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규모 유역에서 Clark 방법과 ModClark 방법을 이용한 유출해석 시적정 소유역 분할 개수에 대한 연구

        이동훈,최종인,신수훈,이재응,Lee, Donghoon,Choi, Jongin,Shin, Soohoon,Yi, Jaeeung 대한토목학회 2013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3 No.1

        본 연구에서는 강우-유출 모형을 이용하여 소유역 분할에 따른 유출변화 특성을 파악한 후 다수의 시험유역에 대해 적합한 소유역 분할개수를 제시하였다. 강우-유출과정을 모의하기 위하여 HEC-HMS 내의 집중형 모형인 Clark 방법과 준분포형 모형인 ModClark 방법을 시험유역인 안동댐, 임하댐 및 평창강의 3개 유역에 적용하였다. 각각의 시험유역에 대하여 1개, 3개, 5개, 6개, 7개, 9개, 10개, 12개, 15개의 9가지 case로 등면적 분할을 하였으며, 모의된 첨두유량과 첨두시간을 실제 관측된 수문곡선과 비교 분석하였다. 시험유역에 대한 소유역 분할에 따른 유출모의 결과 소유역 분할 수가 증가할수록 첨두유량은 증가하였고 첨두시간은 짧아졌으며 이러한 경향은 일정 분할개수 이후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경향이 감소하기 시작하는 소유역 분할 수를 최소분할개수로 나타내었으며, 첨두유량 및 첨두시간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을 때 안동댐 및 임하댐 유역은 최소분할개수가 5개, 평창강 유역은 7개로 분석되었다. In this study, flood runoff characteristics is analyzed according to subbasin divisions by physically based rainfall-runoff model and appropriate number of subbasin divisions is suggested for midsize test basins. The Clark method, a lumped model in HEC-HMS, and the ModClark method, a semi-distributed model are used to simulate rainfall-runoff processes on Andong-reservoir basin, Imha-reservoir basin, and Pyeongchang river basin. The test basins were divided into nine subdivision cases by equal-area subdivision method such as single basin, 3, 5, 6, 7, 9, 10, 12, and 15 subbasins, and compared the simulated and observed values in terms of the peak flow and the peak time. The simulation results indicated that the peak flows tended to increase and the peak time shifted earlier as the number of subdivisions increased and this tendency weakened after the certain number of subdivisions. In this research, the specific number of subdivision was defined as the minimum number of subdivision considering both peak flow and peak time. Consequently, the minimum number of subdivisions is determined as 5 for Andong and Imha reservoir basins and 7 for Pyeongchang river bas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