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형 소외에 대한 두려움 척도의 타당화 연구

        주은선(Eunsun Joo),전소연(Soyeon Jeon),심솔지(Solji Shim)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2

        본 연구에서는 Przybylski 등(2013)이 개발한 소외에 대한 두려움 척도(Fear of Missing Out Scale, FoMO Scale)를 국내 문화에 적합하게 번안하여 타당화 작업을 진행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문항내용분석을 통해 3요인으로 구성하였으며, 확인적 요인 분석에서는 세 가지 모형을 구성하여 모델의 적합도를 비교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총 3요인 모형, 8개 문항의 구조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문화의 특성적 맥락과 이론적 근거를 통해 추출한 하위요인은 ‘소속 욕구’, ‘외적 동기’, ‘상대적 박탈감’이다. 본 척도와 각 하위 요인별 신뢰도 수준은 양호하였다. FoMO는 삶의 만족도와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 SNS 중독경향성과 유의한 상관을 보여 공존타당도를 충족하였다. 감사성향과는 낮은 상관을 보여 변별타당도를 충족시켰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를 위한 제안을 하였다. This study, the Fear of Missing Out Scale (FoMO Scale) developed by Przybylski et al. (2013) was adapted and validated to the Korean culture. 3-factors were constructed through EFA and item content analysis. In the CFA, 3 models were constructed to verify the fit of the model. Compared the goodness of fit, 3-factors model with 8 items proved to be the most appropriate. Sub-factors extracted through the characteristic context and rationale of Korean culture are ‘belonging needs’, ‘extrinsic motivation’, and ‘relative deprivation’. K-FoMO scale and the reliability level of each sub-factor were good. Convergent validity was assessed by significant correlation the K-FoMO scores with life satisfaction, positive emotions, negative emotions, and SNS addiction proneness. Discriminant validity was assessed by low correlation with gratitude. At the end, limitation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