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한글개역개정판 검토(수-대하)

        신득일 高神大學校 2000 論文集 Vol.25 No.-

        본 개정판은 새로운 번역판이 아니기 때문에 문제가 있어보이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일일이 원문을 대조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물론 개역성경 자체가 지니는 문제점도 여기서는 생략한다. 전체적으로 내용을 쉽게 이해하는데 역점을 두고 개정했다고 볼 수 있는데 특히 어려운 말을 쉽게, 고어를 현대어로, 애매한 말은 분명하게, 상스러운 말은 정중하게, 어색한 표현은 자연스럽게 고쳤다고 볼 수 있다. 그 내용을 간략하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 야웨를 바라는 자 : 이사야 40:27~31 주석

        신득일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00 고신신학 Vol.- No.2

        The hypothesis on Deutero-Isaiah, known as an anonymous author who is assumed to have lived in the period of Babylon Exile, is challenged by recent studies. According to the theory, the whole book of Isaiah should be recorded by an author who lived in the period of pre-Exile on the grounds that the book forms a unity in synchronical and diachronical perspective and the linguistic evidence such as the distinction between scriprio plena and scriptio defectiva. As a result, there disappeared and apparent reason to deny that Isaiah wrote this whole book even though a clear-cut record that he did it is not found in the book. The historical background that Cyrus expanded his power by conquering Mesopotamian countries one by one, must have made the Israelites in Babyon more unstable. In this hopeless situation, the message of this text has a special meaning for them. This text forms a climax as the last part of five sections (12-17; 18-20; 21-24; 25-26; 27-31). Each one consists of rhetorical questions, grounds and conclusions. Such rhetorical style might have been helpful for hearers to understand the message. The text relatively has a fine form with parallelism and chiasmus though it seems not to be a sophisticatedly intended sturecture. Israelite complaint at Yahweh describes that Israel lost true knowledge of God and that their faith was shaking because the grievance was not justifiable. Israelite ignorance about Yahweh and his attribute such as his eternity, omnipotence, omniscience and faithfulness caused the people to become frustrated. Tahweh revealed himself as a creator of the heavens and the earth. Especially, the motive of creation theologically plays a cardinal role in the lives of the Israelites in Babylon. Isaiah's proclamationof message introducing Yahweh as the creator must be a great challenge to the pagan circumstances: Marduk, the highest god of Babylonian pantheon is not the creator but rather Yahweh is. The only way that the captive can overcome their facing despair is to possess faith in acknowledgement of Yahweh as creator. The faith in God's creation as primary Christian doctrind functions as an instrument with which they can overwhelm distress in any situation. As a result, those who hope in such a creator will renew their strength and will soar on wings like eagles. Thus, Christian hope is in the name of Yahweh who created the heavens and the earth.

      • 모세의 선지자적 권위(민 12)

        신득일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09 고신신학 Vol.- No.11

        본고는 민수기 12장의 반란 사건을 계시역사적인 관점에서 주석한 것이다. 본문은 마치 몇 개의 전승을 편집한 것처럼 보이지만 하나의 주제를 가진 통일성있는 이야기이다. 그것은 모세의 선지자적인 권위에 관한 것이다. 이 반란 사건에서 모세의 선지자 직분에 대한 도전하기 위해서 그의 결혼문제가 실마리로 사용되었다. 이 문제는 하나님께서 주도적으로 해결하셨다. 모세는 다른 선지자와는 달리 하나님과 대면하여 말하는 유일한 선지자라는 것이다. 또한 그는 하나님의 백성을 돌보는데 충성된 일꾼임을 인정하셨다. 동시에 이 사건으로 말미암아 미리암은 문둥병이 걸렸다. 그녀는 이 반란을 주도했기 때문이다. 문둥병은 미리암이 하나님의 언약 공동체에서 쫓겨나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것은 구원을 위태롭게 한다. 모세의 선지자적인 권위를 인정하지 않는 것은 그가 기록한 오경을 믿을 수 없고, 오경을 믿지 않는 것은 그리스도를 믿을 수 없는 것이다. 그래서 모세의 선지자적 권위는 현대교회에서도 여전히 인정받아야 한다. This article is an exegeical-homiletical study about a rebellion in Number 12 on the basis of revelational history. It appears that the text is composed of several stories but it has a unity of narrative with one apparent theme: it is about Moses' authority as a prophet. Miriam and Aaron used his intermarriage with a Cushite as a means to challenge his prophetic authority. Yahweh took the initiative to solve this matter. Herecognized the uniqueness of Moses' office by mentioning his special medium of prophecy: "With him I speak mouth to mouth." At the same time, Miriam was leprous because she agitated this rebellion. She should be shut out of the covenantal community of Israel. It means that her salvation is threatened. Those who do not acknowledge Moses' special authority as a prophet cannot accept the Pentateuch as an authoritative book written by him. Those who do not take the Pentateuch as an authoritative book cannot believe Christ. Thus, the uniqueness of his prophetic position is still relevant.

      • 구약중심주제의 논쟁점과 신학적 주석관점으로서의 구속사

        신득일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02 고신신학 Vol.- No.4

        본고는 구약의 중심주제로서 구속사를 제시하고 이 주제가 신학적 주석관점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기 위하여 쓰였다. 구약본문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한 다양한 주제가 있는데 그 자체로 어느 정도는 가치를 지닌다. 그러나 어떠한 개념도 구약의 실체를 전체적으로 적절하게 파악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넓은 개념은 없다. 본고에서는 구속사가 전포괄적인 주제는 아니라 할 지라도 다른 주제에 비해서 구약의 더 많은 부분을 정당하게 밝힐 수 있는 개념으로 제시된다. 이 주제는 구약과 신약, 두 성경을 연결 시키고 이스라엘 종교생활과 신앙의 근거가 되며 구약의 성격을 설명하는데 독특한 성격을 지닌다. 또한 성경 자체가 제시하는 관점이기도 하다. 그래서 구속사가 구약을 주석하는 신학적 출발점으로 채택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렇지만 이 개념이 다른 주제에 대해서 배타적인 입장을 취하지는 않는다. 구속사는 하나님의 영원한 작정이 그리스도 안에서 통일성을 이루는 시공간 속에 실현되는 역사로서 구약뿐만 아니라 성경 전체의 중심주제가 된다. 그것은 이 개념을 적절하게 다루지 않고는 정당한 해석을 할 수 없다는 말이다. 이 중심주제는 또한 구약해석을 위한 유용한 신학적 접근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왜냐하면 성경이 본문 의미 파악을 위해서 구속사에 관심을 둘 것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is to suggest redemptive history as a center of the Old Testament and to evince that the theme can be employed as a perspective of theological exegesis. There are different theological themes, motifs and concept available for exposing the meaning of Old Testament text: covenant, kingdom of God, promise and fulfillment, redemptive history, the name Yahweh, God himself etc. Despite that they all bear their own worth as themes of the Old Testament to some extent, any concept is not broad enough to include adequately within its grasp the totality of the Old Testament reality. In this article, redemptive history, introduced as "Heilsgeschichte" in German, has preference to be adopted in this study to interpret the Old Testament. It may not be going to far to state that redemptive history plays such a significant part in the Old Testament that it is remarkably broad enough to, at times, be compared with other themes, even if it is not an all-inclusive center. This concept links the two Testaments together and is acted as a ground of religious life and faith of Israel. Redemptive history is also able to be used as a comprehensive concept relating to a varity of other themes such as covenant, kingdom of God, promise and fulfillment. The redemptive history theme has distinctive character opposed to making use of the Old Testament in other religions such as Judaism and Islam. In many respects, it may deserve to be adopted as a theological point of departure to interpret the Old Testament. The concept of redemptive history is a theological presupposition that is not set forth but is set up and anticipated by the Bible itself. The redemptive history which comprises the totality of history and forms unity in Christ and progressive realization of God's eternal councel in time is a central theme of the Scriptures. As a result, it appears impossible to properly interpret Old Testament texts without appropriate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redemprive history. The redemptive history can be placed as a useful methodology of theological approach to biblical interpretation because the Bible itself requires the bestowing of attention upon redemptive history, both in exegesis and in preaching. The inevitable consequence of not employing a biblical perspective in textual exposition is that the exegetes fail to function as servants of the Word. Instead they do the opposite, namely treating the Word as if it were their servant.

      • 전승사 비평에 대한 평가

        신득일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03 고신신학 Vol.- No.5

        By taking a simplistic view, modern biblical scholars can easily deem traditio-historical criticism to be nothing more than a method of biblical interpretation related to ascertaining the historical process formative in shaping the traditions which ultimately culminated in Scripture. In particular, it is said that the oral tradition plays a cardinal part in this study. This criticism starts with a sceptical view on the divine origine of the Old Testament and the reliability of the biblical literature because of a close association with Formgeschichte and Religionsgeschichte. Advocates of this method believe that the Old Testament is a complex in which various traditions, such as sagas, spread in the early history of Israel had been woven into the comprehensive picture at a later stage of their development. In addition, the origin of the tradition is mainly explained within the category of Religionsgeschichte. It reconstructs the supposed tradition-history behind or beneath the text, which is de facto equated woth the history of salvation (which never occurred as it is reported) and does not care whether the present form of the biblical texts portrays factual history. In the principle interpretation of the Bible as God's revelation in history, the Bible's own nature and aim should be reflected. If not, no one can strive to attain an interpretational destination, which is the intention for use as a method of biblical exegesis because it does not treat historicity and God's revelation in the Bible properly. 간단히 말해서 전승사 비평은 성경에서 최종적으로 기록된 전승을 형성하는 역사적 과정을 중시하는 성경해석 방법이다. 특별히 여기서는 구전의 역할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이 방법론은 양식사와 종교사학파적 입장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데 그것은 구약의 신적 기원과 성경 문헌의 진의성에 대한 회의적인 입장에서 출발한다. 이 비평의 지지자들은 구약은 이스라엘의 역사 초기에 산재해 있던 민담과 같은 다양한 전승들이 후대에 그들의 신앙체계를 따라서 통일성있는 집성체로 형성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그 전스으이 기원을 설명하는데서 종교사학파의 입장을 취한다. 구약연구에서 이 방법론은 본문 배후 혹은 저변에 있다고 가정하는 전승사를 재구성하는데, 그것은 사실상 결코 성경에 기록된 대로 일어나지 않은 '구속사'와 일치하고, 성경본문의 현재 형태가 실제 역사를 묘사하는지에 대해서는 관심을 가지지 않는다. 원리적으로 역사속의 하나님의 계시인 성경을 해석할 때는 성경 자체의 성격과 목표가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아무도 성경 본문이 의도하는 해석 목표에 도달하지 못할 것이다. 전승사 비평은 성경에 나타난 역사적 사건과 하나님의 계시를 정당하게 다루지 않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성경주석의 방법으로 사용하는데 적합하지 않다.

      • 여리고성 재건에 나타난 저주 : 왕상 16:24

        신득일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08 고신신학 Vol.- No.10

        본고는 여리고 재건에 나타난 하나님의 저주를 표현한 열왕기상 16장 34절에 대한 주석적 연구이다. 아합의 죄목과 엘리야의 출현사이에 배치된 본문의 내용은 그의 정책에 대한 하나님의 개입을 요청한다고 볼 수 있다. 여리고 재건에 대한 아합의 정책은 그 도시를 요새화하여 모압의 침략으로부터 안전을 도모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는 그 도시에 대한 하나님의 예언의 말씀을무시했다. 그가 여리고를 요새화하려는 것은 그 도시에 하나님께서 하신 은혜로운 사역을 지워버리고 자신의 능력을 보여주려고 한 것이다. 그로 말미암아 저주를 받은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그 저주의 내용은 히엘의 장자와 계자를 제물로 희생시킨 것이다. 이 사건은 하나님의 약속은 반드시 성취되며, 하나님의 관심은 복음에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article is an exegetical study of 1 Kings 16:34 which mentions God's curse on the rebuilding of Jericho. The content of the text, which is arranged between the wickedness of Ahab and the appearance of Elijah, appears to require God's intervention in Ahab's policy. Ahab's policy related to the rebuilding of Jericho was a plan to provied satety from Moab's invasion by fortifying the city. However, he ignored the prophetic word of Yahweh on the city which was spoken by Joshua. His intention to fortify the city was to show his political and military power by erasing God's gracious work which was seen in Jericho's destruction. That is why the curse was on the city: Hiel sacrificed his sons as a foundational sacrifice. This event demonstrates that God's promise is surely fulfilled and that he is primarily interested in his gospel.

      • 법궤위의 그룹에 대한 주석적 고찰

        신득일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05 고신신학 Vol.- No.7

        그룹에 대한 일반적인 형태는 고대근동에 산재해 있지만 법궤위의 그룹 형태와 일치하는 것은 없다. 그래서 그 형태를 재구성하기 위한 가장 좋은 시도는 성경본문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그러나 구약 본문은 펼쳐진 두 날개를 제외하고는 그룹의 정확한 형태를 묘사하지 않는다(출 25:18; 37:7-9). 그룹의 펼쳐진 날개와 관련하여, 여러 학자들은 이런 고고학적 발굴물이 야웨가 날개펼친 그룹에 좌정하시는 것을 예증한다고 보고, 보좌의 기능을 왕의 특징을 지녔다고주장한다. 그러나 구약의 전 본문을 통하여 그룹이 보좌라는 암시는 찾아보기 어렵다. 구약본문은 법궤의 다양한 기능을 보여주고 있다: 1)생명나무로 가는 길을 지키는 경계인으로서의 그룹; 2) 성막의 휘장과 베일에 수놓인 그룹(출 26:1); 3) 하나님의 동작을 언급할 때 사용된 그룹(삼하 22:11; 시 18:11; 겔 1, 10); 44) 솔로몬 성전의 그룹(왕상 8). 그래서 이 중에 어느 것도 하나님의 보좌로 볼 수 없다. 오히려 성경본문은 그룹의 다양한 기능을 보여준다. 법궤위의 그룹 형상은 우선 초월적인 주권과 전능, 영광과 위엄과 같은 야웨의 속성을 나타낸다. Even though the general figure of the cherubim is abundantly attested in the Ancient East, the figure of the cherubim over the ark appears indentical to nothing else. So, the best way to attempt reconstructing a picture is to return to the text. However the Old Testament does not depict the definite form of the cherubim except for two outstretched wings (Ex. 25:18-20; 37:7-9). With respect to the outstretched wings of the cherubim, many scholars contend that these archaeological finds illustrate that the winged cherubim over which Yahweh is sitting had the function of the throne as a royal character. However, there is no hint that the cherubim are throne throughout the text of the Old Testament. The biblical materials display various functions of the cherubi,: 1) cherubim as guardians of the way to the tree of life (Gen. 3:24) 2) cherubim on the ten curtains of the tabernacle (Ex. 26:1) and on the veil (Ex. 26:31) 3) cherubim involved in reference to God's movement (2 Sam. 22:11; Ps. 18:11; Ez. 1, 10) 4) cherubim in the temple of Solomon (1 King. 8). The biblical texts display various functions of the cherubim. The figure of the cherubim on the ark primarily represents Yahweh's attributes such as transcedent sovereignty, omnipresence, glory, and majesty.

      • 구약에 나타난 야웨(하나님) 경외의 삶

        신득일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02 고신신학 Vol.- No.3

        본고의 목적은 구약성경에 나타난 '야웨 경외'의 의미를 살펴보고 그 현실성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경외'란 히브리어 원형 ירא 를 번역한 것인데 그 어원은 확실하지 않다. 이 단어는 짧은 본문에서도 다양한 의미를 지니기에 그 정확한 의미는 문맥 가운데서만 파악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이 말은 하나님과 거리감을 두는 공포감을 나타내기도 하는데 그것은 죄지은 인간에 대해서 하나님이 공포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신명기에서는 이 경외라는 말이 사랑의 개념과 맞물려있다. 야웨를 경외하는 것은 순종이 따르는 행위이기 때문에 경외는 사랑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아울러 경외란 야웨를 섬긴다는 말과 나란히 쓰여서(신6:13; 삼상 12:14, 24; 왕하 17:33, 36) '예배하다'란 의미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예배의 방법과 태도와도 관련해서 사용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쓰인다. 또한 신뢰나 믿음이란 말의 동의어로도 쓰인다. 재미있는 것은 구약에는 '믿음이 있는 자가 복이 있다'는 표현 대신에 '여웨를 경외 하는 자가 복이 있다'고 한다(시 112:1; 115:13; 128:1). 야웨를 경외하는 자는 물질적인 복을 받아서 풍요로운 삶을 보장 받는다. 그러나 복중의 복은 역시 하나님과 친밀한 교제를 나누는 것인데 이 특권은 야웨를 경외하는 자에게 주어진다. 욥기와 잠언에서는 '야웨 경외'는 인생문제를 궁극적으로 해결하는 지혜로 나타나는데, 이것은 하나님에 대한 인간의 전적인 신뢰인 동시에 모든 인간 행위에 대한 도덕적 근본원리가 된다. 같은 지혜서인 전도서에서는 야웨 경외가 인간의 허무를 극복하고 삶의 의미를 되찾아 주는 핵심적 주제로 자리잡고 있다. 야웨 경외는 기독교 윤리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나님이 인간 삶의 규범을 제시하셨기 때문에 그 분을 경외하는 것은 개인윤리, 직업윤리, 사회윤리와 같은 윤리적 규범을 준수하는 동기가 된다. 이 동기가 사라질 때 자기 중심적 행위가 나타난다. 끝으로 본고는 '야웨 경외'가 모든 시대를 초월해서 세속화에 대한 적절한 처방이 될 뿐만 아니라 모든 가치 기준이 상대화되는 포스트모던 시대에도 절대적 기준을 제시하는 중요한 개념임을 역설한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fear of Yahweh and to underscore its relevance. The term 'fear' is derived from the Hebrew root, ירא , whose etymology is uncertain. The precise meaning of this word can be elucidated only in the specific context since it can have a variety of connotation even in a short text such as Jonah 1:5-16. Basically, the term 'fear' stands for a feeling of terror for God in the heart of man that distances him from God. God sometimes becomes an object of terror for man. However, the fear of Yahweh in Deuteronomy is interwoven with the concept of the love for Yahweh. Its close relationship to love is natural because the fear of Yahweh should be proven by obedience to Yahweh. Furthermore, the term, 'fear' is employed to denote ‘worship’, by putting the expression, ‘to serve Yahweh' along side with it (Deut. 6:13; 1Sam. 12:14, 24; 2King. 17:33, 36). It is used synonymously with the terms, 'trust' or belief as well.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the locution, 'blessed are those who fear Yahweh' is used and not the expression, 'blessed are those who are faithful’ (Ps. 112:1; 115:13; 128). Those who fear Yahweh are guarented to affluent lives by blessing. Above all, the most significant blessing is intimicy with God which is given as a privilege to those who fear Yahweh. The books of Job and Proverbs describe the fear of Yahweh as a wisdom which is able to eventually solve problems of life. This wisdom is not only man s total trust in God but also a moral principle for human behaviour. The fear of Yahweh is a central theme in Ecclesiastes, which is a part of Wisdom literature, and which helps to find the meaning of life, by overcoming human vanity. The fear of Yahweh plays a cardinal part in the field of Christian ethics also. To fear Him motivates us to observe individual and social ethical norms because these norms originated from God. However, human centered behaviour emerges when this motivation is absent. Finally, this article maintains that the fear of Yahweh is not simply an eternal and proper prescription to secularization but also a substantial idea offering an absolute standard for post-modern times when every value is relativ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