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대구·경북지역 섬유산업의 정책변화와 혁신과제

        신진교,김요한,Shin, Jin-Kyo,Kim, Yo-Han 대한경영정보학회 2012 경영과 정보연구 Vol.31 No.3

        본 연구는 대구경북지역 섬유산업의 경쟁력 회복을 위해 1999년부터 소위 '밀라노프로젝트'로 시작된 대구지역 섬유산업진흥사업을 중심으로 지난 10년간의 대구지역 섬유산업의 정책변화와 지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에 대한 현황분석을 토대로 향후 대구경북지역 섬유산업의 혁신과제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단계 밀라노프로젝트('99-'03)는 기획 수립단계에서부터 섬유산업의 중장기 발전시나리오에 기초한 비전과 전략의 부재로 체계적인 사업기획 및 단위사업 선정이 미흡함으로써 패션어패럴밸리 조성 등 사업의 추진일정이 지연된 문제점이 노출되었지만, 신제품개발지원센터, 염색디자인실용화센터 등 차별화 제품의 개발을 지원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성과의 의의가 있다. 2단계 대구섬유산업진흥사업('04-'08)은 경상북도의 도비 매칭을 통하여 대구경북지역의 광역사업으로 추진되었으며, 기 구축된 인프라를 중심으로 지원된 기술개발지원 사업은 특허출원 등 기술적 성과와 신상품 매출액 비중 증가 등의 경제적 성과가 가시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섬유업계는 1990년대 후반부터 한계업체 퇴출, 설비매각 이전 등 고강도의 구조조정이 진행되어 왔으나, 현재 영업중인 섬유업체는 재무구조, 생산성, 수익성 측면에서는 기업의 경영성과가 호전되었다. 산업 구조적인 측면에서는 의류용섬유소재분야에서 산업용섬유소재분야로 구조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혁신역량 분석에서는 타 산업과 비교할 때 큰 차이는 없으나, 최고경영자의 기술혁신의지, 기업가 정신, 연구개발 역량과 인적자원분야에서 혁신역량이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섬유산업의 지속발전을 위한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하이테크 섬유소재와 생활용 섬유분야에 대한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며, 향후 물리적 집적기반보다는 신뢰와 협력에 기반한 네트워크를 통해 '혁신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적 인프라 구축에 보다 집중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지역 섬유산업이 지역 전략산업으로 선정되어 10년 이상 지속적인 지원을 받아 온 만큼, 이제 전통 주력산업에서 미래 성장산업으로 변모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기술혁신의지와 기업가정신에 기초한 기업주도의 '혁신 클러스터'를 반드시 창출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ses support policy and structural change of textile industry in Daegu Kyungbuk region, and suggests major issues for textile industry's innovation. In Daegu Kyungbuk, it was 1999 that a policy, so called Milano Project, in order to promote a textile industry was devised. In 2004, the Regional Industrial Promotion Plan was devised. The plan was born from a view point of establishing a regional innovation system and of promoting the innovative clusters under a knowledge based economy. After then, the Regional Industry Promotion Project or Regional Strategic Industry Promotion Project became a core of regional textile industrial policy. Research results indicated that the first stage Milano project (1999-2003) show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There were no long-term development plan, clear vision and strategy. But, core industrial infrastructure for differentiated product development, such as New product Development Support Center and Dyeing Design Practical Application Center, was constructed. The second stage Daegu Textile Industry Promotion Plan (2004-2008) displayed a significant technological performance and new product sales with the assistance of Kyungbuk province. Also, textile industry revealed positive fruits such as financial structure, productivity, and profitability as a result of strong restructuring. In industrial structure, there was a important change from clothe textile material to industry textile material. Most of textile companies did not showed high capability in CEO's technology innovation intention, entrepreneurship, R&D and human resource competency in compare with other industry. We suggested that Daegu Kyungbuk has to select and concentrate on the high-tech textile material and living textil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competitiveness. We also proposed a confidence and cooperation based innovation network and company oriented innovation cluster.

      • KCI등재

        B2B 중소기업에게 필요한 마케팅역량에 대한 연구: 대구광역시 소재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신진교,조정일,이호택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2 경영컨설팅연구 Vol.22 No.4

        This study examines the marketing capabilities required for B2B SMEs. Previous researches related to marketing capabilities have focused on the marketing capabilities that companies in the B2C industry should have. In this study, the authors are presenting the marketing capabilities for SMEs in the B2B industry. Based on the study of overseas literature related to B2B marketing and FGI results of local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representatives and management consultants, the questionnaire items on B2B marketing capabilities were determine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172 B2B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in the Daegu area that had previously supported from marketing support projects with the cooperation of Daegu Science and Technology Supporting Center in Daegu Technopark. As a result of the survey, it was found that the marketing capabilities required for B2B companies consisted of seven competency factors: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capability, brand capability, channel bonding, market orientation, new product development capability, innovation capability, and pricing capabilit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se marketing capabilities and various corporate performance such as financial performance, non-financial performance, customer performance and technical performance was analyzed, and academic and policy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based on this analysis. In the last par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presented.

      • KCI등재

        중소기업의 R&D와 기술혁신 : 기능부서간 협력 및 지역산업문화의 조절효과

        신진교,황수정 한국산업경제학회 2008 산업경제연구 Vol.21 No.6

        중소기업의 와 기술혁신에 관한 기존연구들은 R&D 일관된 연구결과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중소기업의 R&D와 기술혁신 간의 관계, 이들 사이의 관계에 대한 기능부서간 협력과 산업협력문화의 역할을 분석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151개 중소기업으로부터 설문자료를 수집·분석한 결과 중소기업의 R&D는 기술혁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중소기업의 R&D와 기능부서간 협력의 상호작용 항목은 기술혁신에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소기업의 경우 R&D 투자와 기능부서간 협력과 연계될 때 기술혁신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산업협력문화와의 상호작용 항목은 유의한 효과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기술혁신에 대한 R&D의 주 효과와 기능부서간 협력의 상호작용 효과를 동시에 고려하는 연구가 타당함을 암시하고 있다. 논문의 결론부분에서는 본 연구결과에 요약, 해석과 토론, 이론적 및 실무적인 시사점, 그리고 향후의 연구방향이 제시되고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how SMEs deploy their R&D, cross functional cooperation and industrial cooperation culture for successful technology innovation.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ses the main effects of R&D intensity on technology innovation as well as the interaction effects among the above variables. The survey data of 151 SMEs were collected and integrated as the empirical base for testing the hypotheses. Empirical results showed that R&D intensity was influential determinant to SMEs' technology innovation. Also, R&D intensity and cross functional cooperation complement each other. SMEs' cross functional cooperation can play a more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technology innovation. The SMEs' technology innovation is a complex task and there is no single best way available for all firm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also discussed.

      • 대구지역 산업클러스터 환경과 기술혁신 : 기술혁신능력과 기업가정신의 조절효과

        신진교,김정년,조정일,임재현 한국산업경영학회 2012 한국산업경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2 No.-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에 있어 중요하면서 실증연구가 부족한 산업클러스터와 기업가정신, 그리고 기술혁신 과정의 체계성을 위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혁신역량이 기술혁신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섬유의 산업클러스터 환경이 타 전략산업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기술혁신에 있어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지역기업의 기술혁신에 있어서 산업클러스터 환경 자체가 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산업클러스터 환경 중 기업지원체계와 기술혁신 간 기술혁신능력과 기업가정신의 조절효과가 존재하며, 산업생산체계와 기술혁신 간 기업가정신의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략산업 간에 기술혁신에 미치는 산업클러스터 환경의 하위체계가 서로 달랐고, 기술혁신능력과 기업가정신의 조절효과에도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e study,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industrial cluster system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including the moder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which is the domain consideration in the proces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848 firms in Daegu were collected and analysed. Our sample consisted of 247 textile firms, 402 mechatronics firms, 102 nanomaterials firms and 97 IT firms. The empirical study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At first, textile industry had more favorable environment of the industrial cluster, but lower technological innovation than other industry. Second, industrial cluster system alone was not conducive to higher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industrial cluster system was categorized by 3 sub-system(industrial production·scientific technology·business support system). We found the moderating effec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and entrepreneurship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business support system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Also, the effect of industrial production system on technological innovation was moderated by entrepreneurship. Finally, the impact of industrial cluster system and the moderating effect varied substantially across 4 indus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