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아교사와 유아교사 역할수행에 관한 보육교사의 인식 차이

        심영회 ( Young Hee Sim ),성소영 ( So Young Su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3 아동교육 Vol.22 No.2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영아교사와 유아교사의 역할수행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보육교사의 개인변인(학력, 영아반/유아반 교육 경력)에 따라 영아교사와 유아교사의 역할수행에 관한 인식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D시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375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영아교사와 유아교사의 역할수행에 관한 보육교사의 인식에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을 하였고 보육교사의 개인변인(학력과 영아반 경력과 유아반 경력)에 따라 영아교사와 유아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으로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영아교사와 유아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인식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보육교사의 학력에 따라 교사 역할수행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전문대졸 이하 학력의 보육교사에 비해 대졸 이상의 보육교사가 영아교사와 유아교사의 역할수행에 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영아반 경력에 따라 영아교사와 유아교사의 역할수행에 관한 인식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보육교사의 유아반 경력에 따라 영아교사와 유아교사의 역할수행에 관한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영아교사와 유아교사간의 인식의 차이를 근거로 영유아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하여 교사로서의 역할수행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 모색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teachers` perceptions about infant and preschool teachers` role-performance according to individual variables (level of education, teaching care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75 child care teachers form public, private, and home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D city.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a paired t-test of the differences of teachers` perceptions about infant teachers` and preschool teachers` role-performance and a repeated measures ANOVA was used to obtain the differences of teachers` perceptions about infant and preschool teachers` role-performance according to the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 between the role-performance of infant and preschooler teachers existed.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 of role-performance according to educational level. Perceptions of child care teachers who were university graduates were higher than those who were college graduates or who had lower levels of education. Thir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 in terms of infant and preschool teachers` role-performance. Fourth, in terms of role-performa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 of the preschool teacher. To conclude, results form this study indicate that early childhood professionals should try to seek ways to increase perceptions of teacher`s role-performance as one consider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