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abor Wavelet Transform을 이용한 움직이는 표적에 대한 움직임 보상 개선

        신승용,명로훈,Shin, Seung-Yong,Myung, Noh-Hoon 한국전자파학회 2006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17 No.10

        본 논문에서는 움직이는 표적에 대한 ISAR(Inverse SAR) 영상의 움직임 보상 기법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움직이는 표적에 대해서 단순히 퓨리에 변환만을 이용하여 ISAR 영상을 얻으면 일반적으로 영상에 퍼짐 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영상의 퍼짐 현상에 대한 문제는 시간-주파수 변환 기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ISAR 영상의 움직임 보상 기법 중에서도 짧은 시간 퓨리에 변환과 Gator 웨이브릿 변환의 방법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각 알고리즘에 대한 성능을 나타내기 위해서 우리는 이상적인 점 산란체와 simulated MIG-25에 대한 산란파를 이용하여 움직임 보상이 된 ISAR 영상을 획득하였다. 또한 짧은 시간 퓨리에 변환과 Gabor 웨이브릿 변환을 이용하여 구한 ISAR 영상의 해상도를 나타내고 있다. This paper presents a technique for motion compensation of ISAR(Inverse SAR) images for a moving target. If a simple fourier transform is employed to obtain ISAR image for a moving target, the image is usually blurred. These images blurring problem can be solved with the time-frequency transform. In this paper, motion compensation algorithms of ISAR image such as STFT(Short Time Fourier Transform), GWT(Gabor Wavelet Transform) are described. In order to show the performances of each algorithm, we use scattering wave of the ideal point scatterers and simulated MIG-25 to obtain motion compensated ISAR image, and display the resolution of STFT and GWT ISAR image.

      • KCI등재

        중간언어 정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신승용 우리말학회 2015 우리말연구 Vol.43 No.-

        L2 학습자의 언어를 중간언어로 부르든, 근접체계로 부르든 용 어의 문제는 자의성의 문제이므로 사회적 약속의 문제이다. 하지만 L2 학 습자의 언어에 대한 정의는 순수 언어학적으로나 응용언어학적으로나 연 구를 위한 출발점이자 근간이다. 연구 대상에 대한 정의가 불분명한 상태 에서 대상을 제대로 연구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고에 서는 L2 학습자의 언어에 대한 기왕의 중간언어 정의에 대해 언어학적인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L2 학습자 언어의 실체를 구명하고자 하 였다. 기왕의 중간언어 정의에 따르면 L2 학습자의 언어는 L1도 아니고 L2도 아닌 제3의 언어이고, 그 제3의 언어는 학습자마다 개별적이어서 동 일한 중간언어를 가진 학습자가 존재할 수 없다. 그런데 아직까지 언어학 적으로 언어를 정의하는 핵심은 랑그인데, 이러한 중간언어는 동일한 중 간언어를 사용하는 언어 집단을 상정할 수 없다는 점에서 랑그 역시 설정 할 수 없는 언어이다. 본고에서는 L2 학습자의 언어 습득을 L1과 L1에 포함된 UG로부터 출발하여 여기에 L2가 점진적으로 확장되어 덧붙어 가는 과정으로 해석하였다. L2가 발달하는 과정에서 L1도 아니고 L2도 아닌 제 3의 영역이 존재해야 할 이유도 없고, 또 실제 그러한 영역이 존재한다는 실질적인 증거도 없다. L2 학습자의 언어가 발달한다는 것은 결국 L2가 정교화되는 과정이다. 그렇다면 정교화되기 전의 그것 역시 논리적으로 L2일 수밖에 없다. 다만 발달 과정에 있는 L2는 L2를 모국어로 하는 화자 의 L2와 달리 부족하고 불완전한 L2일 뿐이다.

      • KCI등재

        음 변화 및 음운 교체는 정말 규칙적인가

        신승용 우리말학회 2022 우리말연구 Vol.71 No.-

        본고에서는 그동안의 음운론 연구에서, 지금쯤 한 번 돌아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는 주제 2가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첫째, 통시적으로는 음 변화가 규칙적이라는 전제, 공시적으로는 규칙이 규칙적이어야 한다는 전제가 강조되면서 나타난 문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관점에서 통시적 연구에서는 어휘확산이론, 공시적 연구에서는 복수기저형에 대해 검토하였다. 둘째, 규칙이 타당해야 한다는 전제가 정말 타당한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규칙의 타당성보다는 있는 그대로의 음운 현상의 본질을 밝히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남해 대륙붕 PZ-1 시추공 주변 현무암 대지 구조의 CO<sub>2</sub> 지중저장용량 평가

        신승용,강무희,신영재,정순홍,Shin, Seung Yong,Kang, Moohee,Shinn, Young Jae,Cheong, Snons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20 자원환경지질 Vol.53 No.1

        CO<sub>2</sub> 지중저장은 현재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CCS(Carbon Capture & Storage) 저장기술 중 가장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기술로 평가되고 있다. 지중저장 대상 염대수층은 일반적으로 CO<sub>2</sub>가 초임계상태로 저장될 수 있는 지하 800 m 이상의 심도에 위치하고, 그 상부에 지표로의 CO<sub>2</sub> 누출을 막는 광역적인 불투수성 덮개암층이 분포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남해 대륙붕 탄성파 및 시추공 자료를 해석하여 덮개암으로 활용할 수 있는 현무암층과, 하부 염대수층이 발달하고 있는 현무암 대지 구조를 CO<sub>2</sub> 지중저장 유망구조로 제시하였다. 연구지역 주입대상 염대수층의 지중저장용량을 평가하기 위해 총 공극률은 시추공 감마 및 음파검층 자료를 이용하여 산출하였으며, 염대수층 구간의 온도/압력 조건을 고려하여 CO<sub>2</sub> 밀도를 계산하였다. 정확한 주입대상 염대수층의 체적을 산정하기 위해 x, y, z 축 방향으로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3차원 지질 격자 모델을 구성하였고, 염대수층 3차원 공간의 물성 분포를 지구통계학적 기법으로 예측하는 물성 모델링을 수행하여 총 공극률 값을 지질 격자에 할당하였다. U.S. DOE 방법을 이용하여 남해 대륙붕 현무암 대지 구조의 CO<sub>2</sub> 지중저장용량 평가 결과 평균 약 8,417만 CO<sub>2</sub>톤(최소 4,207만 ~ 최대 1억 4,379만 CO<sub>2</sub>톤)이 주입대상 염대수층 구간에 저장 가능한 것으로 예측되었다. CO<sub>2</sub> geological storage is currently considered as the most stable and effective technology for greenhouse gas reduction. The saline formations for CO<sub>2</sub> geological storage are generally located at a depth of more than 800 m where CO<sub>2</sub> can be stored in a supercritical state, and an extensive impermeable cap rock that prevents CO<sub>2</sub> leakage to the surface should be distributed above the saline formations. Trough analysis of seismic and well data, we identified the basalt flow structure for potential CO<sub>2</sub> storage where saline formation is overlain by basalt cap rock around PZ-1 exploration well in the Southern Continental Shelf of Korea. To evaluate CO<sub>2</sub> storage capacity of the saline formation, total porosity and CO<sub>2</sub> density are calculated based on well logging data of PZ-1 well. We constructed a 3D geological grid model with a certain size in the x, y and z axis directions for volume estimates of the saline formation, and performed a property modeling to assign total porosity to the geological grid. The estimated average CO<sub>2</sub> geological storage capacity evaluated by the U.S. DOE method for the saline formation covered by the basalt cap rock is 84.17 Mt of CO<sub>2</sub>(ranges from 42.07 to 143.79 Mt of CO<sub>2</sub>).

      • Pancreatic perforation caused by the Soehendra® retrieval device in a patient with chronic pancreatitis

        신승용,장성일,박준성,이동기 소화기인터벤션의학회 2017 International journal of gastrointestinal interven Vol.6 No.3

        Summary of Event An endoscopic retrograde pancreatic duct (ERPD) stent was inserted in a male patient with chronic pancreatitis via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to relieve chronic epigastric pain. After the procedure, an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scan showed localized peritonitis with a dislocated ERPD stent. The patient underwent an emergency operation, which revealed that the peritonitis was caused by perforation of the pancreatic parenchyma by the ERPD stent. Teaching Point A hydrophilic guide wire can puncture the pancreas during ERPD stent inser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the guide wire reaches the main pancreatic duct, especially in patients with chronic pancreatitis. Summary of Event An endoscopic retrograde pancreatic duct (ERPD) stent was inserted in a male patient with chronic pancreatitis via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to relieve chronic epigastric pain. After the procedure, an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scan showed localized peritonitis with a dislocated ERPD stent. The patient underwent an emergency operation, which revealed that the peritonitis was caused by perforation of the pancreatic parenchyma by the ERPD stent. Teaching Point A hydrophilic guide wire can puncture the pancreas during ERPD stent inser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the guide wire reaches the main pancreatic duct, especially in patients with chronic pancreatitis.

      • KCI등재후보

        /k/>/h/ 變化에 對한 考察

        신승용 국어학회 2003 국어학 Vol.41 No.-

        본고는 중세국어와 경상벙언의 /h/:/k/ 대응에 내재된 변화의 방향을 究明하고자 한 것이다. /h/:/k/ 대응에 내재된 변화는 중세국어 이후의 /h/>/k/가 아니라, 중세국어보다 앞선 시기에 일어난 /k/>/h/였다. 이는 기왕에 중세국어와 경상방언의 ‘ㅇ’:/k/ 대응에서 경상방언의 /k/를 중세국어보다 앞선 단계의 것으로 파악한 것과 평행하게 /h/:/k/ 대응에서도 경상방언의 /k/를 중세국어보다 앞선 단계의 것으로 이해한 것이다. 또한 중세국어의 ‘ㅇ[??]’을 설명하는 자리에서 상정해 온 ^(*)g>^(*)r>??가 음운론적으로는 결국 /^(*)k/>/h/>Ø(또는 /^(*)k/>/h/>[??]>Ø)임을 논증하였다. 그럼으로써 기왕에 별개의 사건으로 보아 왔던 중세국어와 경상방언의 /h/:/k/ 대응과 ‘ㅇ’:/k/ 대응을 하나의 통시적 사건으로 해석할 수 있게 되었다. This thesis aims for examining a direction of changing that is involved in the correspondence of Middle Korean /h/ and Kyeongsang Dialect /k/. Up to now,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Kyeongsang Dialect /k/ is changed from Middle Korean /k/. But I have proved that the a direction of changing in the correspondence of Middle Korean /h/ and Kyeongsang Dialect /k/ is not /h/>/k/ after Middle Korean, but /k/>/h/ before Middle Korean. That is to say, Kyeongsang Dialect /k/ is older than Middle Korean /h/ in the correspondence of /h/:/k/. It is parallel of the exiting explanation that Kyeongsang Dialect /k/ is older than Middle Korean 'ㅇ' in the correspondence of ‘ㅇ’:/k/. Also I demonstrate that a change of *g>*r>?? is eventually phonological /k/>/h/>Ø. *g>*r>?? had been established in a development of Middle Korean ‘ㅇ[??]’. As do so, I demonstrate that the ‘ㅇ’:/k/, /h/:/k correspondence of Middle Korean and Kyeongsang Dialect is the same diachronic change.

      • KCI등재

        레이다 표적 인식에서 표적에 대한 2차원 산란점 추출 및 ISAR 영상 형성에 대한 성능 개선

        신승용,임호,명로훈,Shin, Seung-Yong,Lim, Ho,Myung, Noh-Hoon 한국전자파학회 2007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18 No.8

        본 논문에서는 표적에 의해서 산란된 산란파에 대한 2차원 산란점 추출 및 2차원 ISAR(Inverse SAR) 영상 형성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표적 에 대 한 2차원 산란점과 ISAR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에는 일반적으로 2-D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영상의 해상도 면에서 질이 떨이진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퓨리에 변환을 바탕으로 한 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고해상도 신호처리의 방법이 개발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2차원 산란점 추출 및 ISAR 영상을 형성하기 위해서 2-D MEMP 알고리즘과 2-D ESPRIT 알고리즘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각 알고리즘에 대한 성능을 나타내기 위해서 이상적인 점 산란체와 F-18 전투기에 대한 산란파를 이용하여 2차원 산란점을 예측하고 2차원 ISAR 영상을 획득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techniques of 2-D scattering center extraction and 2-B ISAR(Inverse SAR) image formation for scattering wave which is scattered by a target. In general, 2-D IFFT is widely used to obtain 2-D scattering center and ISAR image of targets. But, this method has drawbacks, that is poor in a resolution aspect. To overcome these shortcomings with the FT(Fourier Transform)-based method, various techniques of high resolution signal processing were developed. In this paper, algorithms of 2-D scattering center extraction and ISAR image formation such as 2-D MEMP(Matrix Enhancement and Matrix Pencil), 2-D ESPRIT(Estimation of Signal Parameter via Rotational Invariance Techniques) are described. In order to show the performances of each algorithm, we use scattering wave of the ideal point scatterers and F-18 aircraft to estimate 2-D scattering center and abtain 2-D ISAR im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