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RF PCVD 에 의한 DLC 박막합성과 Tribology특성평가

        김성영,이상현,신승용,고명완,Kim, Seong-Yeong,Lee, Sang-Hyeon,Sin, Seung-Yong,Go, Myeong-Wan 한국재료학회 1997 한국재료학회지 Vol.7 No.12

        DLC(diamond-like carbon)박막을 RF PCVD법으로 증착하여 일반적인 증착특성과 마찰.마모특성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증착속도, 박막경도, 내무압축응력 및 박막내의 수소량 측정을 통해 일반적인 증착특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증착된 박막의 C-H 결합구조와 물질특성 분성을 위해 각각 FTIR 및 Raman분광분석을 행하였다. 박막의 마찰계수와 내마모특성은 Pin-on-disk형 마찰시험기를 이용하여 상기의 증착조건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DC self-bais, 즉 충돌에너지가 커지면 박막의 증착속도와 경도는 대체로 증가하고, 박막내의 압축응력은 최대값을 가지다가 다시 감소됨을 알 수 있언ㅆ다. 또한 박막내의 수소량은 급격히 감소하다가 포화됨을 알 수 있었다. 얻어진 박막의 마찰계수는 최소 0.08로 분위기가 dry일 때 더 작으며 내마모성은 이온의 충돌에너지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모재인 Si-wafer보다 훨씬 큼을 알수 있었다.

      • 한국산 깡충거미(거미목: 깡충거미과)의 지리적 분포 경향

        김주필(Joo-Pil Kim),신승용(Seung-Yong Sin),장지현(Ji-Hyun Jang),박종은(Jong-Eun Park) 한국거미연구소 2013 한국거미 Vol.29 No.1

        본 연구에서는 현장조사 및 문헌자료 분석을 토대로 한국 깡충거미의 분포 및 종 구성을 식생 및 지형의 유형에 따라 산, 섬, 내륙으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했다. 산림식생에서는 예봉산(31종), 오대산(17종), 속리산(16종)에서 종 다양성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산림식생을 제외한 평지에서는 가평(8종), 남해(8종)에서 종 다양성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섬으로는 제주도(41종), 울릉도(20종), 임자도(19종)에서 종 다양성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종 별로는 흰눈섭깡충거미(Evarcha albaria), 털보깡충거미(Carrhotus xanthogramma), 살깃깡충거미(Mendoza elongate), 불개미거미(Myrmarachne japonica), 까치깡충거미(Rhene atrata), 눈깡충거미(Phintella arenicolor)가 가장 많은 지역에서 분포했고, 흰수염깡충거미(Menemerus fulvus), 해안깡충거미(Hakka himeshimensis)는 섬 및 해안지역에서 다수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갈색눈깡충거미(Phintella abnormis), 검은날개무늬깡충거미(Telamonia vlijmi), 어리개미거미(Synagelides agoriformis), 네온깡충거미(Neonreticulatus)는 주로 산 지역에 다수 분포하고 있었다. 한국 고유종인 명환까치깡충거미(Rhene myunghwani)와 금골풀무깡충거미(Helicius kimjoopili)는 백령도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나 서식지의 보호 및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I investigated geographical distribution pattern of jumping spiders in Korea , based on literatures and field surveys. Types of survey habitats were classified into island, inland and mountains. In mountainous areas, jumping spiders of 31 species in Yebong-san, 17 species in Odae-san, and 16 species in Songni-san are distributed, respectively. ln island areas, 41 species in Jeju-do, 20 species in Ullung-do , and 19 species in lmja-do were distributed. ln inland areas, 8 species in Gapyeong and 8 species in Namhae were distributed. Evarcha albaria, Carrhotus xanthogramma, Mendoza elongata, Myrmarachne japonica, Rhene atrat and Phintella arenicolor were the most common species. Menemerus fulvus and Hakka himeshimensis are distributed only on the island . Phintella abnormi, Telamonia vlijmi, Synagelides agoriformis and Neon reticulatus were distributed mainly on the mountains. Endemic species Rhene myunghwani and Helicius kimjoopili were found only on Baengnyeong-d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