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직장암의 근치적 절제술 후 보조 화학요법과 보조 화학방사선 병용요법

        이강규(Kang Kyoo Lee),박경란(Kyung Ran Park),이익재(Ik Jae Lee),김익용(Ik Yong Kim),심광용(Kwang Yong Sim),김대성(Dae Sung Kim),이종영(Jong Young Lee)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0 No.4

        목적 : 본 연구는 AJCC 병기 Ⅱ기와 Ⅲ기의 국소진행성 직장암으로 근치적 절제술을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각 병기에서 보조 화학요법 단독에 비해 화학방사선 병행요법이 생존율 및 무병생존율을 향상시키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9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AJCC 병기 Ⅱ기와 Ⅲ기의 직장암으로 근치적 절제술이 시행된 1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중 보조 치료방법에 따라 분류를 하면 화학요법 단독군이 72명이었고, 화학방사선 병행용법군은 72명이었다. 화학요법은 수술 후 UFT를 매일 경구복용하거나 (중앙값 12개월) 5-FU를 기초로 한 항암제를 4주 간격으로 정맥주사하였고, 투여기간은 1~18차례 (중앙값 6차례)이였다. 방사선치료는 직장과 골반 내 영역 림프절 영역에 4,500 cGy를 조사한 후 수술 부위에 540~1,440 cGy (중앙값 540 cGy) 추가조사를 시행하였다. 추적관찰 기간은 20~150개월로 중앙값은 44개월이었다. 결과 : 5년 생존율은 화학요법 단독군과 화학방사선 병행요법군에서 각각 60.9%와 68.9% (p=0.0915)였고, 5년 무병 생존율은 각각 56.1%와 63.8% (p=0.3510)로 두 군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병기별로 분석하였을 때 Ⅱ기에서의 5년 생존율은 화학요법 단독군이 71.1%, 화학방사선 병행요법군은 92.2%로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379), 5년 무병생존율에서는 화학요법 단독군이 57.3%, 화학방사선 병행요법군은 85.4%로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1482). Ⅲ기에서는 5년 생존율과 무병생존율이 화학요법 단독군에서는 52.0%와 47.8%였고, 화학방사선 병행요법군에서는 55.0%와 49.8%로 두 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4280, p=0.7891). 국소재발율은 화학요법 단독군이 16.7%, 화학방사선 병행요법군은 12.5%였고, 원격 재발율은 화학요법 단독군이 25.0%, 화학방사선 병행요법군은 26.4%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Ⅱ기에서 보조 화학요법에 방사선치료를 병행함으로써 보조 화학요법 단독 치료시와 비교하여 생존율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비록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못했지만 국소재발율의 감소를 보였다.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postoperative adjuvant chemotherapy (CT) alone and concurrent chemoradiation (CCRT), following radical surgery, improved the disease free survival (DFS) and overall survival (OS) in rectal cancer AJCC stage Ⅱ and Ⅲ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 A total of 144 patients with AJCC stage Ⅱ and Ⅲ rectal cancer who had had radical surgery between 1989 and 1999 were include in the study. Of these patients, 72 had been treated with postoperative CT, and the other 72 with postoperative CCRT. The chemotherapy regimen consisted of oral UFT on a daily basis for 1~12 months (median 12 months) or 5-FU (500 mg/㎡ for 5 days) intravenous (Ⅳ) chemotherapy with 4 week intervals for 1~18 cycles (median 6 cycles). Radiation of 4,500 cGy was delivered to the surgical bed and regional pelvic lymph nodes area, followed by 540~1,440 cGy (median 540 cGy) boost to the surgical bed. The follow-up period ranged from 20 to 150 months, with a median of 44 months. Results : The 5-year OS was 60.9% and 68.9% (p=0.0915), and the 5-year DFS was 56.1% and 63.8%(p=0.3510) for postoperative CT and postoperative CCRT, respectively. In the stage Ⅱ patients, the 5-year OS was 71.1% and 92.2%, and the 5-year DFS was 57.3% and 85.4% for postoperative CT and CCRT respectively. The OS was significantly improved (p=0.0379) but the DFS was not with postoperative CCRT compared to the postoperative CT (p=0.1482). In the stage Ⅲ patients, the 5-year OS was 52.0% and 55.0%, and the 5-year DFS was 47.8% and 49.8% for postoperative CT and postoperative CCR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ostoperative CT and CCRT (p=0.4280 and p=0.7891) in OS and DFS. The locoregional relapses were 16.7 and 12.5% for postoperative CT and CCRT, respectively. The distant relapses were 25.0% and 26.4% for postoperative CT and CCRT, respectively. Conclusion : These results showed that postoperative CCRT compared with CT alone improved OS in stage Ⅱ patients.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addition of postoperative RT to CT reduced locoregional relapses compared to CT al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