 세부 주제와 방법론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왔는데, 주로 하나의 신학적 틀로 통괄하려고 하는 시도가 많았다. 둘째로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전체 교회를 아우를 수 있고 다양한 진영의 신학자들과 기독교 통일학자들이 합의함으로 지향할 수 있는 통일신학은 아직도 완성되지 못했다. 셋째로 그렇기 때문에 통일신학을 위한 모색은 신학적 합의와 실천적 성취를 위해서 앞으로도 계속 추구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다가오는 시대적 질문인 통일에 대한 신학적 대안을 찾기 위해 개혁주의 전통은 그런 문제들을 어떻게 다뤄 왔는지를 고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개혁주의 신학에 존재하는 통일신학적 요소들을 살펴보기 위해 본 고는 어거스틴(354-430)을 주목한다. 어거스틴은 기독교 신학전통의 중심에 있기 때문이다. 어거스틴의 경우 통일신학의 요소로서 하나님의 도성과 지상의 도성과의 관계, 평화 사상, 국가론, 세상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삶의 태도 등을 들 수 있다. 한반도의 평화는 하나님의 도성의 완전한 평화와 달리 상대적인 평화이지만 국가에 의해서 유지되어야 하며, 신국의 시민들은 이데올로기를 상대화 시키면서 지상에서 인내와 관용 속에서 종말론적인 삶을 살아가는데 여기에 통일 신학의 단초가 존재한다. 통일 신학은 한국 기독교인 전체가 동의하고 그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신학이어야 한다. 그러므로 개혁주의적인 통일신학은 신학적 특수성을 염두에 두면서도 동시에 보편성을 담아 내기 위하여 계속 통일신학을 세워가야 할 것이다. The reunification theology of the Korean church is largely divided into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At the dawn of the 21st century, attempts at a balanced perspective of Biblically conservative faith unbiased by political ideology appeared. The greatest burden of the Korean church is the issue of reunification, yet there are several reasons for not able to move decisively with a united voice. First, there was the stupor of the Korean church as a result of secularism. Second, there was the lack of a theological direction on reunification which mainstream churches can agree to. Until now, the attempts to the formation of reunification theology primarily involved themes and methodology recapitulated in a theological framework. Second, the lack of agreement among theologians from various camps and Christian reunification scholars. Furthermore, the quest to reach theological agreement and practical solutions for the reunification theology must continue. Therefore, in search for a theological alternative, it is appropriate to consider how the Reformed tradition considered the matter. To undertake the `reunification-theological` elements within the Reformed tradition, this study will observe the thoughts of Augustine (354-430). In Augustine`s case, the `reunification-theological` components may b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ity of God and city of man, ideas on peace, theory of the state, and life and attitudes of Christians in the secular world.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in comparison to the City of God needs to be maintained by the state. In relativizing secular ideology and living an eschatological life in endurance and acceptance; in here lies the clue for a reunification theology. Accordingly, reunification theology should receive the agreement and move the Korean Christians in its entirety. Hence, a Reformed reunification theology should continue with the formation of reunification theology, considering both the theological speciality and universality.

      • KCI등재

        항쟁파<sup>1</sup>(Remonstrants)의 교회와 국가의 관계: 위텐보가르트(Johannes Wtenbogaert: 1557-1644)를 중심으로

        안인섭 ( Insub Ahn ) 한국개혁신학회 2018 한국개혁신학 Vol.60 No.-

        본 논문은 도르트 총회로 가는 과정에서 항쟁파(Remonstrants)의 교회와 국가의 관계를 연구하기 위해서 네덜란드에서 신앙의 문제와 국가가 어떤 관계를 가지는지 그 법적이고 역사적인 구조를 형성했던 헨트 평화조약과(De Pacificatie van Gent: 1576) 우트레크트 연합(De Unie van Utrecht: 1579)을 주목하여 살피고 있다. 그 핵심은 각 주는 칼빈주의나 로마 가톨릭이나 구별하지 않고 개인의 신앙의 자유를 보장해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우트레크트 연합의 제13조는 종교 문제는 주 정부가 의회의 조언을 따라서 제정된 법으로 다루라고 명시하고 있다. 이것은 종교개혁 이래 근대 사회에서 개인의 종교의 자유를 보장한 선도적인 중요한 개념이었다. 이에 근거해서 아르미니우스주의자(Arminians)나 호마루스주의자(Gomarists)나 모두 국가는 개인의 신앙적인 자유를 보장하며 교회의 문제에 국가가 간섭하지 않는다는 전제를 가지고 있었다. 이런 맥락에서 위텐보가르트(Johannes Wtenbogaert: 1557-1644)는 당시 네덜란드 지역에서 가장 강력한 주였던 홀란드의 의회에 신학적인 내용인 항쟁서(Remonstrance)를 제출했다. 그러나 호마루스는 이에 맞서서 국가가 회의는 소집하되 전국적 총회에서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 둘은 지역주의와 전국주의의 차이는 있었지만 결국은 모두 헨트 평화회의와 우트레크트 연합의 정신과 연속성에서 이해하고 있었던 것이다. 위텐보가르트의 신학적 동반자인 아르미니우스는 국가교회적이고 지역분권주의적인 교회와 국가론을 견지하고 있었는데 이것은 위텐보가르트와 일맥상통하는 것이었다. 도르트 총회로 가는 과정에서 아르미니우스주의자들을 주도했던 위텐보가르트의 교회와 국가의 관계에 대한 사상은 1610년에 5대 항쟁서와 함께 출판된 “교회 문제에 대한 고위 기독교 위정자의 직무와 권위에 대한 논문(Tractaet van’t Ampt ende Authoriteyt eener hooger Christelijcker Overheydt in Kerckelycke Saeckken [Tractate on the office and authority of a higher Christian magistracy in ecclesiastical affairs])”에 가장 잘 나타나 있다. 이 중요한 책에 근거하면 위텐보가르트의 교회와 국가론은 인간의 이성과 자유 의지에 근거한 것이 아니었다. 국가의 최고 위정자를 하나님의 말씀의 권위 밑에 놓으면서, 국가의 위정자의 권세는 하나님과 그의 말씀 아래 존재하지만 성직자보다는 우위에 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면서 위텐보가르트는 호마루스주의자들을 교황주의자들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위텐보가르트가 말하는 군주는 기독교 위정자여야 한다. 위텐보가르트는 위정자와 성직자 모두를 하나님 아래서 각각 동등한 권위를 가지고 상호 복종하는 관계로 보았으며, 교회와 국가는 하나님이 세우신 기관으로서 상호 상대의 권한에 침범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위텐보가르트의 문제는 위정자들이 얼마나 성경의 깊은 의미를 깨달을 수 있는지와, 기독교 위정자들이 얼마나 신실하게 성경적인 정치 활동을 할 수 있는지를 담보할 수 없다는 데 있다. 또한 위텐보가르트는 국가가 신학을 결정할 수 있다고 믿었던 점에 있어서 신앙의 자유 차원을 넘어 국가에게 성경적인 정신을 초월하여 과도한 신학적 결정권과 권한을 부여해서 국가교회적인 에라스투스주의(Erastianism)의 함정에 빠지고 말았다. 또한 교회가 국가로부터 자유롭고 교회가 국가로부터 독립해야 한다는 점을 충분히 강조하지 못함으로 근세 역사 속에서 불의한 정부에 대한 저항을 설명할 수 없는 논리적인 약점이 존재한다. 이 점은 위텐보가르트가 호마루스보다 칼빈이나 베자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thesis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urch and the state that appeared in the Remonstrants with a focus on Wtenbogaert (1557-1644). In order to research this, we must turn our attention to the issues of the church of the Netherlands and its relationship with how its laws and history were formed by looking at “De Pacificatie van Gent” (1576) and “De Unie van Utrecht” (1579). The point was that each individual needed their freedom of religion to be insured and guaranteed so that meant the state should not persecute any kinds of religion. This is expressed clearly in the law that was established by state parliament regarding the issue of religion, especially in Article 13 of “De Unie van Utrecht.” This concept of protecting and ensuring one’s religious freedom has guided the society to modern times. Grounded on this, Arminians and Gomarists presume that the State should not interfere with the issues of religion since the State supports and ensures that the individual can have religious freedom. Following in the same of thought, Johannes Wtenbogaert presented his theological Remonstrance to the council of Holland which was the most powerful region in Netherlands at the time. Arminius, theological companion of Wtenbogaert, showed particularism and decentralization concerning Church and State matters, which echoed those of Wtenbogaert. The Gomarists tried to summon a national conference that in order to solve this issue they must have a national synod. 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regionalism and the whole country, they could understand the mentality and the continuity of De Pacificatie van Gent and De Unie van Utrecht. Following this, the Gomarists tried to summon a national synod saying that in order to solve this issue they must have a national synod. In the process of the coming of the Synod of Dort, we can see most clearly the ideology the Arminians, led by Johannes Wtenbogaert,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urch and the State in the published “Remonstrance” and “Tractate on the office and authority of a higher Christian magistracy in ecclesiastical affairs” (Tractaet van’t Ampt ende Authoriteyt eener hooger Christelijcker Overheydt in Kerckelycke Saeckken). Based on this important book, Johannes Wtenbogaert did not want to base his ideology of the church and the State on human reason or freedom of will. He placed the Chief of State to be under the authority of God’s Word. The Chief of State’s authority exists under God and His Word but is above clergy. At the same time, Johannes Wtenbogaert criticizes Gomarists as those who follow the Pope. The monarch that Wtenbogaert wants is one who is the head or on top of the Christian church. Wtenbogaert states that statesmen and clergy are all under God and each have equal authority which they both have to mutually adhere to. He saw it that the church and the State are both God-established institutes so they must not encroach on the authority of one another. But the problem with Wtenbogaert is that there is no guarantee of how deep of an understanding of God’s Word the states person or those who govern have realized nor how faithful the Christian leader is in doing political activity according to the Bible. Also, Wtenbogaert believed that the State can decide and determine the theology of the nation which goes beyond religious freedom to granting excess authority and decision-making power regarding the matters of theology to the State which makes it fall under the trap of Erastianism. Furthermore, due to the fact that the point that the church must be free from the government and State was not emphasized enough, there exists the weakness of not being able to logically explain the resistance of the immoral or unjust government in modern times. From this we can see that Wtenbogaert was farther away from Calvin or Beza than Gomarists.

      • KCI등재

        칼빈의 개혁 신앙과 교회와 국가의 관계: 네덜란드의 코른헤르트(Dirck Coornhert: 1522-1590)와의 논쟁을 중심으로

        안인섭 ( Insub Ahn ) 한국개혁신학회 2017 한국개혁신학 Vol.55 No.-

        칼빈은 네덜란드의 인문주의자요 니고데모주의자(Nicodemite)였던 코른헤르트(Dirck Coornhert: 1522-1590)와 1560-1562년에 걸쳐 로마 가톨릭의 의식(Ceremony)에 대한 논쟁을 벌였다. 당시 네덜란드에서 영향력 있는 정치가요 신학자였던 코른헤르트는 1560년에 네덜란드어로 Verschooninghe van de Roomsche afgodereye)(한글로는 로마 가톨릭 우상숭배에 대한 변증)을 저술하여 칼빈을 비판했다. 이 책은 네덜란드의 칼빈주의자들에 의해서 번역되어 칼빈에게 전달되었다. 칼빈은 코른헤르트의 변증에 대해서 Response to a certain Dutchman(어느 네덜란드인에 대한 답변)을 저술하여 1562년에 출판하였으며 코른헤르트에게 전해졌다. 칼빈은 1537년 Epistolae duae(두 서신)부터 1562년 어느 네덜란드인에 대한 답변까지 25년을 한결같이 니고데모주의를 비판해 왔다. 칼빈의 이 소논문은 니고데모주의자들에 대한 역사적이고 신학적인 정황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준다. 코른헤르트는 기독교 신앙은 성령에 의한 신자들과 하나님 간의 내적이고 영적인 관계이기 때문에 로마 가톨릭의 의식에 외적으로 참석하는 것은 개인의 신앙에 저촉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그는 기독교인의 핵심적인 삶의 가치는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는 것이라면서 종교적인 의식이나 예전은 인간적인 기구들일 뿐이며 성경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코른헤르트는 당시 스페인의 지배로부터 네덜란드의 독립을 진행하는 오렌지공 윌리엄의 자문 역할을 담당했던 무게 있는 지도자였다. 또 종교적인 관용을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던 인문주의자로서 네덜란드에서 그의 영향력은 막강했다. 따라서 코른헤르트의 주장은 네덜란드 칼빈주의 자들을 신학적으로 혼란하게 할 수 있었고 그들의 영향력을 현저하게 약화시킬 수 있었던 중대 사안이었다. 코른헤르트의 이런 주장은 지금까지 칼빈과 개혁파 신학자들이 종교개혁의 신학을 가졌다면 로마 가톨릭의 예전에 참석해서는 안되며 그로 인해서 야기될 수 있는 박해도 감수해야 하고 망명을 해서라도 신앙의 자유를 지키라고 했던 강조점을 정면으로 도전하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코른헤르트의 공격에 대한 칼빈의 신학적 답변은 네덜란드 칼빈주의자들은 말할 것도 없고 유럽 전체의 칼빈주의가 직면한 도전에 대해서 교회의 진로를 모색할 수 있는 절대적으로 중대한 신학적 진술이었다. 칼빈은 코른헤르트에 대해서 영혼과 육체, 신앙과 삶은 분리될 수 없으며 따라서 로마 가톨릭의 의식에 참석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칼빈은 개혁주의 신학과 삶의 통전성이라는 핵심적인 가치를 명확하게 제시하고 있다. 칼빈의 답변은 칼빈 자신이 네덜란드 칼빈주의 신학의 발전과 네덜란드의 독립에 얼마나 연관되어 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료가 된다. 칼빈이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는 영적이고도 육적인 삶의 예배, 그리고 개혁주의 신학과 삶의 일치라는 핵심적인 가치는 스페인과 가톨릭 교회로부터 가혹하게 박해를 받고 있던 네덜란드 칼빈주의자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실제로 칼빈은 네덜란드가 1560년대 이후 저항과 독립으로 나갈 수 있는 신학적이고 실질적인 동력을 제공해 주었으며, 조국을 떠나서라도 종교개혁 신앙에 따라 살수 있도록 강력한 신학적 동기를 부여했다. 네덜란드 칼빈주의자들은 결과적으로 유럽의 칼빈주의 강화와 국제화에 공헌자가 될 수 있었다. Calvin argued against Dutch humanist and Nicodemite, Dirck Coornhert(1522-1590) in the course of 1560-1562 regarding the Roman Catholic Ceremony. At that time, Coornhert was a politician and theologian influential in the Netherlands. He criticized Calvin in his work Verschooninghe van de Roomsche afgodereye which was published in Dutch, in 1560. The book was translated by Dutch Calvinist and delivered to Calvin. Calvin also published his Response to a certain Dutchman in 1562 and sent it Coornhert. For 25 years, Calvin had consistently criticized Nicodemianism through his 1537 work Epistolae duae and Response to a certain Dutchman (1562). Coornhert argued that partaking in the outwardly, Catholic ceremony by believers is not conflicting to the inward spiritual relationship one has with God through the Holy Spirit. He insisted that Christianity`s core essence of loving God and loving one`s neighbor is only a religious rite and ceremony therefore unbiblical. During this time, Coornhert was a counselor to William of Orange who campaigned for Dutch independence from Spain. Also, as a humanist strongly supportive of religious tolerance, his prominence in the Netherlands was strong. Thus, Coornhert`s stance would not only bring theological confusion to the Dutch Calvinist but drastically weaken their influence. Coornhert`s contention was a direct challenge to Calvin, the Reformed theologians, and saints from the Reformation, who, up to this point, rejected the Catholic ceremony, endured persecution, and readily fled. Therefore, Calvin`s theological response to Coornhert`s attack was not a crucial theological writing devising a direction for the church of the Netherlands but for Europe as well. Calvin emphasized that man`s soul, body, and faith are inseparable so participating in the ceremony of the Roman Catholic unacceptable. The totality of the Reformed theology and faith is clearly presented. At the same time, Calvin`s Response is a prime historical record showing the relevance of Dutch Calvinistic theology to the progress of Dutch independence. Calvin`s view of spiritual and physical act of worship and Reformed theology, corresponding life and faith inspired the suffering Dutch Calvinist who were persecuted by the Spanish Catholic church. In effect, after 1560, it provided a theological motivation to continue the resistance and to live according to the faith of the Reformation. Consequently, Dutch Calvinist contributed to the strengthening and internationalization of Calvinism in Euro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