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영화 <벌새>에 나타난 상실과 소통의 성장서사

        심영아 ( Shim Young-a ),최수웅 ( Choi Soo-wung ) 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 한국문화기술연구소 2020 한국문화기술 Vol.28 No.-

        이 연구는 성장서사의 관점에서 영화 <벌새>에 나타난 입사의 의미를 1990년대 한국사회현실의 맥락과 함께 고찰함으로써 주인공의 개인적 경험에 기입된 당대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추적하는 동시에 그 현재적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작품에 나타나는 상실의 경험과 소통의 의지는 개인적인 동시에 사회적인 것으로, 1990년대를 관통하는 한국사회의 공통경험에 기반을 둔다는 점에서 오늘날에도 유효한 보편성을 획득한다. 작품에서 1994년 대치동의 학교와 아파트는 물신주의적 자본주의와 그와 연동하여 작용하는 가부장제의 폭력성이 드러나는 세계로 그려지고 있다. 주인공 은희가 가족과 친구 관계, 수술로 겪는 여러 경험들은 상실이라는 말로 요약될 수 있다. 성장서사의 맥락에서 이런 상실의 경험은 입사적 의미로 해석된다. 작품 속 가장 큰 상실에 해당하는 학원 선생 영지의 죽음은 성수대교붕괴와 이어지면서 주인공의 개인적이고 일상적인 차원의 상실을 사회적으로 확장하는 서사적 장치로 작용한다. 은희가 이런 상실의 경험들을 수용하고 성장할 수 있는 데에는 영지 선생으로 대표되는 타인들과의 관계와 연대가 중요한 지지가 된다. 의무나 혈연으로 엮이지 않은 타인들에게서 오는 지지와 소통은 은희 안에서 창작과 소통에 대한 욕망으로 자라난다. 소통의 욕망은 수동적이고 소외된 존재였던 은희가 적대적 세계와 화해하고 타인과 관계를 맺고자 하는 열린 존재로 성장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폭력적으로 경험되는 세계 안에서 상실의 경험을 통과하면서 연대와 소통을 추구하는 존재로 성장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벌새>의 서사는 개인의 과거를 통해 1990년대의 사회적 맥락을 소환함으로써 한국사회의 공통 기억에 호소한다. 또한 창작을 통한여성 성장서사의 한 유형을 제시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initiation in the film House of Hummingbird from the perspective of growth narrative, along with the context of Korean social reality in the 1990s, and traces the sociocultural context represented in the personal experiences of the main character. It also analyse the meaning of this sociocultural context from the perspective of today. The experience of loss and the will of communion in the film are both personal and social, and they acquire universality that is valid even today, based on the common experience of Korean society in 1990s. In the film, school and apartment in 1994’s Daechidong are depicted as a violent world dominated by capitalism and patriarchy which are intimately connected to one another. The protagonist Eun-hee’s difficulties in relationship with family and friends, as well as the experience of surgery, can be summed up in terms of loss. In the context of a growth narrative, these experiences of loss can be interpreted as a symbolic process of transition and initiation. The death of Yong-ji, due to the collapse of Seong-su Bridge, connects the disaster of social dimension with Eun-hee’s personal loss. In these losses and trials, solidarity with others is important support for Eun-hee to accept the losses and grow up. Support and sympathy from others who are not bound by duty or kinship, give her a desire to support others and communicate with them in her turn by creating cartoons. This will of communion is a result showing that Eun-hee, who was passive and alienated at the beginning, has reconciliated with the hostile world and grown into a person open to others. The narrative of the film, which shows the process of growing toward solidarity and communion passing through the experience of loss in a violent world, summons the social context of the 1990s through the individual's past. It also presents a type of female growth narrative motivated by creation.

      • KCI등재후보

        박솔뫼의 재난서사에 나타난 생태의식 연구 - 원전 사고 이후를 그린 작품들을 중심으로

        심영아 ( Shim Young-a ) 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 한국문화기술연구소 2019 한국문화기술 Vol.27 No.-

        이 글은 박솔뫼의 「어두운 밤을 향해 흔들흔들」, 「우리는 매일 오후에」, 「겨울의 눈빛」에 나타난 근대 산업문명 비판과 생태 의식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고리 원전 사고 이후 가상의 미래를 그린 이 작품들은 과학과 경제개발을 기반으로 한 근대 산업문명에 대한 비판으로 읽힐 수 있으며, 이런 점에서 생태계 파괴를 비롯한 현재 세계의 전반적 위기의 원인을 근대 산업문명으로 보는 생태주의적 사고와 맥을 같이 한다. 본고는 이러한 근대 비판과 생태 의식을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첫째, 이 작품들은 원전 사고 이후 익숙한 현실이 사라지고 인간 실존 자체가 위협받는 세계를 환상적 상황 혹은 암울한 일상을 통해 그리고 있으며, 이런 재난의 원인이 원전사고임을 명시함으로써 현실 비판적인 생태 의식을 내포한다. 둘째, 이 작품들은 세계 종말을 미래 실종이라는 관점으로 제시하고, 그 근본적 원인으로서 산업문명의 폭력적 경제 개발을 비판하고 있다. 아울러 미래를 사라지게 만든 원전 사고를 근대 산업문명의 필연적 귀결로 제시함으로써 근대 산업문명을 비판하는 생태의식을 드러낸다. 셋째, 이 작품들의 등장인물들은 목적 없는 산책을 통해 폐허가 된 세계와 다시 만나고 인간 중심주의적 근대에는 불가능한 방식으로 세계와의 연대를 회복한다. 또한 직접 목격이나 증언이 아닌 극장이라는 매개를 통해 현실에 참여하고 공동체를 형성한다. 이들의 산책과 극장 가기는 폭력적 경제 발전과 근대적 진보 이념에 대한 무위의 저항으로 해석된다. 이상의 분석은 박솔뫼의 작품에 대한 미시적 이해를 심화하는 동시에 포스트모더니즘, 탈근대의 시대로 불리는 21세기 한국 문학에 잠재되어 있는 생태적 사유의 한 형태를 찾아보려는 시도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criticism of modern industrial civilization and ecological thought in Park Solmoe’s “Stumbling Toward the Dark Night,” “Every Afternoon We” and “Winter’s Eyes”. These works, which depict the virtual future after the Kori nuclear accident, can be read as criticism of anti-ecological society based on modernity. This paper analyzed this criticism of modernity and ecological thought in three aspects. First, these works, by unrealistic situation or gloomy daily life, represent the world in which the familiar reality disappears and the human existence itself is threatened. And by specifying that the cause of the disaster is the nuclear accident, it implies an ecological thought which criticize the present society. Second, these works criticize the modern industrial civilization by clearly suggesting that the disaster that makes the future disappear is a result of blind economic development aimed at ‘developed countries’. Third, against the violent economic development and modern ideology of progress, the characters of these works choose rambling without purpose and going to theater. They meet with the ruined world and regain solidarity with it through purposeless rambling, and participate in reality and form community through the theater. In these works, rambling and theater have a positive meaning against the ideals of development and progress. This analysis is an attempt to find a form of ecological thinking that is latent in 21st century Korean literature, which is called the postmodern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