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로젝트 2061 관점에서 본 역대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종적 분석

        신항균 ( Sihn¸ Hanggyun ),최혜령 ( Choi¸ Hyeryung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4

        교과서는 학교 수업에 필요한 지식 내용을 교육과정에 맞춰 제시한 교수 학습 도구이다. 우리나라의 학교 수업에서 교과서 의존도는 매우 높으며, 교과서는 수업의 성공 여부에도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2022년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는 검정 교과서 사용을 앞두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역대 국정 교과서의 변화 양상에 대한 통찰력 있는 분석이 필요하다. 그러나 최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를 대상으로 한 종적 연구들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선행 연구들이 교과서의 특정 내용 영역을 중심으로 변화를 고찰하는 모습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AAAS가 개발한 프로젝트 2061의 교과서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역대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를 전체적인 관점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역대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척도 평균은 교육과정 차수에 따라 지속적으로 상승하였으며, 현행 2015 개정 교과서는 ‘교육목표 제시하기, 수학적 개념 정립하기, 학생을 수학에 참여시키기, 수학적 개념 개발하기, 수학적 사고력 증진시키기, 학생의 수학적 향상 정도 평가하기, 수학 학습 환경 개선하기’를 가장 고르게 반영한 교과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역대 교과서의 척도 평균은 구성주의가 교과서에 반영된 시기인 7차 교과서 이후 급격한 상승을 보였다. 평가 영역에 따른 교과서의 변화 방향을 고찰하였을 때, ‘Ⅰ. 교육 목표 제시하기, Ⅱ. 수학적 개념 정립하기, Ⅲ. 학생을 수학에 참여시키기, Ⅳ. 수학적 개념 개발하기’영역은 전통적인 교과서의 관점이므로 1차부터 현행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잘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7차 이후 ‘Ⅴ. 수학적 사고력 증진시키기, Ⅵ. 학생의 수학적 향상 정도 평가하기, Ⅶ. 수학 학습 환경 개선하기’영역의 척도 평균이 급상승한 것으로 보아, 향후 교과서는 Ⅴ, Ⅵ, Ⅶ영역이 더 강조되어 발전할 것으로 보인다. Textbooks are teaching tools that provide the necessary information for school classes according to the curriculum. The dependence on textbooks in our country's school classes is very high, and textbooks have an important impact on the success of the classes. Mathematics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s in Korea are set to be used in 2022. At this point, an insightful analysis of the changes in state-authored textbooks is needed. However, a recent analysis of longitudinal studies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showed that most prior studies looked at changes around specific areas of content in textbook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history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from the overall perspective by utilizing the textbook analysis method of Project 2061, which was developed by AAAS. As a result, the average scale of the nation's history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continued to rise according to the number of curricula,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urrent 2015 revised textbooks reflect the most evenly 'Identifying a sense of purpose, Building on student idea about mathematics, Engaging students in mathematics, Developing mathematical ideas, Promoting student thinking about mathematics, Assessing student progress in mathematics.' In addition, the average reading of previous textbooks showed a sharp rise after the seventh textbook, a period when constructivism was reflected in textbooks. When considering the direction of changes in textbooks according to the assessment area, it could be seen that Ⅰ, Ⅱ, Ⅲ and Ⅳ areas were the perspective of traditional textbooks and were consistently well reflected from the first to the present. Given that the average of the scales of Ⅴ, Ⅵ and Ⅶ areas has soared since the seventh textbook, future textbooks are expected to develop into more emphasized forms of Ⅴ, Ⅵ and Ⅶ areas.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 교수학적 지식과 수학 불안감 사이의 상관관계 분석 연구

        김리나 ( Rina Kim ),신항균 ( Hanggyun Sihn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5 한국초등교육 Vol.2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교수학적지식과 수학불안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 지식을 측정하기 위해 미국에서 개발된 MKT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수학불안을 분석하기 위해서 수학에 대한 이미지 분석법을 사용하였다. 지식과 수학불안에 대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대응표본 t-검정과 단순회귀분석의 통계적 분석법을 적용하여 교사의 지식과 수학불안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교사의 수학교수학적지식의 양과 수학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 사이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그러나 한국초등교사의 수학교수학적지식의 증가는 그들의 수학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의 감소에는 큰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 수학 수업과 연관된 교사의 지식과 그들의 수학불안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며, 교사 연수 개설 방향과 관련하여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The aim of the study presented in this paper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n elementary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MKT) and their mathematics anxiety. A paired t-test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are applied to examine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for teaching mathematics that may influence their mathematics anxiety.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mathematics and their positive insights toward mathematics. However, there is a little affect of the increasement of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mathematics on reducing their negative perspectives toward mathematics. The results of this quantitative study help ou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n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for teaching mathematics and their mathematics anxiety, which have a deep impact on their teaching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