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수련생의 스트레스 경험

        심경순(Kyung-Soon Shim)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5

        본 연구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수련생이 현실적으로 부딪히는 수련스트레스를 수련생의 입장에서 기술해봄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임상교육의 실천방안을 마련하고자 시도하였으며, 질적연구방법으로 접근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정신보건수련기관에서 수련을 하고 있는 수련생 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포커스그룹으로 1-2회 이루어졌으며, 소요시간은 2시간내외였다. 연구참여자들이 진술한 내용을 분석한 결과 의미있는 진술은 85개였으며, 이를 근간으로 연구자가 구성한 의미는 32개로 도출되었다. 이들 구성된 의미들을 유사한 내용으로 묶고 분류한 결과 9개의 주제가 형성되었으며 4개의 주제묶음으로 범주화되었다. 수련과정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경험으로는 ‘대인관계가 어렵다’, ‘수련일정이 빡빡하다’, ‘기관에서 수련생에 대한 배려가 없다’, ‘수련교육에 대한 체계성이 없다’로 4개의 주제묶음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research whose purpose was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training stress that trainees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 were undergo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ose trainees, ultimately providing them with a more effective way of clinic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study made a survey of 9 trainees who were getting through the training course of mental health social work provided by a relevant training agency. Data collection were focus group-based and conducted 1 to 2 times over about 2 hours. This researcher analyzed statements from the participants and, out of them, 85 were determined as meaningful. From these meaningful responses, the researcher constructed 32 meanings. And then, those meaning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similarities and grouped into 9 themes, and finally categorized into 4 themes. More specifically, what were stressful to the subjects that they were experiencing in the training course of mental health social work could be largely categorized into 4 themes, or lots of trouble in interpersonal relations, too much tightness in training schedule, little consideration of them by the training agency, and poor organization of the training course. Considering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vid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training of mental health social work.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서비스 욕구 및 문제 간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심경순(Kyung Soon Shim),박영준(Young Joon Park) 한국아동복지학회 2010 한국아동복지학 Vol.- No.33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의 이용 아동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서비스 욕구 그리고 아동청소년 문제 간의 인과모형이 적합하게 성립되는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자료는 2009년 9월에 대구·부산지역에서 조사 자료를 수집하여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청소년 198명을 본 연구의 기초자료로 삼았다. 이들에게 회수된 설문지를 바탕으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후 상관관계분석, 공분산구조분석의 통계기법을 사용하여 연구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분석 내용은 지역아동센터의 아동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서비스 욕구 그리고 아동청소년 문제간의 인과관계 모형을 검증하는 것으로, 공분산 구조분석을 실시한 결과, 세 연구변인들 간에는 서비스 욕구→아동청소년 문제, 사회적 지지→서비스 욕구, 사회적 지지→아동청소년 문제로 가는 모형은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수정모형에서 사회적 지지의 직접효과를 삭제하여 서비스 욕구를 통한 간접효과를 통해서 영향력을 지니는 것으로 적합도 지수와 인과모형이 검증되었다. 따라서 지역아동센터의 이용 아동청소년의 문제는 서비스 욕구에 기반한 사회적 지지 간의 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의 제시가 필요하며, 이용 아동청소년 문제에 대한 관련 변인 및 연구들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and validate the casual link between social support, social service program needs, and social problems of children at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children at community child centers (in Daegu and Busan city), and analytic results were based on the data from 198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SPSS and AMOS statistical software were used to analyze data.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sults from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reveal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effect between social service program needs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social support and social service program needs, and social support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However, the modified model reveals that social support indirectly affects children`s behavior problems through social service program needs. Thus to improve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mong children at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strategies that could enhance social support based on social service program needs should be develop in addition to further studies that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ocial service program needs.

      • KCI등재

        지역사회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의 강점실천 경험에 관한 연구

        심경순(Shim, Kyung-Soon)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2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43

        본 연구는 지역사회 정신보건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강점실천의 경험을 분석하기 위해 질적분석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2년 2월 1일부터 2012년 2월 29일 까지였다. 연구참여자들은 10명으로 심층인터뷰를 통해 지역사회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이 진술한 내용을 분석한 결과 강점실천의 경험으로 26개의 구성된 의미에서 9개의 주제를 도출되었다. 이들 주제를 유사한 내용으로 묶고 분류한 결과 사고의 변화, 역량강화, 삶의 의미를 알아가는 것으로 3개의 주제묶음으로 범주화하였으며 연구자에 의해 명명되었다. 지역사회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이 경험한 강점실천의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qualitatively analyze community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experiences of strength-based practices. For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Feb. 1st to 29th, 2012. Specifically, this researcher conducted profound interviews with 10 community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to get their statements about the experiences of strength-based practices. By analyzing the stated experiences, the researcher obtained 26 structured meanings from which 9 themes were drawn out. These themes were grouped in accordance with their similarity and finally categorized into three main themes, changing thoughts, strengthening capabilities and learning the meaning of life, as dubbed by this researcher. Based on its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strength-based practices that community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experienced.

      • KCI등재

        정신장애인의 취업 및 직무수행능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심경순(Shim, Kyung-Soon)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3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45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취업 및 직무수행능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2011년 한국장애인고용패널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삶의 질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혼인상태에서 삶의 질에 차이가 있었는데, 배우자와 현재 함께 생활하고 있는 경우가 배우자가 없는 경우보다 삶의 질이 낮았다. 또한 취업 및 직무수행능력이 정신장애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위계적 회귀분석한 결과, 컴퓨터 활용능력, 영어능력, 대인관계 및 조직적응능력을 포함하는 직무수행능력도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취업이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을 예측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로서 연구의 의의를 둘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factors affecting the life quality of mentally disabled persons.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er analyzed materials released in 2011 by the Korea Employment Panel for the Disabled.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Mentally disabled persons as surveyed in this study showed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life in accordance with marital status. Of the subjects, those who were living together with their spouse were found better in life quality than those who were having no spouse. The effects of employment and job performance capability on the life quality of mentally disabled persons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to find that the abilities of computer use, English languag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organizational adaptation, all of which were parts of the above capability, were influencing those persons" quality of life. In particular, job type was the most strong predictor of the life quality of mentally disabled person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vid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raising that life quality.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basic information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hat help mentally disabled persons have a better quality of life.

      • KCI등재

        정신장애인의 평생계획수립을 위한 경험

        심경순(Kyung-Soon Shim)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6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평생계획수립을 위한 주관적인 경험을 깊이있게 알아보기 위해서 질적연구방법으로 접근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독립취업 후 6개월이상 직업을 유지하고 있는 정신장애인 12명을 대상으로 평생계획수립을 위한 주관적 경험을 심층인터뷰를 통해 분석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1년 1월 11일부터 2011년 2월 10일까지 조사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이 진술한 내용을 분석한 결과 최종적으로 38개의 구성된 의미가 도출되었다. 이들 구성된 의미들을 유사한 내용으로 묶고 분류한 결과 17개의 주제와 7개의 주제묶음으로 범주화되었다. 평생계획수립을 위한 경험으로 나타난 7개의 주제묶음은 안정적인 직업유지, 자기자신의 역량계발, 사회적 지지, 건강관리, 미래대비를 위한 인식갖기, 희망적인 사고, 다양한 사회활동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research whose purpose is to analyze subjective experiences of permanency planning establishment by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ies.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selected 12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ies who have been maintaining their job for more than 6 months since they got it independently and then profoundly interviewed them to examine their subjective experiences in permanency planning establish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Jan. 11th to Feb. 10th, 2011. Statements by the participants were analyzed and, from which, 38 constructed meanings were obtained. Those meanings were grouped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similarities. As a result, they were finally categorized into 17 themes and 7 theme clusters. Those 7 clusters included stable job maintenance, self-capacity development, social supports, health management, awareness in preparation for the future, hopeful thinking and various social activitie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finally, the researcher suggested some practical implications.

      • KCI등재
      • KCI등재

        지역사회 문화예술활동에 참여한 정신장애인의 역량강화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지연(Han, Ji-yeon),심경순(Shim, Kyung-soon)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6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4 No.3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서 인문학을 활용한 문화예술활동에 참여한 정신장애인의 역량강화에 관한 본질을 현상학적 방법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정신장애인의 사회재활프로그램이 치료적 접근에서 벗어나 정신장애인의 자기개발과 가능성에 초점을 둔 새로운 프로그램으로 나아갈 방향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S 사회복귀시설에서 2012~2015년까지 이루어진 인문학을 활용한 문화예술활동에 참여한 정신장애인 10명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참여자의 경험적 진술을 토대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이 진술한 내용을 분석한 결과 문화예술활동을 통한 역량강화의 구성요소는 크게 12개의 구성요소와 56개의 하위 구성요소로 도출되었으며 구성요소 간의 역량강화의 ‘본질’은 자신을 바라보는 내적인 힘이 생김, 타인과의 소통을 통한 외적인 힘이 생김, 사회적 참여기회를 통한 역량강화, 삶의 길을 발견하다로 드러났다. 이러한 경험적 근거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정신장애인이 회복을 통해 지역사회에서 당당하게 살아가기 위해서 정신장애인이 삶의 주체로서 삶의 변화를 이끌 수 있도록 하는 역량강화 프로그램의 실천적 방안과 지역사회의 정신장애인에 대한 긍정적 인식개선활동을 위한 정책적 방안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very nature of empowerment from a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which mentally disabled people experienced through culture and arts education activities provided in their communitie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0 mentally disabled persons who had experienc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activities that were provided by S Social Rehabilitation Center from 2012 to 2015. The study conducted profound and individual interviews of those person, from which their self-reports of the experiences were obtained, and analyzed. Based on its findings, this study reached a conclusion that more supports should be provided to rehabilitate mentally disabled people and help them become more capable to change their life and live a healthy life in their communities. In association, the study stressed that community activities which provide the public with opportunities to have more positive contacts with and more positively recognize the mentally disabled.

      • 영상접촉을 통한 정신장애인 편견개선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유숙(Suk Yu),심경순(Kyung-Soon Shim) 한국사회복지상담학회 2022 사회복지상담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비장애인을 대상으로 정신장애인 당사자가 직접 기획 및 제작하고 출연한 영상을 시청함으로써 어떤 변화와 경험을 하였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질적 사례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연구대상자 4명을 대상으로 개별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들의 영상접촉의 경험과 인식 변화의 의미에 대한 진술을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진술내용을 분석한 결과 의미있는 진술의 근간으로 19개의 하위범주와 5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비장애인의 영상접촉은 정신장애인 편견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상물은 사회문화적 파급력이 큰 콘텐츠로 정신장애인 편견개선을 위한 새로운 교육 자료로써 활용 가능한 전략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연구 참여자들의 영상접촉 경험과 의미를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정신장애인의 편견개선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utilized a qualitative case study to analyze and identify what changes and experiences non-disabled people went through in their contact to a video that mentally disabled people designed and produced and in which they appeared. This study was implemented by conducting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ith four research participants and analyzing their experience of video contact and the meaning of changes in their perceptions. 5 essential categories with 19 sub-categories as meaningful data units were extracted through the analysis of data reported by research participants. The results found that the video contact of non-disabled people yields positive changes in their perceptions of the social stigma of mentally disabled people. Given that video is the content that has significant social and cultural impacts, it is needed to seek out strategies that utilize video as new educational materials. This study suggests practical implications for reducing the social stigma of mentally disabled peopl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video contact among non-disabled people.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