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골프연습장 참여자의 라이프스타일과 여가 몰입의 관계 분석

        안병욱(ByoungWookAhn),조원득(WonDuckChoi),여인성(InSungYeo) 한국체육학회 2008 한국체육학회지 Vol.4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골프연습장 참여자들의 라이프스타일이 여가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규명함으로써 골프 참여자들의 여가몰입을 이해하고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 골프 활동을 대상으로 한 스포츠 지도자들에게 학문적 기초실증자료 및 마케팅 전략 수립 자료로 제시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지역의 실내·외 골프연습장에서 총 288명의 골퍼들이 편의추출법에 의하여 선택되었다. 자료처리는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인 SPSS를 통하여 대상자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기술통계가 실시되었고 라이프스타일과 여가 몰입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 방법이 자료 분석을 위하여 실시되었다. 그 결과 유행추구, 성취주의, 불평주의, 전통주의 등 각각의 라이프스타일 요인들은 골프 활동 참여자들의 여가 몰입 요인들에 각각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main purposes of this paper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leisure flow among golf range practice users. There is to a place where with study fundamental actual proof data it analyzes the leisure flow which is a golf activity of lifestyle.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y were composed of 288 adults who had been participating in golf activity and had been dwelling in Seoul and Gyoung-gi province. The lifestyle scale (Park, 2004) and the leisure flow scale (Kim, 2005) were used for collecting data. In consequence of factor analysis 4 sub-factor (lifestyle) and 3 sub-factor (leisure flow) were found. Cronbach' α coefficient revealed .548~.802, .782~.837 respectively.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SPSS 12.0 was utilized. The verification of research hypothesis was conducted by Corelation and Multiple-Regression. The significance level of all tests was .05. Golf participants' lifestyl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leisure flow. Fashion-pursing, traditionalism and accomplishment had effects on clear goal. Discontent and accomplishment of lifestyle had effects on loss self consciousness. Fashion-pursing, discontent and accomplishment had effects on challenge-skill balance.

      • KCI우수등재

        여가활동 참여자의 진지한 여가, 여가지지, 여가만족, 심리적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안병욱(ByoungwookAhn)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5

        본 연구는 여가활동 참여자의 진지한 여가, 여가지지, 여가만족 그리고 심리적 행복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도, 충청도에서 여가활동에 참여 중인 성인 남녀 264명을 표집하였다. 여가활동 동호회 회원에게 연구 동의를 구한 후, 자기평가기법을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으로는 연구대상자에 대한 빈도분석, 연구변인의 신뢰도 검증, 타당도 검증을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연구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검증을 위한 구조방정식모델을 사용하였다. 다음과 같은 연구과정을 거쳐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여가활동 참여자의 진지한 여가는 여가지지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여가활동 참여자의 진지한 여가는 여가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여가활동 참여자의 진지한 여가는 심리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여가활동 참여자의 여가지지는 여가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여가활동 참여자의 여가지지는 심리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여섯째, 여가활동 참여자의 여가만족은 심리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여가활동의 궁극적인 목적은 참여자에게 삶의 질 향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여가활동 참여자가 여가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인프라 제공을 위한 다양한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The purpose of research was to a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erious leisure, leisure support, leisur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happiness among leisure activity participants.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selected 264 persons who participated the leisure activity and lived Seoul, Gyeonggi-do, and Chungcheng-do. After the researchers got the consent to leisure activity club members, we are surveyed the questionnaires by self-administration. For the data processing, I used the SPSS 18.0 and AMOS 18.0 program which offered frequency, reliability, confirmatory factor,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ling model. The result was as follows; The first, serious leisure of leisure activity participants effect on leisure support. The second, serious leisure of leisure activity participants did not effect on leisure satisfaction. The third, serious leisure of leisure activity participants effect on psychological happiness. The forth, leisure support of leisure activity participants effect on leisure satisfaction. The fifth, leisure support of leisure activity participants did not effect on psychological happiness. The sixth, leisure satisfaction of leisure activity participants effect on psychological happiness. Therefore, the purpose of leisure activity would be offered the quality of life to leisure participants. We have to find various ways for the infra which is participated in leisure activity.

      • KCI우수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패러글라이딩 참가자들의 여가유능감이 여가제약에 미치는 영향

        안병욱 ( ByoungWookAhn ),여인성 ( InSungYeo ),이철원 ( ChulWonLee ),이지성 ( JiSungLee ) 한국체육학회 2006 한국체육학회지 Vol.45 No.1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provide on academic empirical data to paragliding instructors and concerned people, and contribute to the popularization of paragliding through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competence and leisure constraint of paragliding participants.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y were composed of 350 adults who had been participating in paragliding and had been dwelling in Seoul, Incheon, Gyeonggi and Chungcheng province. The Leisure Diagnostic Battery for Korean(Kim 1995) and The Context-free Leisure Constraint Scale(Ji & Lee, 2003) were used for collecting data.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SPSS 120 was utilized. The verification of research hypothesis was conducted by T-test, ANOVA and Path analysis. The significance level of all tests was .05.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on emotional and physical leisure competence. There was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group factor on perceptional, emotional and physical leisure competence. Also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iod of participation on perceptional, emotional, social and physical leisure competence. Second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on self-consciousness and physical barriers. Significant differences appeared in age group factor and period of participation factor on self-consciousness, physical barriers, lack of information, lack of time and environmental barriers. According to income level was significant differences on physical barriers, lack of information, lack of time and environmental barriers. Lastly, the results of path analysis showed that social leisure competence had a negative effect on self-consciousness, lack of information and lack of time. Emotional leisure compet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consciousness, lack of information; lack of time, environmental barriers. And perceptional leisure competence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physical barriers and self-consciousness. Lastly, physical leisure competence had a negative effect on physical barriers.

      • KCI등재

        여가활동 참여자의 여가만족 유형화에 대한 Q 방법론적 연구

        안병욱(ByoungWookAhn),여인성(InSungYeo),구창모(ChangMoKoo) 한국체육학회 2010 한국체육학회지 Vol.49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능동적으로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여가만족에 대해서 유형화하고 각 유형의 특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로는 전문가 집단 12명과 일반인 집단 29명, 총 41명을 P-sample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주관성 연구로 알려진 Q 방법론으로 적용하였다. 먼저 Q표본은 여가만족도에 관한 문헌연구와 연구대상자와의 인터뷰 및 개방형 설문지를 이용하여 34문항을 작성하였다. 자료처리는 P표본(41명)에게 Q 분류를 하도록 한 후, QUANL PC program에 의한 주인자분석법(principal component factor analysis)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여가활동 참여자에 대한 여가만족의 유형은 다섯 가지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첫째, 자기 계발, 둘째, 스트레스 해소, 셋째, 건강증진, 넷째, 기술향상, 다섯째, 대인관계 중심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leisure satisfaction pattern for leisure activity participant. For analysis, Q methodology was applied, which has been known as being useful to identify individual's subjectivity structure. The research question raised in this study included what are the satisfaction of leisure activity. For the study, a Q-sample, made 34 statements exploring the leisure activity participants attitude and value system, was used. In addition P-sample was composed of 41(expert panel group and leisure activity participants group). The result that leisure activity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into five groups. They were named as ‘self-developing type’ those who have wanted development and happiness for oneself, ‘stress solution type’ those who have that stress resolved through leisure activity, ‘promotion of health type’ those who have been interested in physical and mental health, ‘developing technically type’ those who have developed skill for leisure activ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 type’ those who have meet new people.

      • KCI등재

        청소년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여가 활동 참여 동기, 제약 요인 및 몰입 경험 간의 관계 모형 검증

        구창모(ChangMoKoo),안병욱(ByoungWookAhn) 한국체육학회 2009 한국체육학회지 Vol.4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신체적 자기개념을 이해하고, 여가활동 참여시 동기, 제약, 몰입 경험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유층집락무선표집법을 이용하여 서울의 한강을 중심으로 강북, 강남, 강동, 강서 등 4개 지역으로 구분한 후 각 지역에서 2학교를 선정하여 여가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400부의 설문지 중 미회수 된 설문지와 연구에 적절치 않은 설문지 53부를 제외한 347부를 최종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통계적 방법은 기술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그리고 상관관계 검증을 위해 SPSS 15.0 program을 이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델을 검증하기 위하여 AMOS 7.0 program을 이용하였다. 청소년의 신체적 자기개념에 따른 여가활동 참여 동기, 제약 요인, 몰입 경험의 관계의 인과관계를 분석한 결과, 신체적 자기개념은 여가 활동 참여 동기와 몰입 경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참여 동기는 몰입 경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at understanding physical self-preception of youth and examine among participant motivation, constraints factor and flow experience, who were participated in Leisure activity.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347 student of middle, high school and university in Seoul, 2007 and after selected two schools by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who were participated in Leisure activity. The main statistical method for this study was used SPSS 15.0 program for the descriptive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elation and frequency analysis. and also used AMOS 7.0 program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is research obtained the results as follows: Firstly, by the result of the physical self-preception did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participant motivation, constraint factor and flow experience. Secondly, by the result of physical self-preception did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participant motivation, flow experience. Thirdly, by the result of participant motivation did have positive influence on flow experience.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기혼 여성의 라인댄스 참여 동기와 여가 몰입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세중(SeJoongLee),안병욱(ByoungWookAhn),김민선(MinSunKim),여인성(InSungYeo) 한국체육학회 2010 한국체육학회지 Vol.4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라인댄스 참여자들의 참여 동기와 여가 몰입, 생활만족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라인댄스 활동이 여가 몰입과 생활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지역에서 라인댄스 활동에 직접 참가하는 대상자를 편의추출법으로 선택하였고,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인 SPSS를 통하여 대상자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일원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방법이 자료 분석을 위하여 실시되었다. 그 결과, 참여 동기는 여가 몰입과 생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중 재미 요인이 여가 몰입의 무아경 요인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가 몰입의 요인 중 자목적 경험이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cogniz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nt Motivation, Leisure flow and Life-Satisfaction in Line Dance participant. And also, to provide what kind of influence gives Leisure Flow and Life-Satisfaction to Line Dance activity. The subjects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at who lives in Seoul, Gyeonggi KOREA and involved directly in Line Dance.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SPSS were utilized. The verifications of research hypothesis were conducted by Frequency, Explore analysis, Reliability, One- way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stepwise).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Participant Motivation influenced at Leisure flow and Life-Satisfaction positively. Among the rest, the factor of Interest showed negative influence to ecstasy of Leisure flow. As well, an autotelic experience among the factor of Leisure flow gives the influence to Life-Satisfaction.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골프 레슨참여자들의 만족감 형성에 관한 연구

        조원득(WonDuekCho),여인성(InSungYeo),안병욱(ByoungWookAhn) 한국체육학회 2007 한국체육학회지 Vol.46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골프 레슨참여자를 대상으로, 질적 연구방법인 인터뷰, 참여관찰 등을 적용하여 골프 레슨참여자들의 만족감 형성요인 및 과정을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골프 레슨참여자들의 만족감 형성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골프 레슨참여자들의 만족감 형성과정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이다. 골프 레슨참여자들의 만족감 형성요인 첫 번째는 지도자(프로골퍼) 요인이었으며, 둘째는 골프연습장의 시설과 환경적 요인이었다. 세 번째로는 골프연습장의 서비스 요인으로 나타났다. 골프 레슨참여자들의 만족감 형성과정은 지도자(프로골퍼)교습 방법 및 레슨 능력, 레슨의 당위성, 다양한 프로그램, 레슨 시스템에 따라 만족감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e the forming factor and process in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in golf lesson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up to achieve the results for this study. First what was the motive of the participants in golf lesson? Second, what was the forming factor in their satisfaction? Third, what was the process in satisfaction of the participants with the golf lesson? To find out the satisfaction achieved through golf lesson, qualitative research method such as in-depth interview, participant observation was use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below. First, the satisfaction forming factors were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groups. The appeared a professional golfer and instructor,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practice range and equipments, lesson systems and wide range of programs, service of the practice range including. Second, the formative process in satisfaction of golf lesson with the lesson for improvement in golfing skills, formed satisfaction through teaching skills, lesson systems and wide range of programs.

      • KCI우수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통합체육의 사각지대(死角地帶)I: 통합체육의 실현가능성

        이경준(KyoungJuneYi),임성철(SungChulIm),이지성(JiSungLee),김영준(YoungJunKim),안병욱(ByoungWookAhn),여인성(InSungYeo),전용관(JustinY.Jeon) 한국체육학회 2006 한국체육학회지 Vol.4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체육의 사각지대에서도 통합체육이 실현가능한지를 경험적으로 확인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통합체육 수업이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 모두의 1) 신체활동수준 2) 사회적 상호작용 3) 신체적 자기개념과 신체상 4) 통합체육에 대한 인식 변화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의 A 중학교에서 한 학기동안 통합연구방법(mixed methodology)이 적용된 사례연구로 진행되었으며, 실험학급(처치: 장애이해교육, 통합체육 수업프로그램)과 통제학급을 비교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비디오 자료는 SOFIT과 AIPE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신체적 자기개념, 신체상, 비장애중학생의 통합체육 태도는 대응표본 t-검증과 ANOVA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질적 자료는 자료의 해석과 신뢰도 확보를 위하여 사용하였으며, 이러한 절차를 거쳐 확인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A 중학교 사례를 통하여 통합체육 수업은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신체활동수준과 사회적 상호작용, 신체적 자기개념 및 신체상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통합체육 수업 실시 후에는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 교사의 통합체육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통합체육의 사각지대에서도 통합체육이 실현가능함을 A 중학교 사례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IPE) in the blind spot of IPE via a case study. To accomplish this purpose, mixed methodology was used. This research was conducted at 'A' public school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Video observations(SOFIT and AIPE), pre-post test about physical self-description and body image, and attitude toward IPE were performed. t-tests and ANOVA were used where appropriate. In addition, the qualitative data collection method was used. The finding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In this case, IPE increased physical activity level, social interaction, physical self-description, and body image to not only student with disability but also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Furthermore, attitude toward IPE was changed among physical education teacher, and student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Therefore, we have observed the feasibility of IPE in the blind spot of I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