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운보 김기창의 <예수의 생애> 작품을 통한 기독교 토착화 담론

        심영옥(Sim, Youngok) 삼육대학교 신학연구소 2020 신학과 학문 Vol.30 No.-

        This study analyzes dominant themes of thirty pieces of painting by Woonbo, Kim Ki Chang, entitled <Jesus’ Life> from a spiritual and ministerial perspective. The personal and historical backgrounds of these works include the artist’s spiritual upbringing from birth, his physical ailments, and the Korean War. Kim portrays Jesus’ ministry depicted in the gospels using the images of a cowled seonbi-a virtual scholar-of the Chosun Dynasty. The analysis shows that his works uniquely portray Jesus in a way that appeals to the Korean viewers and therefore increases their ministerial potential. In addition, Kim’s works exhibit his unique hermeneutical approach. In his portrayal of various events described in the four gospels, Kim often added or removed certain details to suite the Korean cultural context. This shows his creative approach and interpretation of biblical texts to make the biblical stories more easily understood and accepted by the Korean people. 본 연구는 운보 김기창의 작품인 <예수의 생애> 30점에 나타난 신앙적-선교적 의미를 분석한 것이다. 이 작품이 그려진 개인적-역사적 배경은 그의 모태신앙, 신체적 장애, 그리고 한국전쟁이다. 그는 복음서에 나타난 예수의 사역을 조선 시대를 배경으로 한 ‘갓 쓴 선비’의 활동으로 그려냈다. 분석 결과 그의 작품은 그의 독특한 예수상을 나타내고 있을 뿐 아니라 토착화된 재현으로 선교적 의미도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그의 작품은 그의 독특한 성서해석학적인 접근도 보여준다. 그는 복음서의 내용을 그리면서 성서 본문에 없는 내용을 한국적 상황에 맞게 첨가하기도 하고 생략하기도 하였다. 이것은 토착화를 위해 그가 성서 텍스트를 자유롭고 창조적으로 접근하였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넛지디자인 지도 방안: 범교과 융합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심영옥(Youngok SIM),최온빛(Onbit CHOE) 한국조형교육학회 2019 造形敎育 Vol.0 No.71

        본 논문은 범교과 주제 중 하나인 안전․건강 교육으로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미술과 융합한 넛지디자인 지도 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우리의 생활이 나날이 편리하고 풍요로워지고 있지만 사소한 부주의와 안전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사회 전반 에 걸쳐 크고 작은 안전사고가 일어나고 있다. 이에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넛지디자인의 유용성을 인지시킬 수 있도록 미술과의 체험 영역과 표현 영역을 연계하여 수업을 설계하였다. 특히 안전사고를 예방에 관해서는 토의, 토론을 통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개선하고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넛지디자인을 하게 하였다. 넛지디자인은 시각적 소통을 통하여 사회적 문제나 생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학생들이 주변 환경의 문제점을 찾고 그것을 해결할 수 있는 넛지디자인을 할 수 있다면 미술교육으로도 충분히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resent paper aimed at seeking a teaching method of nudge design which is blended with fine art for the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 which is one of the cross curriculum. Because of the trivial carelessness and the lack of awareness for safety, big and small safety accidents have been occurred all over the areas in the society, although our lives have got more convenient and bountiful day by day. Therefore, the writer made the classes of Experience Areas and Expression Areas in the department of Fine Art connected and designed them in order to help the students to be aware of the usefulness of nudge design that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Especially, the problems were drawn out via their discussion on the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 and nudge design was set up to improve the problems and apply them to the real life. Nudge design has the merit of solving social problems or problems that happen in the daily life via visual communication. Accordingly, it is thought that fine art education alone can prevent the safety accidents if the students could seek the problems of their daily environments and do a nudge design that could resolve them.

      • KCI등재

        주민 생활문화 기반의 마을 벽화 제작 의식 전환 필요성

        심영옥 ( Sim Youngok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7 동양예술 Vol.35 No.-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곳곳에서 행해지고 있는 마을의 벽화에 대한 제작 의도와 의식 변화가 왜 필요한지에 대해 현지 주민들과의 면담을 통해서 제시하고 향후 마을 벽화 제작시 좀 더 미적이고 가치 있는 벽화 제작을 제언하고자 연구하였다. 여러 가지 이유로 낙후된 마을이나 지역의 특수성을 알리고자 하는 마을에 벽화가 그려지고 있는 데, 이러한 좋은 취지와 달리 마을 주민들의 불만도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마을의 벽화가 주민들에게도 사랑을 받고, 애정을 가질 수 있도록 벽화를 제작하기 전에 주민과의 소통과 생활문화에 기반한 마을 벽화를 제작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마을 벽화 전환 의식의 요인으로 무분별한 벽화 제작, 지역 및 마을의 생활문화 이해 부족, 장소성과 작품 주제의 부적합, 체계적인 작업 과정 및 사후 관리 미흡, 주민과의 소통 부재 등에 대해 분석하였고, 그에 따른 주민 생활문화 기반의 마을 벽화 제작 의식 전환의 필요성으로는 지역 생활 및 문화와의 협력 관계 개선, 도시재생 정책과 주민 의식과의 소통, 마을 벽화 행정 지원에 대한 주민의 올바른 이해, 지역 자치단체 요구와 주민 생활문화와의 관련성 강화 등을 파악할 수 있었다. 앞으로 도시 미관 정비를 위해 시작된 각 지역의 마을 벽화가 도시의 흉물로 변하지 않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분석한 제작 의도나 제작 의식이 주민 생활문화가 기반된다면 관광 자원으로나 미적 가치를 수반한 마을 벽화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necessity of changing the intention and consciousness of the murals in villages in Korea through interviews with local residents and to the propose of more beautiful and valuable mural painting in the future. For many reasons, murals are being portrayed in villages that want to know the particularities of the villages and areas that are underdeveloped. But also there is great discontent among the local residents. Therefore, we need to make village wall paintings based on communication with residents and living culture before making murals so that the murals of villages can be loved and loved by resident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factors of the town wall painting change consciousness such as indiscreet murals,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living culture of local and villages, inadequacy of the theme of place and works, lack of systematic work process and lack of post management. And the necessity of changing the awareness of village mural production based on the resident `s life culture includes improving cooperation with local life and culture, communicating with urban regeneration policy and residents` consciousness, correct understanding of residents. And the strengthen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eds and the living culture of the residents. To prevent that the town wall paintings bacome hideous objects, it will become a town wall painting with aesthetic value as tourism resources, if the intention and the production consciousness analyzed in this study are based on the resident living culture.

      • KCI등재

        온라인박물관.미술관 플랫폼 사례 분석 및 시사점 : 국립기관을 중심으로

        심영옥(Youngok SIM) 한국조형교육학회 2020 造形敎育 Vol.0 No.76

        최근에는 우리나라 박물관과 미술관에서 디지털시대를 대비한 온라인 시스템 구축이 각 분야에서 필요함을 인식하고 각고의노력을 강구하고 있다. 그런데 아직은 온라인 시스템을 아우를 수 있는 플랫폼이 제대로 정비되지 못한 실정이라 문제를해소할 수 있는 콘텐츠도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립박물관·미술관의 온라인박물관·미술관 플랫폼의 사례를분석하고, 디지털시대에 부응하면서 나아가 자연재해에 대비할 수 있도록 플랫폼 구축에 따른 시사점과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디지털시대에 들어서면서 미술관의 소통방식이 변화함에 따라 온라인박물관·미술관 플랫폼 형식이 미래 미술관의 한 형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온라인박물관·미술관 플랫폼의 구실을 할 수 있는 구조와 체제 구축이 필요하다. 또한 국가 수준의 운영 기준과 지원체계 등에 대한 정당성을 인식시키고 보호받을 수 있는 온라인박물관·미술관 플랫폼에 대한 법적 규정이마련되어야 한다. Currently, museums and galleries in our country have been aware of the necessity of constructing the on-line systems to prepare for the digital age in each area and have been studying arduous labors. However, they are not equipped with proper platform which could embrace the on-line system yet, even lacking the contents which could settle problems. Therefore, the present research aimed at analyzing the cases of the on-line museum/gallery platform of national museums/galleries and suggesting the implications out of the platform construction and the improvement plans, acting up for the digital age, in order to prepare for natural disasters. As we enter into the digital age, the on-line museum/gallery platform style is on the rise as a form of gallery in the future because of the change of the communication methods. Accordingly, it is thought that it is needful to construct the structure and system in advance in order to have on-line museum/gallery platform perform within. Plus,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m with legal regulations on the on-line museum/gallery platform in oder to make them recognize the legitimacy for the operating standards, support system, etc. on the national level and get protection.

      • KCI등재

        지역 예술 활성화를 위한 대안공간의 유휴공간 활용과 실제 문화공간 양을 중심으로

        김예늘(Yeneul KIM),심영옥(Youngok SIM) 한국조형교육학회 2021 造形敎育 Vol.- No.79

        제주도는 ‘문화예술의 섬’을 추진하며 다수의 박물관 및 미술관을 설립했지만, 대부분 관광객을 위한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제주도의 실정에서 대안공간 성격의 문화공간 양은 오롯이 문화공간 양이 속해 있는 거로마을을 중점적으로 마을을 위한 문화예술공간을 운영해가며 지역의 예술 활성화를 실행해오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제주도의 거로마을을 중심으로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지역 예술 활성화에 힘쓰고 있는 문화공간 양의 운영현황과 프로그램을 분석하며 유휴공간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고찰해 보았다. 또한, 지역 예술 문화공간 양의 유휴공간 활용 특징을 도출해내고 제주도 내에서 문화공간 양을 비롯한 문화예술 공간이 지역 예술 활성화에 따른 한계점과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최근 들어 제주도는 유입원이 증가 함에 따라 단순히 관광이나 향유 목적의 예술공간이 아닌 지역 주민을 위한 문화예술공간을 설립하는 등 지역예술 문화 활성에 힘쓰고 있으며, 특히 민간주도 기관에 적합한 지원체제를 마련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Jeju Island has established a number of museums and art galleries by promoting the Island of Culture and Art, but most of them are made up of spaces for tourists. In this situation of Jeju Island, the Cultural Space Yang in the nature of alternative space has been actively promoting the arts of the region by operating a cultural and artistic space for the village focusing on the village.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operation status and programs of the Cultural Space Yang, which is striving to revitalize local art by utilizing unused and misused space around Georo Village in Jeju Island, to find out how unused and misused space is used. In addition, we intend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used and misused space utilization of local art and the Cultural Space Yang and explore the limitations and improvements of cultural and artistic space including the Cultural Space Yang in Jeju Island. As Jeju Island s inflow sources have increased in recent years, Jeju Island needs to establish a cultural and artistic space for local residents, not just for visitors, and support private-led institutions that strive to revitalize local arts.

      • KCI등재

        인공지능 미술의 예술적 가치 판단 프로그램 개발 연구 고등학교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안서정(Seojeong AHN),심영옥(Youngok SIM) 한국조형교육학회 2022 造形敎育 Vol.- No.84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디지털·AI 교육 강화에 대비하여 인공지능 미술을 이해하고 인공지능 미술에 대한 예술적 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지도하기 위한 것이다. 인공지능 미술은 입력된 데이터를 학습하여 기존에 존재 하지 않는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것으로, 최근 인공지능 창작물의 예술적 가치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제기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인공지능 미술의 예술적 가치 판단 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프로그램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교육적 효과는 첫째, 인공지능 미술을 이해할 수 있게 되었고, 둘째, 미술교과에서 인공지능 교육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셋째, 미술작품의 가치 판단 능력이 향상되었다. 아직도 많은 연구를 요하는 인공지능 미술 교육의 발전을 위해 융합 선택 과목 프로그램 연계 및 확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표현 프로그램 연계, 인공지능 미술의 윤리적 가치 판단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무엇보다 인공지능 미술의 예술적 가치 판단은 학습자가 미래 사회를 향유하기 위해서도 필요한 덕목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uide the ability to understand artificial intelligence art and judge the artistic valu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rt in preparation for strengthening digital and AI education, which is emphasized in the revised 2022 curriculum. Artificial intelligence art creates a new image that does not exist by learning input data. Recently, various opinions on the artistic value of artificial intelligence have been raised due to the win the pri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rt. This study considered the necess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art education and devised a program. The educational effect of this program was first to understand artificial intelligence art, and secondly, the possibility of AIED was confirmed in art subjects. Third, the ability to judge the value of art was cultivated. In order to develop artificial intelligence art education, which still requires a lot of research, it is necessary to link and expand programs for convergence elective subjects, link expression program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develop ethical value judgment programs. Above all, judging the artistic valu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rt is a necessary virtue for learners to enjoy a future society.

      • KCI등재

        시각적 사고 전략(VTS)을 적용한 설치미술 감상 지도 방안 : 고등학교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김은솔(Eunsol KIM),심영옥(Youngok SIM) 한국조형교육학회 2021 造形敎育 Vol.- No.77

        본 연구는 시각적 사고 전략을 적용한 설치미술 감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감상 영역 수업에 적용하여, 학습자가 설치미술의 가치를 이해하고 시각적 사고 전략을 통해 자기주도적인 설치미술의 감상 및 비평 능력을 함양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격변하는 시각 문화 속에서 이미지와 정보, 시각매체에 대해 이해하고 비판적 사고력으로 해석할 수 있는 시각적 사고 전략은 토의 수업을 통해 학습자의 언어적 사고의 발달을 촉진한다. 이러한 시각적 사고 전략을 적용한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치미술의 이해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대화학습을 통한 시각적 의사 소통 능력이 함양되었다. 셋째, 문화 존중 능력 및 다원주의적 태도가 증진되었다. 본 연구의 활성화 방안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 미디어 기반의 미술 감상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미술관·박물관과 연계한 대화형 감상 프로그 램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이러한 시각적 사고 전략은 21세기를 살아가는 학생들에게 필요한 비판적 사고와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This study develops an installation art appreciation program that applies a visual thinking strategy and applies the program to the appreciation domain class for high school students, so that learners understand the value of installation art. The purpose of research was to cultivate criticism. A visual thinking strategy that fosters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critically interpret images, information, and visual media in a changing visual culture promotes the development of learners linguistic thinking through discussion classes focused on conversational methods.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program applying this visual thinking strategy is as follows. First, the understanding of installation art was improved. Second, visual communication skills were cultivated through conversational learning. Third, the ability to respect culture and a pluralistic attitude were improved. The ways to activate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 art appreciation program based on smart media should be developed. Second, interactive appreciation programs in connection with art galleries and museums should be activated. This visual thinking strategy provides an opportunity to cultivate critical thinking and communication skills necessary for students living in the 21st century.

      • KCI등재

        포스트휴머니즘에 근거한 바이오아트 교육 지도 방안 : 고등학교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석송연(Songyeon SEOK),심영옥(Youngok SIM) 한국조형교육학회 2022 造形敎育 Vol.- No.81

        본 연구는 포스트휴머니즘에 근거한 바이오아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표현 수업에 적용하여 생명 개념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공동체 의식을 제고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포스트휴머니즘은 휴머니즘의 이분법적 관점에서 벗어나 인간 외 존재와의 공존을 시사한다. 본 프로그램을 통한 교육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바이오아트를 통해 동시대 미술에 대한 이해가 증진되었다. 둘째, 교과 통합적 미술 활동을 통해 창의·융합 능력이 함양되었다. 셋째, 포스 트휴머니즘을 통해 미래 역량이 강화되었다. 본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바이오미디어 표현 프로그램의 심화 연구, 포스 트휴머니즘을 근거로 한 미술교육의 확대, 그리고 고교학점제 융합 선택 과목 적용을 위한 타 교과와의 심화 연계가 요구된 다. 이처럼 바이오아트를 포스트휴머니즘의 관점에서 논의함으로써 존중과 연대의 가치 및 미래 대응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지도 방안을 개발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of Bioart based on posthumanism, arouse interest in the concept of life and improve the sense of community by applying the program to the expression domain class of high school curriculum. Posthumanism suggests coexistence with non-human beings beyond the black and white thinking of humanism. The educational effects achieved from this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enhanced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art through Bio Art. Second, it cultivated both creative and convergence capabilities through subject-integrated art activities. Third, it strengthen the future competency through posthumanism. It is required to encourage this study in the future by exploring the bio media expression program in depth, extending art education based on posthumanism, and connecting with other subjects in depth to convergence elective course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is study wishes to develop the instructional plan of encouraging the value of respect and solidarity, and competence to the forthcoming future by discussing Bio Art from the perspective of posthumanism.

      • KCI등재

        상징적 의미를 적용한 랜드마크 조형물 제작 지도 방안: 고등학교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서민규(Mingyu SEO),심영옥(Youngok SIM) 한국조형교육학회 2018 造形敎育 Vol.0 No.67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랜드마크에 담긴 상징적 의미를 이해하게 하여 미술 문화 향유 능력을 신장시키고, 지역의 상징성을 적용한 랜드마크 조형물을 제작함으로써 창의적 표현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행 연구 고찰 및 사전 인터뷰를 바탕으로 지역의 상징적 의미가 내재된 랜드마크 조형물 제작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 였다. 그리고 적용 결과, 창의적이고 완성도 있는 작품 결과물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미술 문화 향유 능력 및 창의·융합 능력 향상, 미술 문화 이해 능력 함양, 공동체 의식 및 협동심 증진 등의 미술 교육적 가치와 의의를 도출하였다. 랜드마크는 지역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도시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귀중한 자산으로서 오늘날 그 역할의 중요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 랜드마크 조형물을 창작해내는 작업을 더욱 활성화하여 실시한다면 창의적 표현 능력 발달 은 물론 세계화 시대에 우리나라 각 도시의 브랜드 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도 깊이 있게 생각해 볼 수 있는 유의미한 활동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rt education program that helps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 the symbols of local landmarks and appreciate art culture. The program would also increase students’ creativity by letting them create their own landmark sculptures with local symbols. To that end, we designed the program with consideration of the concept of landmark and the art educational value of creating landmark sculptures. Then, a pilot program was conducted and analyzed to test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program. Landmarks are becoming more important as a valuable asset that can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city in the new era when cities can develop beyond the boundary of a country. Understanding and creating landmark sculptures can be a meaningful activity that helps students develop and express their creativity. It will also lead students to ponder deeply on ways of enhancing the brand value of different cities in Korea.

      • KCI등재

        메이커교육 기반의 3D 제품디자인 프로그램 개발 연구 고등학교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신지현(Jihyun SHIN),심영옥(Youngok SIM) 한국조형교육학회 2020 造形敎育 Vol.0 No.75

        This study is to develop a learning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to improve their ability to produce 3D product designs based on maker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ability of the learners to integrate creative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art subjects, and to improve the ability of design thinking and spatial visualization through the newly developed learning program. The right people, who are being pursued in the curriculum revised in 2015, and in the era of the fourth revolution. As a result, education is highlighted by convergence education that can avoid the existing uniform education, realize individual dreams and talents, and express creativity. Thus, in order to develop the creative thinking ability of learners, a product design class based on maker education was proposed by combining technology and art. Communication among students was valued in exploring and embodying ideas, and the 3D program of Tinker CAD was used to visualize ideas. Through these courses, learners will be able to develop spatial visualization abilit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reative design thinking skills, and furthermore, they will be able to understand practical design studies and become self-directed art education in the exploratory aspect.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메이커교육을 기반으로 하여 3D 제품디자인 제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한 것이다. 이를 통해 학습자로 하여금 미술 교과에서 창의 융합 능력과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고, 디자인적 사고와 공간시각화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을 두었다. 4차 혁명 시대로 흘러가고 있는 요즘 2015 개정 교육 과정에서추구하고 있는 인재상은 창의·융합형 인재이다. 이로 인해 교육은 기존의 획일적인 교육을 지양하고 개인의 꿈과 끼를 실현시키고 창의력을 발현할 수 있는 융합교육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에 학습자의 창의적 사고력을 길러 주기 위해 기술과 예술을 접목하여 메이커교육 기반의 제품디자인 수업을 구안하였다. 아이디어를 탐색하고 구체화 하는 데 있어서 학생들 간의소통을 중시하였으며, 아이디어를 시각화하기 위해서 Tinker CAD의 3D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은 공간시각화 능력과 문제해결력, 독창적인 디자인 사고력을 기를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실용적인 디자인 학문에대해 이해하며 탐구적 측면의 자기 주도적 미술 교육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