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산림공간유형이 기분 개선에 미치는 영향

        김경목(Kyung Mok Kim),신원섭(Won Seop Shin),박범진(Bum-Jin Park),오도교(Do Kyo Oh) 한국산림휴양학회 2012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16 No.1

        본 연구는 산림공원과 도시숲 사이에서의 경험이 기분개선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대학생 50명을 대상으로 하여 수행하였다. 연구수행을 하기위해 대전광역시 인근의 산림공원과 도시숲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측정방법으로는 기분상태검사와 의미분별법을 사용하였다. 도시공원에서의 체류는 도시숲과 동일하게 도시환경과 비교하여 쾌적감, 자연감을 높이는 효과가 있었으며, 긴장, 불안감, 혼란을 억제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 나아가 활력과 진정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도시공원을 방문하는 것보다 도시에서 가까운 숲을 방문하는게 활력과 진정감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relaxation effects of forest experience in forest park and urban forest on university students. Fifty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s subjects. The subjects seated on a chair and viewing a forest park landscape, urban forest landscape and urban landscape for 15minutes. The semantic differential (SD) method and the profile of mood states (POMS) method were employed in which a questionnaire after subjects sat and viewed the forest park landscape, urban forest landscape and urban landscape. These results support the suggestion that forest park and urban forest has another aims to visit for gain psychological relaxation effects.

      • KCI등재후보

        숲해설가 직무교육 만족도 및 요구도 분석

        고대현(Ko Dae hyun),신원섭(Shin Won seop) 한국산림휴양학회 2011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15 No.3

        본 연구는 2011년도 숲해설가 직무교육에 대한 만족과 교육적 요구를 조사하여 향후 활동지역 개인별 역량 특성에 맞는 직무교육 계획 수립을 위한 방향과 시사점을 도출 차기년도 교육에 반영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숲해설가 직무교육 프로그램 향상을 위한 직무교육 만족 및 요구 분석에서 참여자 일반사항으로 교육이수 숲해설가의 평균 연령과 성별은 40대 후반의 여성이었다. 활동지역은 인구분포보다는 휴양림 수목원의 시설에 따른 분포를 보였다. 교육생 구분으로는 처음으로 근무하는 숲해설가 보다는 1년 이상 근무한 숲해설가가 많았다. 직무만족도(5점 만점)에서 교육과정 일정에 대한 만족은 3.01 교육진행속도 2.86 교육내용 및 실습의 양 3.2 교육내용 구성 2.95 교육교재 3.0으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보통으로 평가되었다. 교육과정의 핵심 요구 사항은 강사의 현장성 있는 교육(휴양림 관리자 운영사례 포함)과 더불어 숲해설가 고경력자로부터의 실전경험 사례에 대한 교육이었다. 교육운영 부분에서는 교육 본과정과는 별도로 숙박 숙식 교통에 불편함이 교육에 상당한 지장을 준 것으로 평가되었다.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analyze Forest Interpreters' satisfaction and needs of job competency education which increase interpreters' activity competence and support to plan next activity area next curriculum for individual competence characteritics. The study was done through the participants in 2011 Forest Interpreter's Job Competency Education whose normal age and gender are late 40's women. Activity area follow the distribution of Forest Arboretum facilities rather than population. As regards division of trainees new forest interpreters are less than the people who have one or more forest interpreter's experience. Satisfaction of job competency education(high scores 5) appeared as follows : training schedule(3.01) training speed(2.86) traning information and the amount of exercise(3.2) configuration of educational content(2.95) training materials(3.0) that was evaluated as a whole usually. The major needs for curriculum are field-applicable education (including forest operating case study) and hands-on experience education from senior forest interpreters. At the point of educational management it is pointed out that various discomfortable things except curriculum -accomodaion meals transportaion- are the serious obstacle to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