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막걸리로부터 분리된 Bacillus amyloliquefaciens 균주의 항균 활성

        심현수 ( Hyunsu Sim ),김명동 ( Myoung Dong Kim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16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4 No.1

        강원도를 비롯한 전국에서 발효식품 44점으로부터 유해균에 대한 생육억제 활성이 우수한 고초균주를 분리 및 동정 하였으며, 생육억제 활성이 가장 우수하였던 Bacillus amyloliquefaciens MBE1283로 명명된 균주의 유해균에 대한 생육억제 활성, 전분분해 효소활성 및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Escherichia coli O157:H7 KCCM40406을 비롯한 8종류의 유해균에 대한 생육억제 활성을 평가한 결과, 막걸리에서 분리된 B. amyloliquefaciens MBE1283 균주는 다른 B. amyloliquefaciens 균주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유해균 생육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B. amyloliquefaciens MBE1283 균주의 α-amylase 효소활성은 대조구 균주들과 비교하였을 때 현저히 낮았으나 glucoamylase 효소활성은 대조구로 사용한 균주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B. amyloliquefaciens MBE1283 균주의 최적 생육온도는 45oC로서 대조구 균주보다 온도에 대한 내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균체 성장에 적합한 최적 배지는 pH 6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막걸리로부터 분리된 B. amyloliquefaciens MBE1283 균주는 여러 종류의 유해균에 항균활성을 지니며 높은 온도와 낮은 pH에 대하여 내성을 지닌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resence of bacterial strains showing antagonistic activity to common pathogens found in a variety of fermented foods in Korea was explored. A bacterium inhibiting the growth of pathogens such as Aspergillus terreus (KCTC6178), A. flavus (KCTC6984), Staphylococcus aureus (KCCM12214), Escherichia coli O157:H7 (KCCM40406), Bacillus cereus (KCTC1012), Cryptococcus neoformans (ATCC208821), Salmonella typhimurium (ATCC19430), and Listeria monocytogenes (KCTC3569) was isolated from Makgeolli, a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The strain showing high antipathogenic activity was identified as B. amyloliquefaciens based on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16S ribosomal RNA gene. Compared with B. amyloliquefaciens KCTC1660, whose genome has been sequenced, the isolate exhibited significantly low activities of starch-degrading enzymes and high resistance to high temperature and low pH.

      • KCI등재

        김치에서 분리된 Lactobacillus buchneri의 젖산 생산 특성

        심현수 ( Hyunsu Sim ),김명동 ( Myoungdong Kim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15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3 No.3

        Lactic acid is a useful platform chemical for a wide range of food and industrial applications such as pharmaceuticals and cosmetics. Among 313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different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foods, eight Lactobacillus strains effectively utilized xylose as a carbon source to produce lactic acid. A lactic acid bacterium identified as Lactobacillus buchneri produced the highest amount of lactic acid from xylose under anaerobic conditions. The optimum xylose concentration and incubation temperature were 50 g/l and 37oC, respectively; under these conditions, 22.3 g/l lactic acid was produced.

      • KCI등재

        젖산균 발효를 통한 베리류 또는 과채류 주스의 항산화 활성 증진

        박재범 ( Jaebum Park ),심현수 ( Hyunsu Sim ),하석진 ( Sukjin Ha ),김명동 ( Myoungdong Kim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15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3 No.3

        Berry or vegetable juices contain a diverse range of antioxidants. Through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assays, acai berry, aronia, wild grape, blackberry, cranberry, and spinach juices were verified to possess high antioxidant activities.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was applied to each juice as the sole medium to improve antioxidant activity. After fermentation by Lactobacillus plantarum,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acai berry, blackberry, and spinach juices increased by 20­30% from 943.2 to 1239.2, from 110.87 to 128.04, and from 77.92 to 107.20 μmol TE/g, respectively. In this study, we found that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a number of juices were enhanced through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