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ODIS NDVI와 Morton 증발산량의 관계를 이용한 공간증발산량 산정 기법 연구 - 충주댐유역을 대상으로 -

        신형진,하림,박민지,김성준,Shin, Hyung-Jin,Ha, Rim,Park, Min-Ji,Kim, Seong-Joon 한국농공학회 2010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monthly Morton evapotranspiration (ET) using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from MODIS satellite images. Morton ET for land surface conditions was evaluated by using daily meteorological data, and the monthly averaged Morton ETs for each land cover were compared with the monthly NDVIs of three years (2000-2002) at Chungjudam Watershed.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monthly NDVI and Morton ET for the watershed with averag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0.80. By comparing the MODIS NDVI ET with SLURP Morton ET, the SLURP ET was smaller than the MODIS NDVI ET. This was estimated from the consideration of soil moisture condition for the ET occurrence in the SLURP model, the limited information from the monthly NDVI values, and the errors from the derived regression equations.

      • KCI등재

        LARS-WG 상세화 기법을 적용한 미래 기온 및 강수량 전망 및 분석 - 우리나라 8개 기상관측소를 대상으로 -

        신형진,박민지,조형경,박근애,김성준,Shin, Hyung-Jin,Park, Min-Ji,Joh, Hyung-Kyung,Park, Geun-Ae,Kim, Seong-Joon 한국농공학회 2010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2 No.4

        Generally, the GCM (General Circulation Model) data by IPCC climate change scenarios are used for future weather prediction. IPCC GCM models predict well for the continental scale, but is not good for the regional scale. This paper tried to generate future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of 8 scattered meteorological stations in South Korea by using the MIROC3.2 hires GCM data and applying LARS-WG downscaling method. The MIROC3.2 A1B scenario data were adopted because it has the similar pattern comparing with the observed data (1977-2006) among the scenarios.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the future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increased. The 2080s annual temperature increased $3.8{\sim}5.0^{\circ}C$. Especially the future temperature increased up to $4.5{\sim}7.8^{\circ}C$ in winter period (December-February). The future annual precipitation of 2020s, 2050s, and 2080s increased 17.5 %, 27.5 %, and 39.0 % respectively. From the trend analysis for the future projected results, the above middle region of South Korea showed a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winter precipitation and south region for summer rainfall.

      • KCI등재

        관측자료와 RHESSys 모형을 이용한 산림유역의 생태수문 적용성 평가 -설마천유역을 대상으로-

        신형진,박민지,김성준,Shin, Hyung Jin,Park, Min Ji,Kim, Seong Joon 한국수자원학회 2012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5 No.12

        본 연구에서는 RHESSys (Regional Hydro-Ecologic Simulation System) 모형과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유출량, 증발산량, 토양수분량, 총일차생산량과 순광합성량을 평가하고자 한다. 수문생태모형인 RHESSys는물, 탄소 및 질소순환과 지형 공간적 변화에 따른 물질이동을 모의할 수 있다. 대상유역은 설마천 유역(8.5 $km^2$)으로 우리나라 북서쪽에 위치하고 있다. 유역의 90%이상이 산림유역이고, 토양은 대부분 사양토이다. 2007~2009년의 관측 일유출량을 이용하여 유출량을 검 보정하였고, 증발산량은 에디 공분산 방법에 의한 플럭스 타워로부터 관측되었으며 토양수분은 신뢰할 만한 실측자료를 바탕으로 모형의 보정(2007~2008) 및 검증(2009)을 실시하였다. 또한 지구의 탄소순환을 규명할 수 있는 식생의 순광합성량과 총일차생산량에 대한 모형의 검 보정은 Terra 위성의 MODIS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센서를 이용한 산출물인 순광합성량과 총일차생산량 자료를 바탕으로 모형의 보정(2007) 및 검증(2008)을 실시하였다. 모의 결과 보정기간 동안의 상관계수와 Nash-Sutcliffe 모형 효율은 유출량은 0.74와 0.63이었고, 증발산량과 총일차생산량의 상관계수는 각각 0.54와 0.93이었다. 모형 검정결과 유출량의 상관계수와 Nash-Sutcliffe 모형효율 각각 0.92와 0.84였으며, 총일차 생산량의 상관계수는 0.93이었다.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HESSys (Regional Hydro-Ecological Simulation System) simulated streamflow (Q), evapotranspiration (ET), soil moisture (SM), gross primary productivity (GPP) and photosynthetic productivity (PSNnet) with the measured data. The RHESSys is a hydro-ecological model designed to simulate integrated water, carbon, and nutrient cycling and transport over spatially variable terrain. A 8.5 $km^2$ Seolma-cheon catchment located in the northwest of South Korea was adopted. The catchment covers 90.0% forest and the dominant soil is sandy loam. The model was calibrated with 2 years (2007-2008) daily Q at the watershed outlet and MODIS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GPP, PSNnet and 3 year (2007~2009) daily ET data measured at flux tower using the eddy-covariance technique.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and the Nash-Sutcliffe model efficiency (ME) for Q were 0.74 and 0.63, and the average $R^2$ for ET and GPP were 0.54 and 0.93 respectively. The model was validated with 1 year (2009) Q and GPP. The $R^2$ and the ME for Q were 0.92 and 0.84, the $R^2$ for GPP were 0.93.

      • AnnAGNPS 모형을 이용한 경안천 유역의 수문$\cdot$$수질 모의

        신형진,권형중,김성준,Shin Hyung Jin,Kwon Hyung Joong,Kim Seong Joon 한국관개배수위원회 2004 한국관개배수논문집 Vol.11 No.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imulate streamflow and water quality for Gyeongan watershed (561.1 $km^2$) using AnnAGNPS (Bingner et al., 2000). The model was calibrated and verified for three years (2000, 2002, 2003) stream discharge and w

      • KCI등재

        전통가옥 벽장,반침 공간의 해석을 통한 유형화 : 경북지역 반가의 안방, 사랑방을 중심으로

        신형진 ( Hyung Jin Shin ),최경란 ( Kyung Ran Choi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1

        붙박이장은 일반적인 가구형태의 ``장(欌)``이 공간과 일체화 되어 보다 융통성 있는 활용이 가능하게 한 가구의 형태이다. 기존의 가구를 숨김으로써 그만큼의 손실된 공간이 확보되고 이어서 추가되는 공간 활용의 가능성이 뒤따르는 이점이 있으며 성립 조건이 까다롭지 않아 다양한 주거형태에서 나타난다. 고전적인 붙박이장의 형태는 조선시대에 다수 발견되며, 처한 환경과 방식에 따라 다양함과 오묘함을 띠고 있다. 이는 직선 목부재의 수직·수평결구에서 비롯된 전통건축방식을 기반으로 비움과 채움의 풍부한 공간변화에서 발전되어 온 산물이라 말할 수 있다. 안동을 비롯한 경북지역은 조선시대 상류고택의 융성지로 문중과 상류계층의 거주 체계와 격조 있는 건축적 요소들을 갖추어 전통건축 연구에 적합한 토양을 이루었다. 안채와 사랑채의 뚜렷한 위계와 환경적 요소로 인한 다양한 가옥형태는 다수의 붙박이 공간의 발견으로 이어졌다. 개괄적 측면으로 대상가옥 배치평면의 분석과, 세부적 측면으로 수납공간이 위치한 실내입면의 관찰을 통하여 다수의 사례들이 일련의 유형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추출되어 규명한 붙박이 공간의 전통문화 요소는 당시 삶을 살던 상류계층의 삶의 행태와 문화적 가치를 밝혀나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Built-in closets are ordinary closets merged within walls, making a more flexible use of the room space. By hiding the furniture the room gains that much more space and this enables to make flexible use of the additional space. It is not difficult to implement built-in closets, so they appear in many different styles of houses. Traditional built-in closets are frequently found in Chosun era`s housings, being diverse and mysteriou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they are in. This is a developed product of the abundant space change of solid and void. It is based on the traditional architecture which derived from the usage of straight timber on the traditional cross-connections of the housings. The Kyung-buk region, including Ahn-dong, was a prosperous upper class area. It provided suitable soil for studies of traditional housings and the living style of the noble. The various housing styles, which were derived from environmental elements and the distinct hierarchy of the ahn-chae and the sarang-chae, developed into a range of discoveries of built-in closets. It was able to find a similarity in numerous different housing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layout and floor planning in a general sense, and the examination of the interior storage space in a more specific sense. The extracted and defined traditional elements of built-in closets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identifying the life style of the upper class and its cultural value.

      • KCI등재

        아시아계 미국인의 인종 및 민족간 통혼유형

        신형진 ( Hyoung Jin Shin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6 다문화와 평화 Vol.10 No.1

        이 연구는 한국계 및 중국계, 일본계, 베트남계, 필리핀계, 인도계 등 6개의 주요 아시아계 미국인 집단을 포함하여 그들의 인종 및 민족간 통혼유형을 2000년 미국 센서스 자료를 통혼표에 기초한 대수선형모형(log-linear model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기존의 연구가 아시아계 미국인을 하나로 묶어서 하위집단의 다양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반면에 본연구는 각각의 하위집단이 통혼유형에서 어떠한 차이를 나타낼 것인가에 주된 연구관심을 두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아시아계 통혼유형의 특징인 여성과 남성의 비대칭적인 족외혼경향 및 범아시아계 통혼(pan-Asian intermarriage) 등의 현상이 출신국가 별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출신국가별로 통혼유형이 매우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각각의 하위집단에서 독특한 특징이 발견되었다. 예를 들자면, 일본계나 필리핀계에서 족외혼의 경향이 상대적으로 매우 강하게 나타난 반면, 베트남계는 다른 집단에 비해 그러한 경향이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족외혼에서 아시아계 여성이 동족인 남성에 비해 비대칭적으로 족외혼의 비율이 높은 경향은 한국계, 중국계, 필리핀계로부터 발견되었지만 일본계나 인도계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비록 백인들과의 결혼이 몇몇 집단에서는 여전히 지배적인 족외혼의 유형으로 나타났지만 범아시아계 통혼의 경향이 모든 집단에서 강하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은 특히 베트남계, 중국계, 인도계에서 두드러졌다. 이연구의 결과가 함의하는 바는 아시아계 미국인 안의 다양성을 고려할 때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관련분야의 연구는 개별 하위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또한 다양한 이민자 집단이 결혼을 통해 거주국사회에 통합되어 가는 과정을 단선적인 것으로 해석하는 전통적인 동화이론(the traditional assimilation theory) 보다는 상이한 통혼유형을 통해 여러 경로의 인종 및 민족집단 간의 관계가 형성될 수 있음을 가정하는 분절동화론(the segmented assimilation theory)이 아시아계 미국인의 통혼을 분석함에서 보다 나은 설명력이 있다고 할 것이다. This study systemically analyzes intermarriage patterns among Asian Americans, one of the fastest-growing racial groups and who have one of the highest intermarriage rates in the United States. Utilizing the 2000 US Census PUMS data, interracial and interethnic marriage patterns of six major Asian groups in the country are examined. The results from log-linear models reveal that intermarriage patterns of Asian subgroup vary greatly showing unique marital signature in which each Asian subgroup has a quite different intermarriage rate and the gendered pattern in intermarriage, where Asian women intermarry at a higher rate than men, is not pervasive across all Asian subgroups. It is also found that the marriage to a non-Hispanic white is still dominant for some of the groups, but the propensity of pan-Asian intermarriage is quite strong across all Asian subgroups. My study suggests that the segmented assimilation theory, which summarizes how different patterns of intergroup relations are forming among diverse immigrant groups through interracial and interethnic marriages, has more explanatory power than traditional assimilation theory in analyzing Asian American intermarriage.

      • KCI등재

        단보 : NOAA AVHRR 영상 및 GIS 기법을 이용한 국내 5대강 유역의 융설 매개변수 추출

        신형진 ( Hyung Jin Shin ),박근애 ( Geun Ae Park ),김성준 ( Seong Joon Kim ) 大韓遠隔探査學會 2007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23 No.2

        융설 모형의 중요 매개변수인 적설분포면적은 실제 우리나라에서 적설과 관련한 관측 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매개변수 추정이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원격탐사기법을 활용하여 적설분포면적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997년부터 2006년까지의 겨울철 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의 AVHRR(Advanced Very High Resolution Radiometer) 위성 영상의 8 sets의 총 108개 영상을 이용하여 적설분포면적을 추출하였고 기상청의 지상기상관측소의 최심적설심 자료를 이용하여 GIS 자료를 구축함으로써 적설심의 공간적 분포를 추출하였다. 이를 국내 5대유역인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유역에 대하여 융설모형의 주요 매개변수인 적설분포면적, 유역 평균, 최대 적설심과 적설분포감소비곡선을 구축하였다. 그 중 적설분포면적감소곡선 (SDC: Snow cover Depletion Curve)는 적설분포면적의 감소형태를 나타내주는 지표로써 융설의 가장 민감한 매개변수이다. 이를 국내 5대강 유역에 대해 구축하여 정량화하였다. The few observed data related snowmelt was the major cause of difficulty in extracting snowmelt factors such as snow cover area, snow depth and depletion curve. Remote sensing technology is very effective to observe a wide area. Although many researchers have used remote sensing for snow observation, there were a few discussions on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Snow cover maps were derived from NOAA AVHRR images for the winter seasons from 1997 to 2006. Distributed snow depth was mapped by overlapping between snow cover maps and interpolated snowfall maps from 69 meteorological observation stations. Model parameters (Snow Cover Area: SCA, snow depth, Snow cover Depletion Curve: SDC) building for 5 major watersheds in South Korea. Especially SDC is important parameter of snowmelt model.

      • 토양수분 측정자료의 품질관리를 위한 ISMN Web 시스템 개발 및 적용

        신형진 ( Hyungjin Shin ),이재남 ( Jaenam Lee ),하창용 ( Changyoung Ha ),이철성 ( Chulsung Lee ),황선아 ( Sunah Hwang ),김종건 ( Jonggun Kim ),임경재 ( Kyungjae Lim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밭 용수관리 및 가뭄 대응을 위한 토양수분 실측자료의 품질관리가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토양수분 자료의 체계적인 유지관리를 위해 국제 토양수분 네트워크(International Soil Moisture Network; ISMN)가 설립되었고, 전세계 1,400여개 지점의 토양수분량 자료의 품질관리하고 있다. ISMN 품질관리 방식은 토양특성, 강우에 대한 반응, 토양온도, 시계열특성을 이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FDR(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기기를 이용한 토양수분 측정자료의 품질관리를 위해, ISMN에서 제시한 총 13 단계별 품질관리 체계 중 실측 토양수분 자료만을 이용하여 평가가 가능한 C01, C02, C03, D06, D07, D08, D09, D10 품질관리 체계를 반영하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주요 품질관리 기준은 1) 토양수분이 0 m3m-3보다 작은지, 2) 또는 0.6 m3m-3보다 큰지, 3) 토양수분값이 공극률보다 큰지, 4) 토양수분 시계열 자료에 spike 가 있는지 5) 응과 양의 break가 있는지, 6) 음의 breark 이후 지속적인 음의 토양수분 자료가 지속되는지, 7) 토양수분 자료에 지속적인 plateau가 있는지를 검사하여 Quality Flag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Web 기반이 토양수분 품질관리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국내 주요 지점의 토양수분 품질관리를 수행하였고, 이렇게 품질관리된 주요지점의 토양수분 자료를 활용하여 국내 토양수분의 시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Web 기반의 토양수분 품질관리 시스템은 토양수분 관리를 통한 스마트 용수관리, 유역 지하수-지표수 연계평가 등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KCI우수등재

        밭관개 시설물의 용수공급에 대한 취약성 평가 - 당진시, 예산군, 청양군을 대상으로 -

        신형진 ( Shin Hyung-jin ),권형중 ( Kwon Hyung-joong ),이재영 ( Lee Jae-yeong ),이진형 ( Lee Jin-heong ),박찬기 ( Park Chan-gi ) 한국농공학회 2018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60 No.6

        This study evaluated the vulnerability of irrigation water supplied to the crops. The target areas were selected as Dangjin-si, Yesan-gun, and Cheongyang-gun. The survey items of the climate exposure were annual precipitation and rainless days. The sensitivity survey items were cultivation area, groundwater level, evapotranspiration and groundwater consumption. The survey items of the adaptability were Number of groundwater well and Water supply ratio. The survey methods for these items were investigated in a variety of ways, including “National Climate Data Service System”,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National ground water monitoring network in korea annual report” and “Chungcheongnam-do Statistical Yearbook”, “HOMWRS”. Vulnerability assessment results were rated within the range of 0∼100 points. The first grade was rated 0-25, the second grade 26-50, the third grade 51-75, and the fourth grade 76-100. And the lower the score, the lower the vulnerability. As a result, Cheongyang-gun showed a high vulnerability of over 50 points, Dangjin-si showed a low vulnerability rating of 31.20 points and a Yesan-gun of 36.00 poi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