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투여용법ㆍ용량을 포함하는 의약용도발명의 권리범위

        신혜은 한국지식재산학회 2015 産業財産權 Vol.- No.48

        This article is related to scope of protection of pharmaceutical use invention including dosage regimen According to Korean Patent Examination Guideline, medical activities such as methods for treatment of the human body by surgery, therapy or diagnosis is being regarded as industrially inapplicable inventions, therefore, cannot be patented even though they satisfy the requirements of novelty, inventive step and so on. Meanwhile, Korean supreme court usually held that new dosage regimen, correspond to a medical activity, is not a constitutional element of pharmaceutical use invention. As a result, in Korea, there was no need to discuss as to scope of protection of dosage regimen. However, recently there was a Supreme Court en banc decision ruling that in cases where the administration and dosage are added on top of the target disease or efficacy of a medicine as an invention of a product, such administration and dosage should be viewed not so much as a medical practice itself, as an expression of those features through which a medicine may fully realize its efficacy, thereby constituting an element of invention that attaches an entirely new significance to the medicine as a product. A new patent may be granted to a medicine meeting the patentability requirements, including novelty and nonobviousness, by virtue of the addition of administration and dosage.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urgent to establish the scope of protection of pharmaceutical use invention including dosage regimen and this article suggested the reasonable protection range.

      • KCI등재후보

        Polymorphism of the Glutamate Transporter Protein EAAT2 and Migraine Transformation into Chronic Daily Headache

        신혜은,한수정,이광수,박정욱 대한신경과학회 2011 Journal of Clinical Neurology Vol.7 No.3

        Background and Purpose The progression of migraine into chronic daily headache involves multiple risk factors, but the main contributor is not known. Glutamate is the major excitatory neurotransmitter in central sensitization, which is an important process in the pathogenesis of migraine transformation. The glutamate transporter protein excitatory amino acid transporter 2 (EAAT2) is the primary modulator of glutamatergic neurotransmission, and genetic polymorphisms of its gene,EEAT2, have been identifi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EAAT2 polymorphisms on migraine transformation into chronic daily headache. Methods We included 74 migraine patients with episodic attack (M-E) and 59 migraine patients with chronic daily headache (M-CDH). After amplifying EAAT2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we assessed its genotype frequencies based on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s. We reclassified all migraine patients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EAAT2 genotype, either with the A allele (n=62) or without it (n=71), and compared the clinical variables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The genotype frequencies of EAAT2 polymorphisms did not differ between the M-E and M-CDH groups. Comparison between EEAT2 genotypes revealed that the frequency of analgesic usage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migraine patients with the A allele (12.9±1.6 days/month) than in those without the A allele (8.1±1.2 days/month; p=0.019). The other clinical variables of migraine did not differ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EEAT2 polymorphism contributes to the tendency toward frequent analgesic usage in migraine patients. This implies a potential genetic influence on the progression of migraine into chronic daily headache through the development of medicationoveruse headache.

      • KCI등재

        특허권의 공유에 관한 비교법적고찰 및 실무상 유의점

        신혜은 한국지식재산학회 2007 産業財産權 Vol.- No.23

        This article relates to comparative study of co-ownership of patent right and matters to be attended to. With progress of high technology, companies which claim to stand for selection and concentration are increasing rapidly. With stressing the necessity of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y and industry, co-ownership of patent rights resulted from co-researches are also increasing. However, as to the patent law related with co-ownership of patent right, it has not been changed a lot regardless of big change in industrial environment since 1961 when the Korean patent law set the provisions of co-ownership of patent right for the first time. As to interpretation of the related clauses, it is thought not many studies has been done. It is checked on this article whether the clauses related with co-ownership of patent right in current patent law are correspond with the purpose of patent law which is seeking to encourage, protect and utilize inventions, thereby improving and developing technology, an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industry.

      • KCI등재

        K-그림책 30년 체계모델접근 분석: 그림책 장르와 삶, 관점의 변화

        신혜은 한국문화교육학회 2022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the past 30 years in the field of Korean picture books and picture books art genres, which have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from the field of art therapy and counseling. In particular, by examining the perspectives and changes of people related to the picture book field over the past 30 years, researcher tried to present the direction and future prospect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the future. The emergence and growth of new cultural and artistic genres are influenced by historical, socio-cultural backgrounds and at the same time reflect the needs and desires of those living in that era. Therefore, understanding in what psychological context the current Korean picture books have developed in will be meaningful not only in the development of the picture book art genre but also in term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To this end, in this study, the system model approach, which is a model for the creative product creation process, was applied. In other words, the process of changing the Korean picture book field and picture book genre was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ree systems of 'individual', 'field', and 'domai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it was due to changes within each system of 'individual', 'field', and 'area', and dynamic interactions among the three systems. It was confirmed that the development of picture books and picture book art genres as creative products is not only the individual picture book writers, but also organizations and people evaluating and utilizing picture books, and the accumulation of picture book symbol systems and knowledge accumulated in these processes. In the discussion, various implications that can be brought about by the present of K-picturebooks and the expansion of the art genre based on them were viewed in term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본 논문은 최근 문화예술교육 분야를 넘어 예술치료 및 상담 분야에 이르기까지 그 고유한 문화예술 교육적 가치를 주목받고 있는 한국 그림책과 그림책 예술 장르의 지난 30년의 과정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지난 30년 동안에 그림책 분야와 관련된 사람들의 그림책에 대한 관점과 변화를 고찰해 봄으로써, 앞으로의 문화예술교육의 방향과 미래 전망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새로운 문화예술 장르의 출현과 성장은 역사적 사회문화적 배경에 영향을 받는 동시에 그 시대를 사는 사람들의 필요와 욕구를 반영한다. 그러므로 지금의 한국 그림책이 어떤 심리 사회적 맥락 속에서 발전을 이루었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그림책 예술장르의 발전뿐 아니라 문화예술교육의 측면에서도 의미 있는 일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산물의 생성과정에 대한 모델인 칙센트미하이의 체계모델접근(systems model approach)을 적용하였다. 즉 ‘개인(individual)’과 ‘분야(field)’와 ‘영역(domain)’ 세 체계의 관점에서 한국 그림책 분야와 그림책 장르의 변화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 그림책 30년은 ‘개인’과 ‘분야’와 ‘영역’ 각 체계 내에서의 변화와 세 체계 간의 역동적 상호작용에 기인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창의적인 산물로서의 그림책과 그림책 예술 장르 분야의 발전은 그림책 작가 개인뿐 아니라 그림책을 평가하고 활용하는 단체와 사람들, 그리고 이 과정들에서 축적된 그림책의 상징체계와 지식의 축적을 통해 커다란 유기체처럼 작동 변화 발전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논의에서는 한국 그림책의 현재와 이를 기반으로 한 그림책 예술 장르의 확장이 가져올 수 있는 다양한 함의를 문화예술교육의 측면에서 조망해 보았다.

      • KCI등재

        문화인지로서의 그림책 공간 읽기 : 몸으로 체험하는 그림책 공간

        신혜은 한국문화교육학회 2013 문화예술교육연구 Vol.8 No.1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picturebook as a derived learning spaces in cultural artistic context and to seek a methodology for authentic experiencing in picturebook spaces. For this purpose, there were firstly described various perspectives in terms of concept of space and the sense of space and found new meaning of picturebook spaces. Then there were analysed various perceptual phenomena such as reality and virtuality, augmented reality, 2-dimensional understanding, sense of movement in picturebook, emergent spaces between picturebook and reader and investigated the origins and mechanisms of reader's responses. All of them was to open possibilities of new recognitions about picturebook spaces out of mere understanding of the genre. In discussion, reading picturebook with body was suggested as a new view and a methodology for authentic experiencing of picturebook as a derived and living spaces. In addition it was also discussed some implications with respect to the extension and integration as well as recognition of reader's sensation and perception from cultuĝnitive view. 본 논문은 그림책이라는 물리적 비물리적 파생공간에 대한 이해를 통해, 새로운 문화인지, 문화예술 공간으로서의 그림책의 특성과 새로운 공간적 구성, 나아가 진정한 문화인지 그림책 공간 경험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우선 공간에 대한 다양한 담론을 통해 문화인지로서의 그림책 공간이 지니는 새로운 의미를 발견,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그림책 공간에서 인간이 경험하게 되는 다양한 지각적 심리적 현상과 기제를 추출 분석하였다. 실재와 가상, 증강 현실, 2차원 표상에 대한 지각과 이해, 또 그림책 공간에서의 운동과 에너지, 그리고 그림책과 독자 사이에 구성되는 새로운 공간 출현 분석 등을 통해 지금까지의 그림책에 대한 장르적 이해를 넘어서는 새로운 이해 국면의 제시, 폭넓은 공간의 인식과 공간 체험의 가능성을 열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새로운 문화인지 공간, 문화예술교육의 공간으로서의 진정한 그림책 경험을 위한 방안으로 ‘몸으로 경험하는 그림책 읽기’를 제안하면서 독자의 감각과 지각의 인식과 확장, 통합에 대한 미래적 전망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그림책 치료의 새로운 접근 : 그림책 몸으로 읽기와 첫그림책 찾기

        신혜은 한국문화교육학회 2012 문화예술교육연구 Vol.7 No.1

        This paper aims to suggest the new therapeutic approach through picturebook. For this purpose, the concepts of extended cognition and circular causality were implemented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picturebook. Re-reading picturebook with body and finding priming-picturebook were introduced to the participants as the concrete methodologies in this study. Re-reading picturebook with body implies on making a feeling and perceiving something for the participants from their sensory-motor organs. It was the way that encouraged them to use enactive representational mode as well as requested them to inhibit use of their symbolic representational modes while they were reading picturebook. As the result, the participants were finally found their own priming-picturebook through re-reading picturebook with their sensory-motor. And through the process, they recognized new text they made by themselves. The text wa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text in their priming picturebook. There were some core emotions and problems of their life in the new text. Through this considerations, som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with the respect to finding priming-picturebook therapy as well as re-reading picturebook with body. 본 논문은 그림책의 독서치료적 활용에 있어 '그림책 몸으로 읽기'와 '첫그림책 찾기'라는 새로운 접근과 방법을 탐색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그림책 몸으로 다시 읽기'는 인간의 표상 양식 발달에 있어 가장 근원적인 감각과 동작표상 양식으로의 다시 읽기를 의미하는 동시에 상위 표상양식인 상징표상 양식으로의 읽기, 논리적 합리적 방식으로 그림책 읽기를 억제하는 방식이다. 이는 인지과학의 체화된 마음 개념과 몸의 철학, 인지심리학의 개념들을 기초로 제시하는 새로운 그림책 읽기 방식이다. 내담독자들은 그림책을 몸으로 다시 읽는 경험을 통해 자신에게 가장 강력한 몸의 감각과 정서를 불러일으키는 첫그림책을 찾게 된다. 그리고 자신이 찾은 첫그림책을 반복해서 몸으로 읽는 과정을 통해 첫그림책의 원문 이야기 텍스트(source text)와 병행하는 자신만의 새로운 텍스트(constructive text)를 구성하게 된다. 내담독자는 그렇게 자신이 새로 구성한 텍스트 안에서 이전에는 의식하지 못했거나 혹은 외면해 왔던 삶의 핵심 감정과 갈등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성장과 변화 치유의 과정을 경험하게 된다. 그것이 미래에 새롭게 재구성(reconstructing text) 될 자신만의 원천 이야기임을 확인하게 된다.

      • KCI등재

        의약용도발명의 신규성 및 진보성

        신혜은 한국정보법학회 2017 정보법학 Vol.21 No.3

        발명이 특허로 등록되어 법의 보호를 받기 위해서는 법에서 요구하는 특허요건을갖추어야 하는데, 그 중 가장 중요한 요건이 신규성과 진보성이다. 신규성과 진보성, 특히 진보성은 실무상 가장 많은 거절이유를 차지하는 특허요건임에도 불구하고 추상적인 가치판단을 요하는 관계로 완전하고 객관적인 판단기준을 제시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게다가 진보성 판단기준은 기술의 특성에 따라 기술분야별로도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본 논문은 그와 같은 전제 하에 의약용도발명의 신규성 및 진보성 판단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심사관의 일응의 자명성 판단이나 이에 대한 출원인의 반론 모두 객관적증거에 근거하도록 함으로써 자의적 판단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제안하였다. 예컨대 심사관이 “동기부여”와 같은 객관적 증거에 근거하여 진보성을 부정하는경우 출원인은 “저해요인”에 해당하는 문헌들에 근거하여 반론할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진보성 판단은 발명이 이루어진 후 심사시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그과정은 필연적으로 사후적 고찰이 포함될 수밖에 없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객관적 진보성 판단은 결국은 사후적 고찰을 회피하는 방안과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사후적고찰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인용기술을 조합시킬 동기부여로서 출원인의 출원으로부터만 얻을 수 있는 지식을 사용해서는 안 될 것이다. 아울러 현대기술의 다양성을 고려하면 유연한 접근방법이 필요한바, 이차적 고려요소를 보다 적극적으로 고려함으로써 사후적 고찰의 위험을 줄일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진보성을 판단함에 있어서는 기술분야의 특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의약용도발명은“물질”과 “용도”를 필수 구성요소로 하고, 해당 발명이 특허로 등록 되는 경우 그 권리범위 또한 해당 물질 및 용도와 각각 동일 내지 균등한 범위까지만 미치므로 이러한 특성 또한 진보성 판단에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진보성 판단에 있어서는, 모든 발명의 진보성 판단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기준도 있지만 구체적 타당성을 가지면서도 예측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판단기준이 되기 위해서는 기술에 따른 특성을 또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기술분야별로 해당 기술의 진보성 판단논리를 개발하고 발전시켜나갈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작업은 특허청과 법원이 할 수 밖에 없을 것인데, 특허청은 기술분야별 진보성 판단기준을 제시하여 예측가능성을 높여나가고법원은 관련 판례의 축적을 통해 일관되면서도 기술분야별 특수성을 고려한 진보성판단논리를 세워나가야 할 것이다 Novelty and inventive step are very important as requirements of patentability. Especially, inventive step is a patent requirement that accounts for the most rejection reasons in practice.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present a complete and objective judgment standard becaus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ventive step and the abstract value judgment. In this paper, I reviewed the method of judging the novelty and the inventive step of medical use invention. As a result, it was proposed that the applicant's opinion as well as the examiner's determination as to the inventive step should be based on the objective evidence to prevent arbitrary judgments. It was also proposed that hindsight is not allowed. In addition, it was proposed that, in determining the inventive step,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chnical field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특허권 침해에 대한 증액손해배상제도의 도입에 관한 연구

        신혜은 한국정보법학회 2017 정보법학 Vol.21 No.1

        Recently, there have been many suggestions that the patent law should introduce an enhanced damages compensation system as ‘FAIR TRANSACTIONS IN SUBCONTRACTING ACT’, ‘ACT 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ETC.’, ‘CREDIT INFORMATION USE AND PROTECTION ACT’ a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t the time when the introduction of the enhanced damages compensation system for patent law was discuss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e opinion opposing to that system on the grounds of consistency with continental law was dominated. However,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since then in terms of social aspects and environment of utilizing intellectual property. As the result, the perception that the compensatory remedy alone is not sufficient in the civil law has spread. Under the social consensus, the supplementary compensation system was introduced in various forms in the individual law, starting with the ‘FAIR TRANSACTIONS IN SUBCONTRACTING ACT.’ In this paper, it is suggested that the enhanced damages compensation system must be introduced in the ‘PATENT ACT.’ 최근 ‘하도급법’, ‘정보통신망법’, ‘신용정보법’, ‘개인정보보호법’과 같은 개별법에서 3배 배상제도가 신설됨에 따라 특허법에서도 증액손해배상제도를 도입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다시금 대두되고 있다. 우리법상 처음으로 특허법에 대한 증액손해배상제도의 도입이 논의되던 당시에는 대륙법계에 속하는 우리나라 법체계와의정합성 등을 이유로 반대하는 견해가 우세하였다. 그러나 그 후 사회적 측면에서나지식재산의 이용환경적 측면에서나 많은 변화가 있었다. 민법상 전보배상만으로는충분하지 않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사회적 합의하에 하도급법을 필두로 개별법에서다양한 형태로 증액배상제도가 도입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특허권침해의 특수성, 지식재산 이용환경의 변화와 현실적 필요성, 법경제적 관점 등에 비추어 특허법에도 증액손해배상제도를 반드시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였다. 다만 특허법에도입될 증액손해배상제도는 이미 동제도를 도입한 하도급법, 정보통신망법, 신용정보법 및 개인정보보호법이나 동제도의 도입을 논의 중인 환경관련분야나 제조물책임법과는 도입의 취지 자체를 달리하는 것이므로, 해당제도가 산업발전이라는 특허법의 목적에 맞게 운용될 수 있도록 증액손해배상의 범위나 구체적인 적용요건을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특허권 존속기간 연장등록에 의해 연장된 특허권의 권리범위

        신혜은 한국지식재산학회 2016 産業財産權 Vol.- No.51

        특허권 존속기간 연장등록 제도는 1987년에 우리나라가 물질특허제도를 도입하면서 함께 도입한 제도이다. 특허법 제89조에 따르면, 특허발명을 실시하기 위하여 다른 법령에 따라 허가를 받거나 등록 등을 하여야 하고, 그 허가 또는 등록 등을 위하여 필요한 유효성․안전성 등의 시험으로 인하여 장기간이 소요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발명인 경우에는 그 실시할 수 없었던 기간에 대하여 5년의 기간까지 그 특허권의 존속기간을 한 차례만 연장할 수 있다. 한편 동법 제95조에 따르면, 특허권의 존속기간이 연장된 특허권의 효력은 그 연장등록의 이유가 된 허가등의 대상물건(그 허가등에 있어 물건에 대하여 특정의 용도가 정하여져 있는 경우에는 그 용도에 사용되는 물건)에 관한 그 특허발명의 실시 행위에만 미친다. 특허권 존속기간 연장등록 제도를 시행한지 30년이 지났지만 지금까지 해당 제도에 대한 비판적 고찰이나 연구가 충분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존속기간이 연장된 특허권의 효력범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현행법의 합리적인 해석론 및 입법론을 제안하였다. This article is related to effects of patent right with its term extended by permit. According to Korean Patent Law Article 89, when any one intends to implement a patented invention, he/she shall obtain a permit or file for registration under other Acts and subordinate statues, and, in cases of an invention prescribed by Presidential Decree, which takes a long time due to activity or safety tests, etc. required for such permit or registration. etc., the term of the relevant patent right may be extended up to five years, during which the relevant invention cannot be implemented. Meanwhile, according to Korean Patent Law Article 95, the effects of a patent right, the term of which has been extended, shall not extend to any other acts except the working of the patented invention with respect to such products for which permission, etc. was the basis for registering the extension. Thirty years have passed since patent term extension registration system was implemented in Korea. However, critical review or study of this system was not enough. I have studied the effects of patent right with its term extended by permit and suggest rational interpretation of current law and propose legislative measures.

      • KCI등재

        그림책에서의 문화인지 : 체화인지 관점에서

        신혜은 한국문화교육학회 2014 문화예술교육연구 Vol.9 No.3

        이제 그림책이라는 장르는 인간의 깊은 내면과 삶의 다양한 면면을 표현하고 소통하는 새로운 예술양식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의 그림책에 대한 연구는 그림책을 보는 인간인지와 마음의 측면에 대한 심도 깊은 고려는 해오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논문은 단지 문화적 산물로서의 그림책이 아니라 인간의 몸과 상호작용하고, 이에 함께 공진화를 만들어 나가고 있는 새로운 문화인지 구조로서의 그림책의 특성들을 분석하고 이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문화와 인지의 오래된 이분법을 넘어 인간 인지와 문화를 둘러싼 다양한 현상 이해를 위한 새로운 틀로서 ‘문화인지’ 개념에서 바라봄으로써 기존의 인지와 문화 각각의 개념으로는 설명되지 않았던 문화인지 현상의 구조와 기능의 독특성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체화인지의 하위 여섯 개념을 중심으로 그림책과 인간인지의 측면을 차례로 분석하여, 그림책이라는 새로운 문화인지 구조가 어떠한 다양한 조건과 맥락 내에서 인간 내부에서 재구성 구조화 되는지의 기초를 마련해 보고자 하였다. 이는 새로운 구성개념인 문화인지 개념이 우리의 일상 맥락에서 어떻게 작동할 수 있는지의 예를 보여주는 동시에 이와 관련한 다양한 함의를 발달과 교육 그리고 예술과 치유의 측면에 적용하려는 시도이다. Recently picturebooks has been broadly perceived as a new genre of art which is to express varieties of life aspects in human mind. However few study has been yet investigate about picturebooks in terms of human cognition and mind in depth.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proce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cultugnitive construction through picturebooks with respect to not just cultural products but a new cultural structure which is to interact and to co-evolve with human body. Two concepts, cultugnition and embodied cognition were applied to execute for this purpose. Cultugnition is that a new frame to overcome an old dichotomy between gene and environment and to explain various phenomena around human cognition and culture. The embodied cognition is the fourth generation in cognitive science and profoundly accepted in various academic fields. In this study, six sub-conceops of embodied cognition such as embodied, embedded, extended, situated, enacted cognition were implemented to demonstrated how the interplays between human and picturebook as a product of coevolution show. There were discussed some implications and prospects for educational, therapeutical fields. This cultugnitive account is useful in understanding and organizing accumulating discoveries of cultural variations in human mind and the bo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