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강릉단오굿 연구현황과 전망

        심상교(Sim, Sang Gyo),윤동환(Yun, DongHwan)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09 아시아강원민속 Vol.23 No.-

        강릉단오굿과 동해안별신굿을 아우르는 연구현황을 살폈다. 무가의 의미 분석이나 굿 전반에 관한 연구성과 중에서 지명도를 얻은 것은 서지사항만을 소개하거나 최소화하여 검토하고 춤, 음악, 연극적 관점, 무구, 문화콘텐츠, 제례 등의 영역에 관한 연구성과를 주로 검토하였다. 동해안 무속에 대한 본격적 연구는 1920년대 손진태에 의해 시작되었다. 이후, 김태곤, 최길성, 최정여, 서대석에 의해 동해안 무가가 본격적으로 수집되기 시작하였다. 1970년대 이들 자료 외에도 이두현, 김선풍, 임재해. 이균옥 등의 자료가 있다. 이외에 관 주도의 민속조사와 조사보고서는 차후 연구를 위한 자료의 발판이 되었다. 춤에 관한 연구는 춤이 어느 굿에서 어떤 의미와 상징으로 추어지는 지를 고찰했다. 조은희와 김진량, 이보영의 논문이 대표적이었다. 동해안별신굿의 음악에 대한 연구도 많다. 이에 대한 논의는 동해안별신굿의 음악을 객관화하고, 과학화하는 의미있는 연구로 볼 수 있다. 이영선, 윤용준, 장휘주 등의 논문이 있었다. 동해안별신굿을 연극학 혹은 공연학적 관점에서 연구한 논의도 있다. 이두현, 장휘주, 유인경, 신동흔, 한전기, 심상교의 논문이 있었다. 무구 및 문화콘텐츠와 관련된 연구도 있었다. 동해안별신굿의 연행구조와 축제적 관점에서 고찰한 논문도 있었다. 제례관련 논의는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황루시는 일본과의 비교연구를 통해 동해안별신굿의 제례에 대해 논의하였다. 동해안별신굿 무가에 내재된 삶과 죽음의 의미를 분석한 경우도 있었다. 박경신은 축원무가의 작시 원리에 대해 논의했고, 최성진은 계면굿을 주로 고찰하였다. 웹싸이트상에서의 자료 공유도 필요하다. To observe of research present condition about Kangreung Dano-Gut and Donghaeanbyeolsin-Gut. This thesis studied about meaning analysis or the exorcism whole getting a eminent degree from in research result. Introducing about only a bibliographical fact, minimized & investigated, dance, music & theatrical viewpoint, purity, and the cultural contents and territory. The real research in compliance with 1920’s hands were started about Kangreung Dano-Gut and Donghaeanbyeolsin-Gut. After sonJinTae, Choi GilSeong & Kim Seonpoong & Seo daeseok & Choi JeongYeo srudied about Kangreung Dano-Gut and Donghaeanbyeolsin-Gut. There is a data of this germ jade etc. With ethnic custom investigation of tube leading the investigative report became the foot hold of the data for a future research ocher than. About dance the research dance from which exorcism with what kind of meaning the loach investigated falls with symbol. Park GyeongSin, Lee GyunOk, Sim SangGyo, Yun DongHwan, Choi SeeongJin These researchers studied about Kangreung Dane-Gut and Donghaeanbyeolsin-Gut eagerly. The research of the cultural contents and theatrical viewpoint is active. Also the discussion from the web site as a matter of becomes actively and does.

      • KCI등재

        차범석 초기 희곡의 모더니즘적 특성 연구

        심상교(Sim Sang gyo)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6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7 No.1

        차범석은 리얼리즘 작품을 쓴 대표적인 작가로 평가된다. 그러나 사실, 그의 작품은 모더니즘에 더 가깝다. 그의 작품에는 기본적으로 계급간 혹은 억압자와 피억압자의 대결이 분명치 않기 때문이다. 차범석은 현대문명의 폐해를 드러냈다고 하여 리얼 리즘 작가로 평가되었다. 차범석의 초기 희곡은 폐해보다는 현대문명에 대한 긍정을 담고 있다. 차범석 초기 작품에는 전쟁 경험과 해외 군인들이 가져 온 새로운 문물이 병존하여 새로운 것에 집착하는 모습과 이를 수용하지 못하는 사회와의 괴리로 희생되는 사람들이 나타났다. 성난 기계 (1959), 불모지 (1958)에 이런 속성이 그대로 드러난다. 성난 기계 에는 물질문명이 비판되지 않고 물질문명의 보완재로 휴머니즘을 보여주는 점에서 모더니즘적이다. 불모지 는 사회 적응에 실패한 모더니즘적 인물이 다뤄졌다. 산불 (1962)은 한국 리얼리즘 희곡의 최고봉으로 손꼽힌다. 이 작품이야말로 욕망 드러내기에 스스럼없었던 모던지향의 이야기가 두드러졌다. 배경이 되는 장소가 산간마을이라는 점이 등장인물을 모던한 사람으로 해석하는 것을 주저하게 하지만 욕망을 숨기지 않는 태도에서 산불 의 등장인물들을 모던한 사람이라고 보는 점에 별 문제가 없다. 산불 에는 사회현실에 대한 객관적 찰과 이로부터 얻어진 사회의 문제점 발견은 없다. 반면, 교사였던 남자에 대한 여자들의 욕망만이 비대해져 있을뿐만 아니라 전통적 삶의 가치를 부정하는 모습도 드러나 있어 모더니즘 경향을 견지한다. 모더니즘에도 현실에 대한 비판적 자세가 들어 있는데 산불 이 보여주는 전쟁의 폭력성이나 인간 본능 중시 태도는 리얼리즘적 경향이라기보다 모더니즘이 갖고 있는 현실 비판적 태도에 가깝다. Chabeomseok is evaluated as a representative artist of realism plays. But in fact, his plays are more akin to modernism. His work has not confrontationbetween oppressor and oppressed classes. Chabeomseok was evaluated by a realism writer, because he works the evils of modern civilization. The initial dramas of contained positive than negative effects on modern civilization. While the Korean War many culture & ideology were brought by foreigner. Chabeomseok’s plays reflected 50’s social phenomenon that new civilization sacrificed people who can’t overcome the gap between new and old. 「Seongnangige-angry machine」s (1959), This play contains the affirmation of the modern civilization, it is evident modernism play.「 Bulmoji-wasteland」 (1958), too. 「Sanbul-forest fire」 (1962) is considered the pinnacle of Korea realism plays.This work may contain insights into human nature. This insight means of escapefrom ideology.

      • 정채봉 초기 동화의 서사구조 연구

        심상교(Sim, Sang-gyo) 한국어문교육학회 2009 어문학교육 Vol.39 No.-

        The thesis researched about narrative structure of the fairy tale of Jeong-ChaeBong. One plot becomes cause of the event which happens next from causal form. The situation which is reversed the events are joined together without sequentially. Coexistence form took two axes stand side-by-side and they developed a contents. The contrastive structure with meeting, separating, is embossed from repetitive inside. The contrastive structure applied in compression and causality grant. Symbolic of contrastive structural inside being and with meeting separating, various anger does is used the width of sentiment. The unreal structure was structurized in the events which happen from unreal space. Like this intention of fairy tale affirms a direction of a ceremony ultimately and protects is because of thought. The figurative structure is combined and metaphorical situation and metonymy situation was a structure which becomes the theme song which is completed. The travel structure was the hero travel or search for process which call a case in subject.

      • KCI등재후보

        구연 서사물의 치유적 요소에 대한 연구

        심상교(Sim, Sang-gyo)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3 民俗硏究 Vol.0 No.26

        구연 서사물은 제보자의 억눌린 상황을 해결한다. 동시에 자신의 문제를 극복하고 새 삶을 개척하면서 문화적 승화를 이루어 낸다. 서사물이 치유적 결과를 보여 주는 것이다. 마을 사람들이 공감하는 마을의 여러 이야기 내면은 크게 네 가지로 구성된다. 첫째는 역사성이고 둘째는 자부심, 셋째는 미래지향성, 넷째는 한계성이다. 마을에 전해지는 이야기를 통해 인간의 실존과 존재론적 모습을 인식한다. 이런 인식은 마을에 전해지는 여러 이야기를 되새기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학적 공감 때문에 생겨난다. 마을 사람들은 자기마을에 산재한 여러 이야기를 구술하고 이를 되새겨 보는 과정에서 정신적 만족과 쾌감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대상화과정은 편벽된 가치관과 위선적 질서의 강요를 서사구조 안에 내재시킨다. 대상화는 반성과 계몽, 교훈과 관련을 맺는다. 공감이 감성과 관련된다면 대상화는 이성과 관련된다. 대상화과정은 옛날이야기를 주고받는 과정이 자기 성찰이라고 할 수 있다. 대상화 과정을 올바르게 밟으면 치유적 효과를 발휘하게 되지만 대상화과정을 잘못 밟으면 역효과가 나타난다. 통합과정에는 절대세계로부터 추출된 조화와 희망이 들어 있다. 통합과정에는 갈등이 나타나지 않으며 안녕과 행복에 대한 기원과 절대세계에 대한 의존이 나타난다. 갈등이 들어 있는 이야기를 구연하거나 듣게 되면 그 과정에서 사람들은 등장인물에 대해 각자의 판단으로 선악을 보게 되는데 절대자나 절대세계 앞에서 사람들은 조화된 세상을 보게 된다. Oral Literature resolve the problematic situation. His problems to overcome and the newly created while the culture that makes the sublimation. As things would illustrate the healing results. Villagers sympathetic to the town"s many stories my side is largely composed of the four. The first is historical relevance, and the second is the pride, and the third is the future orientation, 4th limitations. In the village allegedly through the story of human existence and become aware of the look. This recognition is in the village allegedly several stories that arise due to the empathy and literary. Village people share several stories throughout the town to recollect seeing the mental satisfaction and pleasure. Target process is part of the values and cant push the wall epic structure inherent in them. Target is a reflection and enlightenment, the lessons related to bears. If this target achievement related to sensitivity and empathy. Target process is an old story, the receiving process is called introspection. Target process and healing effect correctly but the target process is wrong and counter productive. Integration process came from harmony and absolute world hope. The process of integrating the conflict does not appear and Hello and happy about the origin and the absolute reliance on the world. The conflict in the story is that in the course of the hearing or oral people into their judgments about the characters and seeing good and evil are absolute or absolute harmony with the world and people in front of the world.

      • 연극놀이 특기적성교육을 통한 자기 표현 능력신장 사례 연구

        심상교(Sim Sang-gyo) 한국어문교육학회 2003 어문학교육 Vol.2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s of dramatic play. In other wo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s of the program for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For this purpose, the Learning Methods of Speaking and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and the possibility of it's improvement in school were analyzed. The program for improving the understanding was developed, based on the guidelines for learning and teaching the understanding after reviewing various programs avaliable.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two problems which dealt with the study were as follows; 1. Is there any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one, related to the program for improving the understanding? 2. Is there any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related to the two student's level for improving the understanding? For the experiment, the pretest-pro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used. The subjects of study were 75 children from 2 classes of the 4th grade in Norm Elementary School at Busan. To sum up the results of the study, they were as follows; The two groups but the post-test showed meaningful increase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two factors of the understanding. To summarize the above results, following conclusion could be drawn; the understanding post-test total score showed meaningful increase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above results,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drawn; the application of the learning methods of the understanding was effective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 KCI등재후보

        김수현 드라마의 특성 연구 Ⅰ

        심상교(Sim Sang-gyo)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5 한국학연구 Vol.22 No.-

        김수현 드라마의 특성을 고찰했다. 고찰의 관점은 구조적 측면과 놀이적 측면이었고 고찰 대상은 『사랑과 야망』ㆍ『청춘의 덫』이었다. 『사랑과 야망』과 『청춘의 덫』은 크게 두 개의 구조가 작품을 형성한다. 대조구조와 배반의 구조가 그것이다. 대조구조만 살폈다. 대조구조는 한 가지 이야기 안에 대조적 상황을 배치하여 두 개의 상황 모두가 선명하게 드러나도록 하는 것으로 양가감정에 억압받는 인물군의 계열체를 상황에 맞게 조합함을 의미한다. 『사랑과 야망』의 이야기를 축약하면 ‘한 남자가 한 여자를 사랑한다.’이다. 특별할 것 없는 이야기다. 그러나 『사랑과 야망』만의 빠롤을 형성하여 사랑과 드라마라는 랑그세계에서 김수현만의 독특한 영역을 확보한다. 『청춘의 덫』은 밀집된 대조 구조를 시용한다. 대조적 성격의 인물, 상황, 관념을 한 곳에 배치하여 서로를 부각시킨다. 『청춘의 덫』의 이야기를 축약하면 ‘한 여자가 한 남자를 사랑한다.’가 된다. ‘한 여자’와 ‘한 남자’, ‘사랑’은 독특하게 계열화되어 남자와 여자가 바뀌고 사랑은 증오 바뀐다. 계열체와 통합체 전반에 변화가 일어나는 것이다. 이는 전체 질서의 변화와 연관된다. 이는 빠롤의 다양한 상황과 조합되면서 극적 재미는 더해진다. 이는 극적 장르의 일반적 구조와 다른 다축의 확산적 구조를 형성하여 김수현만의 독특한 빠롤로 나타난다. 김수현의 대사는 직전, 직후로 연결되어야만 그 의미가 드러나 주고받는 것이 대사라는 특성을 완성시킨다. 대표적인 예는 이것이다. ‘방법이 있어? 가르쳐 주’라고 말하는 동우에게 윤희는 ‘죽어’라고 답한다. ‘죽어’라는 발화는 독립해서는 인상적이지 못하다. 궁색한 변명을 늘어놓으면서 마지막 출구를 찾는 동우에게 ‘죽어’라고 발화하기 때문에 인상적인 대사가 된다. 놀이의 네 가지 범주 아곤(Agon), 알레아(Alea), 미미크리(Mimicry), 일링크스(Ilinx)적 요소와 이 범주를 세분화하여 특성화하는 루드스와 파이디아적 요소를 기준으로 살폈다. 각각의 등장인물들과 여러 개의 상황이 이들의 요소에 그 특징이 분석된다. 한 인물에 또 한 상황에 여러 개의 요소가 복합되어 있다. This thesis studied Kim, Su Hyeon's TV drama within the framework of a structuralism & play. 『Love & ambition』, 『The trap of youth』 are studied by this thesis. Kim, Su Hyeon has written 51 scripts from 1972. She is the great master in Korea TV drama world. She has written various masterpieces. Her dramas adopted unique structure which is the contrast. Contrast structure contrasted between characters and characters or between characters and situations or between situations and situations. Characters and situations conflict in one point. That characteristic is named by closed ploy-axis structure that differentiate Kim from the other. 'Taejun', 'Mija', 'Taesoo',(『Love & ambition』) 'Yunhee', 'Dongwoo', 'Yongju'(『The trap of youth』) - those are main characters. They love & ambition. They had the high ambition to be a great person. Kim, Su Hyeon writes extraordinary dialogue which is reflected in characterristic of dramatic genre. Her drama's contents can be analyzed by play. those are Agon, Alea, Mimicry, Ilinx.

      • 서낭굿가면희의 화이트 트라우마(white-trauma)적 요소에 대한 연구

        심상교(Sim, sangGyo)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19 아시아강원민속 Vol.31 No.-

        인간의 삶에서 난제와 난관은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고 반복적으로 인간 삶에 개입한다. 그 결과 인간에게 고통과 희생을 남긴다. 여기서 난제와 난관은 우리에게 트라우마로 자리 잡는다고 할 수 있다. 트라우마는 주로 어두운 기억과 관련되며 그 기억 속의 반복되는 난관이나 난제를 넘어서려는 노력과 관련된다는 점이다. 그런데 인간에게는 긍정적이고 행복했던 기억을 반복하여 추억하고 삶의 에너지로 활용하는 경우도 있다. 본고에서는 이처럼 긍정적이고 행복했던 기억이나 경험이 삶의 에너지가 되는 경우를 화이트 트라우마(white-trauma)라고 하겠다. 서낭굿과 연계된 민속가면희인 서낭굿탈놀이는 그런 면에서 대표적인 화이트 트라우마가 된다고 볼 수 있다. 성황신께 제례를 올리고 이후 신을 위로 하는 연희를 함으로써 신의 보살핌이 현실화 되리라는 생각을 갖게 된다. 난관과 난제가 닥쳤을 때 이런 확신의 기억은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하는 근간이 될 것이다. 탈중심화 된 주체로 트라우마적 주체의 모습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을 하게 되고 이 노력의 과정이 화이트트라우마가 되고 노력의 과정에 화이트 트라우마의 도움을 받게 되기도 한다. 제의성은 바로 이 접점에서 화이트트라우마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인간이 한계에 도달한 지점에서 주체를 후퇴시키지 않고 신성성을 유지한 채 제문과 제수를 준비하여 의례를 거행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를 화이트 트라우마적 행동이라고 할 수 있다. 외상에 억압되던 주체는 화이트 트라우마에 의해 더 이상 비워진 존재가 아니며 여러 사람과 소통하고 함께 향유하는 예술행위라는 화이트 트라우마를 통해서 주체는 트라우마를 극복한 새로운 주체로 탄생하게 되는 것이다. 새로운 주체로 탄생하는 과정에는 신에 대한 인간의 태도도 관련된다. 신을 통해 화이트 트라우마를 확정받고자 함이 있는 것이다. 안동과 강릉에서는 안동하회별신굿가면희와 강릉단오제의 주신으로 받드는 성황신과 관련된 이야기를 만들고 성황신을 위로하고 즐겁게하는 의례를 이어왔다. 현재는 신앙적 의미는 거의 사라지고 민속예술로 전승되는 상황이지만 반복의례는 화이트 트라우마를 이어가려는 노력인 것이다. Creatures such as art do not only reflect the experience of the subject. It contains human wisdom and effort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experience and overcome them. Difficulties and difficulties can be disasters such as natural disasters and pests, or complex problems intertwined between humans. These challenges and challenges do not stop at one time, but they are repeatedly involved in human life. As a result, it leaves pain and sacrifice to humans. Humans use their wisdom to escape this pain and sacrifice, in some cases, to find the ultimate solution, but in others they also experience limitations. Civilization develops in an effort to find a solution, and human life takes a step forward. Difficulties can be said to set us up as traumas. Trauma is usually associated with one side. It is mainly concerned with dark memories and with repeated obstacles and efforts to overcome them. In humans, there are times when we repeat positive and happy memories and use them as energy for life. In the present case, the positive and happy memories and experiences of the past become the energy of life are called white-trauma. Seonanggut Talnori, a folk mask dance linked to seonanggut, is a typical white trauma in this regard. It is believed that God"s care will become a reality by holding a memorial service to the emperor and then performing a banquet to console him. The memory of this conviction will provide a clue to the solution when faced with difficulties. A decentralized body makes an effort to escape from the image of a trauma-like body, and the process becomes a white trauma, and the White Trauma helps the process. Proposition is what will act as a white trauma at this point of contact In some cases, people perform rituals by preparing sacrificial rites and sacrifices without regressing the subject at the point where the human limit is reached, which can be called white trauma.

      • KCI등재

        영남 동해안지역 풍어제의 연행특성과 축제성

        심상교(Sim Sang-Gyo) 한국무속학회 2005 한국무속학 Vol.0 No.10

        본고는 영남 동해안지역 풍어제의 연행구조와 축제성을 고찰했다. 영남 동해안 지역의 풍어제는 내당굿과 외당굿으로 나뉘어 24석에서 31석으로 연행된다. 영남 동해안지역 풍어제는 청신-오신-위민-송신의 구조다. ‘위민’이란 풍어제를 지내는 마을 주민들이 주체가 되어 흥겹게 놀기도 하고 자신들을 위해 복을 비는 축원의 성격을 포함하는 용어다. 풍어제의 연행 특성은 반금기성, 가시성, 통합성이다. 반금기성은 ‘금기를 깬다’는 의미다. 금기를 깨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 골계성, 사회비판성, 해학성, 풍자성 등이다. 가시성은 상징성을 구체적으로 담아내어 이를 장면화하고 현실화 하는 특성을 의미한다. 무가의 내용을 좀 더 쉽게 전달하려는 목적이 있을 때 신의 존재를 암시적으로 보여줄 때 이 특성이 나타난다. 가시성은 신의 상징을 확인시켜 주는 대화를 통해서도 드러나며 ‘보는 재미’도 준다. 통합성은 열린무대(open theater)처럼 관객도 함께 굿 진행에 참여하게 하는 특성을 말한다. 마을 주민이 풍어제의 주체로서 참여하도록 하는 것과 맥을 같이 한다. 축원과 신화세계의 현실화를 통해 관객이 공연에 주체로 참여하는 상황이 확인된다. 영남 동해안지역 풍어제가 열리는 전후과정에서 나타나는 일과 상황의 특징은 아홉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화합의 장이자 공유의 장이다. 둘째, 추상과 구체를 나눈다. 셋째 민속클래식음악을 감상한다. 넷째 두려움을 없애주는 자기 암시와 즐거움을 확약받는 경험을 갖는다. 다섯째 삶의 새로운 에너지를 얻는다. 여섯째 전통사상을 지킨다. 일곱째 기복성이 있다. 여덟째 권력지향성과 정치성이 있다. 아홉째 경제활동이 있다. 아홉가지의 축제적 현상에서 귀납되는 축제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6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신성성, 놀이성, 완전성, 융합성, 모방성, 회귀성, 기복성이다. 이들 특성은 독립적이기보다 서로 얽혀 융합된 상황에서 설명되어진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highlight festivities &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PoongO-Gut in Yongnam province as a Korean traditional performance heritage by measuring it against the modern changes & the act of recreation by its concept structure & performance characteristics. Human-beings trace for act of public good that is based on the notion of perpetuating peaceful life. This extended concept widens the existing perception of PoongO-Gut which was merly seen as a periodical religious ritual, and becomes the basis for suggesting a new outlook for PoongO-Gut. The core function of PoongO-Gut in Yongnam province entails confirming and securing the group identity and sense of bonding among the members of its province. During this process, it encompasses the concept of perpetuating an essential bond among humans, or communities. Other function of PoongO-Gut in Yongnam province variable structure include : formation of harmonious relatoinship among deity nature humanbeings, securing the economic foundation for the community, mitigation of suffering & anxiety stemming from leading everydaylife.

      • KCI등재

        한국무속의 신격연구 -제주도 일반신본풀이의 신격 연구-

        심상교 ( Sim Sang-gyo ) 우리어문학회 2019 우리어문연구 Vol.64 No.-

        제주굿 일반신본풀이 나타나는 신격들은 독립적이고 수평적이다. 상하관계로 연결되는 신격들이 없는 것이다. 제주도 일반신본풀이의 신격들은 유일한 최고신을 만들지 않았다. 천지왕신이 세상을 개벽한 이후 인간이 살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 후 인간을 도울 수 있는 방도를 여러 신격들이 나눠가졌다. 여러신들이 각자의 역할을 유지한 채 인간과 연결되고 있는 것이다. 일반신본풀이의 신격들은 다신(多神)체제로 인간을 지배하는 체계를 확립하였다. 다신체계는 유일체계에 비해 상대적으로 형식화가 부족한 것으로 인식되어 온 경향이 없지 않다. 미개한 신앙체계처럼 인식되는 측면도 없지 않았다. 제주도굿 일반 신본풀이의 다신체계는 각각의 위상에서 독립적·수평적·분산적 체계를 통해 신격을 드러낸다. 제주도굿 일반신본풀이에는 기아회생모티프와 가사회생모티프도 나타난다. In this paper, I studied about the Godhead which appeared in the general Shinbon Puri-muga in the Western affairs of Jejudo Gut. There are many ways to study the Deity of Korean Shaman. In this article, we looked at the genealogy and character of the Deity of Korean Shaman based on the narrative function of the Deity of Korean Shaman. The s ecretary of Jejudo i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General SinbonPuri. In the case of general General SinbonPuri, which is a subject of consideration, there are many dictates of various atavists and efforts of various researchers. In this paper, Jeju island muga is analyzed text. The main subject of the study is 1-Chun Ji Wang BonPuri, 2-Samseung Halmang BonPuri, 3-Manura BonPuri, 4-Chogong BonPuri, 5-YiGong BonPuri, 6-Samgong BonPuri, 7-Chasa BonPuri, 8-Shamani BonPuri, 9 - Jijang BonPuri, 10 - Sekyong BonPuri, 11 - Moonjeon BonPuri, 12 - ChilSung BonPuri. The contents of this book include the birth history of the gods who preside over various aspects related to the practical aspects of human life from the creation of the world of heaven and earth to the various life of human beings.

      • KCI등재

        한국무속의 신격연구2

        심상교(Sim SangGyo)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9 民俗硏究 Vol.0 No.38

        동해안별신굿의 신격에 대해 연구하였다. 고찰대상은 신격의 형성과정이 비교적 분명하게 드러난 굿거리를 중심으로 한다. 신격은 여러 형태로 구성되었다고 볼 수 있지만 본고에서는 두 가지 경우를 주 대상으로 한다. 인간이 죽어 신격으로 좌정한 한 경우와 비인간이 신격으로 좌정한 경우 두 가지다. 고찰대상은 굿의 기본 구조상 청신-오신-송신의 각 성격에 해당하는 굿거리를 대상으로 하되 오신의 구조에 해당하는 여러 개의 굿거리 중에서 신격이 비교적 분명하며 인간이 죽어 신격으로 좌정한 굿을 대상으로 한다. 청신과 송신에 해당하는 고찰대상 굿거리는 부정굿과 거리굿이고 오신에 해당하는 고찰대상 굿거리는 골매기굿, 조상굿, 장수굿, 부인굿, 용왕굿, 황제굿 등 6개 굿거리다. 본 연구에서 신의 성격을 구명하는 분석 관점은 크게 두 가지다. 계보와 성격이다. 첫째 신의 계보는 신의 탄생과 역사성, 영향관계, 신단형성 등과 관련된 고찰이다. 둘째 신의 성격은 신의 계보를 통해 형성된 신의 행적 등을 통해 관장영역을 확인하는 고찰이다. 신의 행적은 신의 성격이 어떻게 실현되는가를 확인하는 고찰이다. 동해안별신굿의 신의 계보는 전체적 맥락을 밝히는 정도로 드러냈을 뿐 구체적 과정은 밝히지 않았다. 언제 어떤 인물이 어떤 경위를 통해 사망하게 되었고 그 인물의 경력이 어떤의미를 지녔고 어떤 과정을 거쳐 신격으로 좌정하였다는 등의 구체적 탄생과정에 대한 설명은 없다. 굿과 굿 사이를 연결하는 신들의 영향관계도 거의 없다. 인간으로 생존했을 때 어떤 신분의 사람이 어떤 신격으로 좌정했다는 등이 구분도 없었다. 역사적으로 실증할 수 있는 탄생과정이나 신들과의 관계도 밝힌 경우가 없었다. 인간이 죽어 신으로 좌정하게 되었다는 점을 포괄적으로 밝힐 뿐이었다. 그러나 동해안별신굿에 나타나는 신들의 성격은 분명한 편이었다. 풍어, 풍농, 자손번창, 재물획득, 안과태평, 학업성취 등 자손들에게 만복과 행운의 종류와 성격은 다양하였다. 그런데 신격마다 내려주는 행운이 뚜렷이 구별되지는 않는다. 용왕신의 경우 풍어, 황제굿의 경우 풍농 등의 구체성이 드러나기는 하지만 이들 신격들도 많은 복을 다양하게 내려주는 역할을 한다. 거리굿의 거리신들은 대체로 자살했거나 횡사한 인간이 신격화 한 존재들이다. 본굿의 오신과 송신 내용이 잡귀잡신을 배송하는 거리굿에 압축되어 있다. 그리고 신들은 굿을 하고 신에게 제수 등 신에게 지극정성을 올리는 사람에게 주로 복을 내려 준다. 지극정성은 신의 정신과 신체를 만족시켜주는 것이어야 한다. In the Donghaengut, I studied about the gut that human beings were hierachiezed with the deity. Among the DonghaeanByeolsingut, the gods were examined focusing on the east coast sea shrine. I have looked at eight streets that have a clear commonality between the deity and the dead. Eight streets are 1. Bujeonggut–2.Golmaegigut-3.Chosanggut-4.Generalgut-5.Wifegut-6.Yongwanggut-7. Emperorgut-8.Street gut. In this study, there are two main points of view for analyzing the nature of God. The first genealogy, the second personality, and the act. First, the genealogy of god is an examination related to the birth of God, history, influence relation, Second, the character and conduct of the god is an insight that confirms the enema area of God formed through the lineage of God. God’s action is an insight into how God’s personality is real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