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지상파방송의 편성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 미국, 영국 일본, 대만을 중심으로

        심미선 한국방송학회 2003 한국방송학보 Vol.17 No.3

        This study explores the programming strategies of terrestrial broadcasters under the multi-channel environments. Especially the study focused on the differences between public-owned terrestrial broadcasters and private-owned terrestrial broadcasters. As the public-owned terrestrial channels, BBC1, BBC2 in UK and NHK in Japan, KBS1, KBS2 in Korea and as the private-owned terrestrial channels, ITV in UK, ABC, CBS, FOX, NBC in USA, Nippon TV, Fuji TV, TBS, TV Tokoyo, TV Asahi in Japan, FTV, CTV, CTS, TTV in Taiwan, MBC, SBS in Korea were analyzed. As expected, the public -owned terrestrial channels showed the higher segmentations by news and culture programmes and private-owned terrestrial channels showed the higher segmentations by entertainment programmes. Among public channels, BBC scheduled the entertainment programmes by 60% or so, that was higher level than 30% of the segmentation of entertainment programmes of KBS and NHK. The new finding was that the segmentation by news programming of private-owned terrestrial channels is not few. Meanwhile, t-test was done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programmes segmentations between public-owned terrestrial channels and private-owned terrestrial channels. The result showed that any differences of programmes segmentation between public-owned terrestrial channels and private-owned terrestrial channels were not found in total time slot bu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ime time slot.

      • KCI등재후보

        방송수용자의 프로그램 품질에 대한 이해와 평가 초점집단토론(FGD)을 이용한 프로그램 품질평가 차원의 재구성

        심미선,이준웅,김은미 한국방송학회 2003 한국방송학보 Vol.17 No.2

        This study explores the ways in which the audience members understand and evaluate the constructs of television program quality. Based on a critical overview of previous studies on program quality, this study raises two research questions: (1) What dimensions do the audience use to evaluate the program quality? (2) How do the audience evaluate the items used in measuring the program quality in Korea? Focus Group Discussion was employed to examine the qualitative dimensions of the audience’s understanding of television programs. Two major findings were obtained. First, two dimension of quality evaluation were detected in the audience’s discourse on television programs: the cognitive-and-affective response dimension and the importance-and-expression evaluation dimension. Second, when asked in a normal setting, the audience members were not likely to discriminate the major constructs among the quality indices used in evaluation of television program quality. Especially the audience members displayed confusions in discriminating the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elements from the overall quality and the public service element. Th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utility of the dimensions of program quality in the process of the construction of a program quality index.

      • KCI등재

        프라임타임대 지상파 텔레비전 프로그램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심미선,한진만 한국언론학회 2002 한국언론학보 Vol.46 No.5

        This study focused on the factors which had made viewers choose the television programs in multi-channel situation. The viewing data of TNS panel were used in analyzing the program choice behavior of viewers. Independent variables were the amount of TV viewing, programming factors, channel loyalty, genre loyalty, program loyalty and dependent variable was the possibility of program choice. The results found that the program loyalty was the key factor determining the television program choice. Especially, in case of stripped programmes and serials, the program loyalty was the strong factor predicting the television program choice. However in entertainment genres and non-serial programs, the effect of the program loyalty was reduced. In the mean time, the factors which influenced on the program loyalty were differentiated by genres and channels. In explaining the program loyalty, channel loyalty was determinant in MBC, the amount of TV viewing in KBS2 and genres in SBS. KBS1 was excluded in this analysis. This implies that viewers have differentiated images on the terrestrial channels. This study considered comprehensively the variables influencing on the television program choice of viewers, and then the results will be able to apply to the programming strategies of broadcasting company. 본 연구는 다채널 상황하에서 시청자로 하여금 프로그램을 선택하게 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파악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분석자료로는 시청률 전문조사기관인 TNS 패널가구의 한달간 시청행위 자료가 사용되었다. 프로그램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인으로는 시청가능성, 편성요인, 채널충성도, 장르충성도, 프로그램 충성도를 상정하고 이러한 변인들이 프로그램 선택가능성을 얼마나 잘 설명하는지를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프로그램 선택가능성을 가장 잘 예측할 수 있게 해 주는 변인은 프로그램 충성도로 나타났다. 특히 줄띠편성되어 있거나 연속적인 줄거리 흐름을 갖는 프로그램의 경우 프로그램 충성도의 설명력이 높게 나왔고, 반대로 오락 장르나 단막극의 경우에는 프로그램 충성도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약하게 나왔다. 한편 프로그램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장르별, 채널별로 차이를 보였다. MBC의 경우에는 채널충성도의 설명력이 높게 나왔고, KBS2의 경우에는 시청량의 설명력이 높게 나왔다. 또 SBS는 장르충성도의 설명력이 높게 나와 채널별로 시청자들에게 각인되어 있는 이미지가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시청자의 프로그램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의 영향력을 통합적으로 고려했고, 이러한 연구결과는 방송사의 편성전략 수립시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일개 대학 병원 종사자의 직종별 직무스트레스 수준

        심미선,이강숙,홍현숙,이경숙 가톨릭대학교 산업의학센터 2000 韓國의 産業醫學 Vol.39 No.4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job stress factors, coping skill, stress symptom, stress results at a university hospital workers and to develop the goal of health promotion including stress management program. The data for job stress were collected from 61 doctors, 141 nurses, and 84 assistant-nurses in a university from March, 2000 to April, 200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The stress scores from job internal factors were highest in doctor group for variety, in nurse group for significance, and assistant-nurse group for identity. 2.The hospital workers felt high stress from promotion and salary but there was no difference from professional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rpersonal relation and organizational norm between nurse and assistant-nurse group and in job-home conflict between doctor and assistant-nurse group. 3.The stress symptoms such as anxiety, depression, and physical symptom were highest in assistant-nurse group. 4.The coping skill was highest in nurse group. 5.The result of stress such as work performance, job involvement and organization commitment was highest in nurse group. The intention to change the job was highest in doctor group. 6.The stress scores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various symptoms. In conclusion, the hospital workers felt high stress from job, interpersonal relation, and organizational norm. In order to relive the stress, 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including to improve coping skill and strategy would be necessary.

      • KCI등재

        언론보도로 인한 초상권 침해에 대한 영상취재기자들의 인식 연구

        심미선 언론중재위원회 2022 미디어와 인격권 Vol.8 No.3

        본 연구는 방송사의 영상취재기자들이 언론보도로 인한 초상권 침해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초상권 침해와 관련된 사안을 얼마나 정확히 인지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설문조사에 사용할 초상권 침해 사례들은 한국영상기자협회에서 발간한 <영상보도가이드라인>을 참고했다. <영상보도가이드라인>에 담긴 초상권 침해관련 사례들은 23개로 이를 유형별로 보면 ‘공개된 장소에서의 초상권 침해’, ‘집회 및 행사 장소에서의 초상권 침해’, ‘일반인의 초상권 침해’, ‘범죄자 및 유명인의 초상권 침해’, ‘재난 및 사고현장에서의 초상권 침해’ 등이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영상취재기자들은 초상권 침해보다는 언론표현의 자유 및 국민의 알권리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또 영상취재기자들은 초상권 침해관련 23개 사례 중에서 12-13 사례만 정확히 인지하고 있어, 초상권 침해에 대한 인식수준은 낮았다. 둘째, 초상권 침해 유형별 인지 수준을 살펴보면, 인지수준이 가장 높은 유형은 ‘재난 및 사고현장에서의 초상권 침해’, ‘공개된 장소에서의 초상권 침해’ 순이다. 반대로 인지수준이 가장 낮은 유형은 ‘일반인의 초상권 침해’, ‘범죄자 및 유명인의 초상권 침해’로 나타났다. 셋째, 영상취재기자 활동기간에 따라서도 초상권 침해 인식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취재활동 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10년 미만 기자들이 초상권 침해규정에 대해 가장 잘 알고 있었다. 넷째, 영상취재기자들은 초상권 침해의 소지가 있어 편집상의 기술적 조치가 필요한지의 여부를 인지하는데 대한 이해도가 가장 높게 나왔다. 반대로 초상권 침해가 명확한 사안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인지도가 떨어졌다. 이러한 조사결과는 영상취재기자들의 초상권 침해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