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예도보통지》의 곤방의 기술(技術)에 관한 연구

        박귀순 ( Cindy Park ),신영권 ( Young Kwan Shin ) 한국체육사학회 2015 체육사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에서는《기효신서》와《무예제보》의 대봉《무비지》의 곤을 통해서《무예도보통지》의 곤방의 기술과정 記述過程과 특징을 살펴보았으며 《무예도보통지》의 곤방의 동작을 중심으로《기효신서》, 《무예제보》, 《무비지》와의무예의 연관성 및《무예도보통지》의 곤방의 무예사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조선의《무예도보통지》와《무예제보》명의《기효신서》와《무비지》를 주요문헌으로 두었으며 이와 관련된 문헌 및 자료를 수집 분석 검토했다. 《무예도보통지》의 곤방의 근원은 유대유의《검경》에 두고 있었으며《기효신서》, 《무예제보》, 《무비지》를 참조로 기술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무예도보통지》의 곤방은 병기무예의 기본 무예이며 칼날이 부착되면서 효율적이고 위협적인 무기가 되었다 또한 총도와 총보를 통해서 병사들의 체계적인 훈련이 이루어졌으며 곤방의 형태와 변화 전술의 효율성 증대 훈련 체계의 정립 운용방법의 변화에서 무예사적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This study looked into a description process and features of long stick in《Muyedobotongji》through long stick in 《jixiao-xinshu》and《Muye-jebo》as well as stick in《Moobiji》and focusing on movements of Long Stick in 《Muyedobotongji》, the study compared《jixiao-xinshu》,《Muye-jebo》and《Wubeizhi》with each other which eventually led the study to understand martial arts’correlations and martial arts-related significance of long stick in 《Muyedobotongji》. In addition, this study reviewed《Muyedobotongji》,《jixiao-xinshu》,《Muye-jebo》and《Wubeizh i》 as main references, and any relevant literature and materials were gathered, analyzed and examined. The origin of long stick in《Muyedobotongji》was found in《Jianjing》by Yoodaeyu, and the study learned that it had been described via《jixiao-xinshu》,《Muye-jebo》and《Wubeizhi》. long stick of《Muyedobotongji》is martial arts that is regarded as the basics of short weapon and long weapon, and a blade made long stick an efficient and threatening weapon for infantrymen. however it was reinterpre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reality of Chosun through the demonstrator``s clothes and change process of connecting motion, etc., also, was described by reflecting our national awareness.

      • KCI등재후보

        《무예도보통지》의 쌍수도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기효신서》, 《무예제보》, 《무비지》, 《무예도보통지》의 무예 동작 비교를 중심으로-

        박귀순 ( Cindy Park ),신영권 ( Young Kwan Shin ) 대한무도학회 2010 대한무도학회지 Vol.12 No.3

        《기효신서》, 《무예제보》, 《무비지》, 《무예도보통지》, 쌍수도, 《Gixiao-xinshu》, 《Muye-jebo》, 《Wubeizhi》, 《Muye-dobo-tongi》, Duouble-hands sword 본 연구는 첫째, 《기효신서》, 《무예제보》, 《무비지》, 《무예도보통지》의 쌍수도의 개괄 및 내용을 살펴보았으며, 둘째, 《무예도보통지》쌍수도의 무예 동작을 중심으로《기효신서》, 《무예제보》, 《무비지》의 공통점과 상이점을 검토하였고, 셋째, 이를 통하여《무예도보통지》쌍수도의 형성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본 연구는《무예도보통지》의 편찬, 간행 시, 참고가 된《기효신서》, 《무예제보》, 《무비지》를 중심으로 하여 관련된 문헌 및 자료를 수집, 분석, 검토하였다. 4권 서적의 쌍수도의 개괄 내용 및 무예 동작의 비교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4권 서적의 개괄 및 내용을 통해 쌍수도의 도입 과정, 쌍수도의 제원, ``창류지목록`` 및 그림자와 원숭이 형상의 시범자의 내용을 알 수 있었고, 둘째, 4권 서적의 쌍수도 비교, 검토를 통해 동작의 명칭, 쌍수도의 동작, 시범자 복장의 공통점과 상이점을 알 수 있었으며. 셋째, 《무예도보통지》의 쌍수도는 보병에게 효과적인 무기로서, 《기효신서》, 《무예제보》, 《무비지》를 참조하여 기재되었지만, 단지 모방에 그치지 않고 조선의 자국화 과정을 거친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formation process of ``double-hands sword`` of the《Muye-dobo-tongi》, and focus on the comparison of movements of the《Gixiao-xinshu》, 《Muye-jebo》, 《Wubeizhi》, 《Muye-dobo-tongi》. So first was intends to review the summary and contents of 4 books; second was to review the common and difference point of double-hands sword movement of 4 books; third was examined the formation process of ``double-hands sword`` of 《Muye-dobo-tongi》. The conclusion was to understand, first was the introduction and mention of double-hands sword in 4 books, the specification of double-hands sword in 4 books, the mention of ``Changliu`s list``, shadow and monkey demonstrator`s movements; second was the name of movement in 4 books, the first and final movement of double-hands sword and its total number of movement in 4 books, the demonstrator`s costume in 4 books; third was《Muye-dobo-tongji》was mentioned to refer《Gixiao-xinshu》, 《Muye-jebo》and 《Wubeizh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