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래질의 원리와 인식에 관한 연구

        신영순(Shin youngsoon) 한국민속학회 2020 韓國民俗學 Vol.72 No.-

        가래는 선사시대부터 사용된 연장이다. 이것은 삽처럼 자루(장부)와 몸(가래바닥)이 하나로 제작되었고, 가래바닥 끝에 말굽쇠 즉 ‘U’자 모양의 쇠 날이나 통 쇠 날을 끼워 만든 연장이다. 농사도구는 농사일 특성상 여럿이 협동하기 보다는 홀로 작업하는 과정이 많으므로 연장들 대다수가 개별적 기능을 지닌 채 홀로 작업하도록 고안되었다. 그러나 일부의 작업은 홀로 작업하기보다 협업을 전제로 하기도 한다. 땅을 깊이 파거나 많은 흙을 또는 높은 곳으로 옮길 때에는 홀로 작업하기보다 여럿이 협업을 해야 효율적이다. 가래는 그러한 상황에 최적화된 연장으로,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세 명, 다섯 명, 일곱 명, 열 명 등이 협력하는 것이 보다 보편적이다. 가래질을 할 때에는 가래 바닥에 두 개의 줄을 달아 양쪽에서 두 명에서 네 명의 사람들이 잡아당기도록 고안되었다. 가래질을 할 때에는 장부잡이가 가래 장부를, 삼각형 변의 양 지점에서 있는 줄꾼들이 가랫줄을 잡고 작업을 한다. 이 작업은 장부잡이의 의도에 따라 방향과 가래 밥의 양, 각도 등이 정해지는데, 이 속에는 ‘힘의 벡터 합성원리’가 숨어 있다. 세손목한카래의 경우, 세 사람(장부잡이, 줄꾼 2명)의 협력으로 흙을 수평과 수직(상향)이동을 시킨다. 이외에 장부잡이가 가래 밥을 뜰 때에도 지렛대의 원리가 내재되어 있다. 가래는 생업도구를 넘어서 일상의 생활도구로 인식되어, 농사 뿐 아니라 주변에 대형 작업이나 공사에 사용되었다. 논둑을 정리하고 무논을 가는 일 이외에 마을이나 국가에서 추진하는 제방 쌓기, 청계천과 같은 큰 천을 보수하는 일에도 동원되었다. ‘세손목한카래’, ‘육목 가래’ 또는 ‘일곱목 한카래’의 경우는 근래의 트랙터나 굴착기와 같은 위력을 나타내므로 그 당시에는 강력한 힘을 발휘하는 도구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인식은 속담이나 노동요, 농가월령가 등을 통해 알 수 있다. 또한 가래질을 하기 위해서는 장부잡이와 줄꾼들의 호흡을 잘 맞추기 위해 미리 연습을 하는데 이것은 ‘헹가래’라는 풍습으로 남아 있다. Garae is a farming tool that has been used since prehistoric times. Garae’s handle (called garae-jangbu) and the body (called garae-badak) are combined like shovels, and the horseshoe, which is U-shaped metal blade, is inserted into the bottom of the body. Since most of the work is done alone, most farming tools are designed to work alone. However, it is more efficient to work together than to work alone when there are cooperative-based tasks such as digging deep, moving a lot of soil, or moving it to a higher place. Garae is optimized for these situations and can be used alone, but it is more common for three, five, seven, or ten to collaborate. When using Garae, two strings are attached to the metal blade at the bottom of the Garae, and two or four people work together on both sides. When doing ga-rae-jil (doing spadework), One person called jang-bu-jab-i holds garae-jangbu (the handle), and the others called jul-kkun hold each string on either side of the triangle. The direction, angle, amount of soil, etc. are determined by jang-bu-jab-i, and here is the ‘Composition of Force Vector’. In the case of Se-mog-garae (a kind of Garae), three people(jang-bu-jab-i and two jul-kkun) cooperate to move the soil horizontally and vertically(upward). In addition, the principle of the lever is applied to increase work efficiency when jang-bu-jab-i shovels up soil. Garae was recognized as a daily living tool beyond agricultural tools, so it was naturally mobilized when large work or construction was carried out in the vicinity as well as farming. In addition to refurbishing ridges and plowing rice fields, Garae was used to refurbish large streams such as Cheonggyecheon Stream and to build embankments promoted by villages and countries. ‘Se-son-mog-han-ka-lae’, ‘Yug-mog-ga-lae’, and ‘Il-gob-mog-han-ka-lae’ were considered powerful tools at the time, as they had the power of tractors or forklifts. This perception can be seen through proverbs, labor songs, and nong-ga-wol-lyeong-ga (農家月令歌, song about farming for a year). In addition, jang-bu-jab-i and jul-kkuns practice in advance to work in perfect harmony, which remains a custom called ‘Henggarae’.

      • KCI등재

        농사속담 속 비[雨]에 대한 인식 및 예측

        신영순(SHIN Youngsoon),정래진(JUNG laejin) 한국민속학회 2021 韓國民俗學 Vol.74 No.-

        본 연구에서는 농사속담 속 비[雨]에 대한 인식과 예측을 살펴보았다. 전통사회에서 동사는 생업이기 때문에 일기(日氣)를 미리 추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특히 농업용수의 확보는 농사의 풍흉을 좌우할 정도로 중요한 일이었다. 전통사회는 수리시설이 잘 갖추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비가 내려야 농사짓기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비에 대한 관심과 앎의 욕구는 일상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며, 이러한 인식은 농사속담에서 찾을 수 있다. 비와 관련한 농사속담은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다. 농사를 짓기 위해서는 적당한 시기에, 적당 양의 비가 내려야 한다. 그러므로 농작물의 성장 시기에 맞게 내리는 비는 이로운 비가 되지만 수정이나 생육, 추수 등에 내리는 비는 농사를 망칠 수 있기 때문에 해로운 비다. 이러한 생각이나 인식은 농사 절기와 다양한 농작물의 풍흉과 관련한 속담으로 표출되고 있다. 또한 사람들은 농업용수가 중요하기 때문에 비오기 전에 동·식물의 행동이나 생태 변화, 사람들의 행태, 감각에 의한 자연 현상변화 등 다양한 상황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현상을 잘 관찰하는 것은 농사와 관계가 깊다. 전통사회에서 농사를 주업으로 삼았던 사람들에게는 정확한 일기변화에 대한 예측을 위해서 다양한 현상을 관찰하였고 이것이 비관련 농사속담 속에 내포되어 있다. 비록 농사속담이 예전처럼 활용되고 있지는 않지만, 오랜 세월 속에서 변화 발전해 왔고, 계절별, 단계별 농사모습이 투영되어 있으며 그것은 생활 속에서 얻어진 생활과학이며, 지혜의 총체라 하겠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perception and prediction of rain in the agricultural proverbs. Since agriculture is a livelihood in traditional societies, it is very important to estimate the diary in advance. In particular, securing agricultural water was so important that it affected the morale of agriculture. This is because traditional societies do not have repair facilities, so agricultural construction is possible if it does not rain. Therefore, the interest in rain and the desire for knowledge naturally appear in our daily lives, and such perceptions can be found in agricultural proverbs. Agricultural proverbs about rain contain a variety of content. In order to build agriculture, it must rain at the right time and at the right time. Therefore, rain that falls according to the growing season of crops is advantageous rain, but rain that falls on crystals, growth, harvesting, etc. is harmful because it can ruin agriculture if it is mistaken. Such thoughts and perceptions are expressed as sayings related to the agricultural season and breast augmentation of various crops. In addition, because agricultural water is important for people, before it rained, we observed various situations such as the behavior and ecological changes of eastern plants, people’s behavior, and changes in natural phenomena due to sensations. Observing these phenomena closely is closely related to agriculture. For people whose main business is agriculture in traditional societies, various phenomena are observed for accurate prediction of diary changes, which are contained in unrelated agricultural proverbs. The unrelated agricultural proverb is not used as it used to be, but it has changed and developed over the years, and seasonal and staged farmer figures are projected, which is the life science gained in life. There is, it is called the whole of wisdom.

      • 철도역사 다중운행 승강기 회생전력 활용에 따른 경제성 분석

        정호성(Hosung Jung),박종영(Jongyoung Park),김형철(Hyungchul Kim),신영순(Youngsoon Shin),이한민(Hanmin Lee) 대한전기학회 2021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7

        본 논문은 대심도 철도역사에 적용될 대심도 역사용 승강기의 다중 운행조건에 따른 전력소비량을 예측하고 회생에너지 활용장치의 도입을 통한 에너지 절감율을 예측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승강기의 부하량이 50% 초과 시 회생과 소비의 에너지 사용 형태가 변경되었으며, 회생에너지 활용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10대의 승강기가 다중 운행하는 경우에 평균 29.8%의 에너지를 절감하였다. 또한 대심도 다중 승강기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에 따라 회생에너지 활용장치를 이용한 경우2.4년 이내에 투자회수가 가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