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Numerical study of particle dispersion from a power plant chimney

        심정보,유동현,Shim, Jeongbo,You, Donghyun Korean Association for Particle and Aerosol Resear 2017 Particle and Aerosol Research Vol.13 No.4

        An Eulerian-Lagrangin approach is used to compute particle dispersion from a power plant chimney. For air flow, three-dimensional incompressible filtered Navier-Stokes equations are solved with a subgrid-scale model by integrating the Newton's equation, while the dispersed phase is solved in a Lagrangian framework. The velocity ratios between crossflow and a jet of 0.455 and 0.727 are considered. Flow fields and particle distribution of both cases are evaluated and compared. When the velocity ratio is 0.455, it demonstrates a Kelvin-Helmholtz vortex structure above the chimney caus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crossflow and a jet, whereas the other case shows flow structures at the top of the chimney collapsed by fast crossflow. Also, complex wake structures cause different particle distributions behind the chimney. The case with the velocity ratio of 0.727 demonstrates strong particle concentration at the vortical region, whereas the case with the velocity ratio of 0.455 shows more dispersive particle distribution. The simulation result shows similar tendency to the experimental result.

      • KCI등재

        동해안 지역의 초중등학교 교가에 나오는 동해 지명과 인재상

        심정보(Jeongbo Shim)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20 문화 역사 지리 Vol.32 No.3

        한일 간에 동해와 일본해 표기를 둘러싼 논쟁이 지속되는 가운데, 연구자들은 고문헌, 고지도, 지리 교과서 등을 중심으로 한반도와 일본열도 사이의 바다 명칭을 연구해 왔다. 그러나 노래 가사에 나오는 동해 지명을 분석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런 관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동해안에 위치한 초·중등학교 교가에 나오는 동해 지명과 기대하는 인재상이 무엇인가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는 동해 바다와 같이 맑고 푸르고 넓은 마음의 인간, 둘째는 동해 일출을 맞이하는 부지런한 역군, 셋째는 동해의 거센 파도와 같은 역경을 극복하는 한국인, 넷째는 동해의 아름다움을 바탕으로 한 애교심의 육성이다. 이처럼 교가에 나오는 동해 지명에는 오랫동안 학교 현장에서 불려 한국인의 정서가 녹아 있다. 한국인의 정체성이 담겨 있는 동해 지명은 우리의 문화유산으로 보존해야 할 대상이다. While debates over the names of the East Sea and the Sea of Japan continue between Korea and Japan, researchers have studied the geographical names of the seas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islands, focusing on old documents, old maps, and geography textbooks. However, no research has has analyzed the geographical names of the East Sea in the lyrics of school songs. From this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larify the geographical name of the East Sea and the expected concepts of talent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ongs in the east coast region of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include: first, a human being with a clear, blue and wide mind like the East Sea, second, a hard worker who greets the sunrise on the East Sea, third, Koreans who overcome a fierce wave of the East Sea and fourth, fostering school spirit based on the beautiful scenery of the East Sea. In this way, the East Sea geographical name has been used in the school songs for a long time, and Korean sentiment is melted in it. The geographical name of the East Sea which contains Korean identity should be preserved as a cultural heritage.

      • KCI등재
      • KCI등재

        일본의 학습지도요령을 통해 본 중학교 사회과 지리의 동향

        심정보 ( Jeong Bo Sh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3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1 No.2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urrent trend of Japanese middle geographic section in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ocuses of the middle social studies include the basic knowledge, concepts, acquisition of skills, language abilities of enhancing thinking, and respect for tradition and culture. Second, the main focuses of the geographic section are decision-making, expression, understanding of national land via dynamic geographic learning, enhancement of geographic skills, introduction of social participation perspectives, etc. Third, the features of contents present understandings of world and Japanese geography and introduce social participation perspectives in order to enhance civic consciousness. That aims to promote the independent life skills of Japanese with the approach of knowledge society.

      • KCI등재
      • KCI등재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전후 한국과 일본의 지리교과서에 반영된 독도 인식

        심정보(Jeongbo Shim)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9 문화 역사 지리 Vol.31 No.1

        일본의 독도영유권에 대한 억지 주장은 민감한 정치적 이슈로서 항상 한국과 일본의 지리교과서에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전후 한국과 일본에서 간행된 초중등학교 지리교과서 및 지리부도에 표현된 독도 내용을 고찰하여 그 성격을 명확히 한 것이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독립과 함께 독도는 한국의 영토가 되었다. 이 시기에 독도는 한국의 초중등학교 지리교과서에서 한국의 영토로 기술되었지만, 일본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1951년 9월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에는 독도의 귀속에 관한 문구가 제외되어 1952년 1월 이승만 대통령은 평화선을 선언하여 한국의 어업과 독도를 지키고자 했다. 이 시기에 한국의 지리교과서에서 독도는 지켜야할 영토로서 매우 적극적으로 기술되었다. 반면 일본에서는 중등학교 지리부도에서 독도를 일본령으로 표기한 지도가 소수 등장했을 뿐이다. 이러한 차이점은 독도를 반드시 수호하겠다는 한국의 강력한 대응이 지리교과서 및 지리부도에 반영된 결과이다. Japan’s insistence on the sovereignty of Dokdo has always influenced geography textbooks in Korea and Japan as a sensitive political issue. This study examines the contents of Dokdo depicted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geography textbooks and school atlases published in Korea and Japan before and after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With Korea’s independence after World War II, Dokdo became the territory of Korea. At that time, Dokdo was described as a Korean territory in Korea’s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geography textbooks, but not in Japan. As the phrase “Reversion of Dokdo” on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in September 1951 was excluded, President Syngman Rhee, in January 1952, declared the Peace Line to protect Korea’s fishing industry and Dokdo. In that period, Dokdo was described evidently as a territory to be protected in Korean geography textbooks. In Japan, on the other hand, only a small number of maps were included in the secondary school atlases, which mark Dokdo as a Japanese territory. That indicates Korea’s strong willingness to adhere to Dokdo, reflected in geography textbooks and school atlases.

      • KCI등재

        지중 라멘교의 상재 활하중으로 인한 등가등분포하중 유도

        심정보(Shim Jeongbo) 대한토목학회 2007 대한토목학회논문집 A Vol.27 No.5A

        본 기술노트에서는 DB하중 작용하에서 등분포연직하중을 등가등분포하중으로 변환시 단순보로 가정하던 것을 양단 고정단을 추가로 가정하고, 토피의 깊이(h)를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토피의 유형별로 라멘교의 경간(B)에 따라 4가지 등가등분포 하중식을 구하였다. 단순보로 가정하고 유도한 식으로 구한 값과 양단 고정보로 가정하고 구한 값 중 큰 등가등분포 하중값을 사용한다. Upper slab has normally been assumed as a simple beam when uniformly distribute loads under DB load are transformed into an equivalent uniformly distributed load. It is thus added in the present technical note that upper slab can also be assumed as a beam with fixed restraint at both ends. In line with the above, soil depth is firstly divided into three groups. For each group of soil depth, equivalent uniformly distributed load is calculated in term of four different span lengths for a rigid frame bridge. The larger equivalent load is selected amongst the loads under a simple beam and a fixed-ends beam.

      • KCI등재

        일본의 사회과에서 독도에 관한 영토교육의 현황

        심정보 ( Jeong Bo Sh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08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6 No.3

        2005년 일본 시마네현의 `다케시마의 날` 제정을 계기로 한일 간의 정치적 갈등은 심화되고 있다. 특히 문부과학성이 지난 2008년 7월 중학교 학습지도요령해설(사회편)에 영토교육 차원에서 다케시마를 처음으로 명기한 것은 한국인들에게 강한 반일감정을 불러 일으켰다. 일본에서 국토 및 영토교육은 소학교 5학년 사회과에서 초보적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는 우리나라의 국사와 달리, 지리와 공민 분야에서 독도 관련 영토교육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들 교과서에는 독도와 관련하여 `일본 고유의 영토`, `한국에 불법 점거`, `무인도` 등 사실을 왜곡한 부분도 있다. 앞으로 일본에서 독도에 관한 영토교육은 장기적 안목에서 더욱 계획적으로 강화될 전망이다. 이에 한국은 일본의 검정 사회과 교과서 회사가 더 이상 영토왜곡으로 물들지 않도록 국가적 차원에서 대응해야 한다. 한편 한국 사회과 영토교육의 과제로서 현재의 국사 과목 중심에서 국제관계, 국제정치, 국제법 등과 관련하여 내용과 방법의 다양화를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아울러 한국과 일본은 미래의 바람직한 한일 관계를 구축하기 위해 독도 관련 문제점과 과제를 정리하고 해결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Since 2005 when Japan`s Shimane Prefecture established Takeshima Day, the political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has been deepening. In particular, in July 2008 when the Japanese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MEXT) first specified Takeshima in the teaching explanatory guidance (social studies), this move fueled a strong anti-Japanese sentiment among Koreans. Territory education in social studies in Japan is first conducted in a basic form beginning with the fifth school year in elementary school. Also,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in the field of geography and citizenship, an intensive education on Dokdo is provided. Furthermore, research associations are formed in areas in the vicinity of the island, and supplementary textbooks are created, thus invigorating territory education on Dokdo. Japan`s territory education on Dokdo will be further reinforced from the long-term perspective.

      • KCI등재

        유체 입자 연동 개별요소해석 기법의 데이터 구조와 알고리즘

        심정보(J. Shim),최병엽(B. Choi),유동현(D. You)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18 한국전산유체공학회지 Vol.23 No.3

        To investigate the efficiency of data structures and algorithms in solving particle-laden flows, two particle-solving methodologies, array-based data structures and linked-list-based data structures are examined. In order to mimic various particle-involved fluid flow physics, three cases, particle-laden flow in a channel, random-deletion of particles, and collision pair searching algorithms, are selected and tested.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array-based data structure is more advantageous in terms of computational speed and memory usage in the case of particle-laden flow in a channel. On the other hand, linked-list-based data structure is more advantageous in case of random-deletion of particles which indicates linked-list-based data structure has better performance in data insertion or deletion. Linked lists show outstanding performance in particle pair searching algorithm used with cell-based loop method which find a collision pair particle 657 times faster than particle-based loop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