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생분해성 포트의 수분흡수 정도에 따른 인장 및 압축강도 평가

        이덕현 ( Deog Hyun Lee ),이준현 ( Jun Hyeon Lee ),칸파와드 ( Fawad Khan ),최경문 ( Gyeong Mun Choi ),문병은 ( Byeong Eun Moon ),시할라스타비사크 ( Thavisack Sihalath ),부젤아닐 ( Anil Bhujel ),아룰모지엘란제챤 ( Elanchezhian Arulmozhi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0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1

        국내의 기계정식용 포트는 대부분 환경오염을 유발하고 재사용이 어려운 플라스틱 포트를 이용한다. 이러한 상황들로 여러 가지 재질의 생분해성 포트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고, 이에 대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지를 이용한 생분해성 포트를 절삭에 적합한 물리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수분흡수 정도에 따른 인장 및 전단강도를 측정하였다. 생분해성 포트의 물리적인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포트를 면으로 절단 후 이용하였으며, 육묘포트의 특성 파악을 위해 수분을 흡수한 포트, 수분을 흡수하지 않은 포트로 구분하여 인장 및 전단강도를 측정하였다. 수분을 흡수한 포트를 재현하기 위해 생분해성 포트를 30초 동안 물속에 잠수시켜 사용하였다. 실험에는 LLOYD사의 EZ20 물성실험기를 사용하였다. 인장강도 실험 설정은 전부하 5.6 N, 이송속도 100 mm/m, 이송거리 15 mm로 설정하여 측정하였다. 수분을 흡수하지 않은 상태의 인장강도는 평균 57.52 N의 강도로 나타났고 수분 흡수 상태에서의 인장강도는 평균 2.21 N의 강도로 나타났다. 전단강도의 실험 설정은 전부하 5.6 N, 이송속도 100 mm/m, 이송거리 40 mm로 설정하여 측정하였다. 수분을 흡수하지 않은 상태의 전단강도는 평균 91 N의 강도로 나타났고 수분 흡수 상태에서의 전단강도는 15.6 N의 강도로 나타났다. 생분해성 포트의 인장 및 전단강도는 수분 흡수 후 강도가 크게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생분해성 재료인 고지의 특징이 수분에 약하다는 단점을 보여주는 예이지만, 추후에 토양 내에서 분해되어 흡수되는 과정에서 매우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 무창기공형 집열기 내 잉여 에너지의 축열을 통한 축사 난방 효율 평가

        문병은 ( Byeong Eun Moon ),쿠마르바삭자얀타 ( Jayanta Kumar Basak ),아룰모지엘란제챤 ( Elanchezhian Arulmozhi ),이준현 ( Jun Hyeon Lee ),이덕현 ( Deog Hyun Lee ),시할라스타비사크 ( Thavisack Sihalath ),김현태 ( Hyeon Tae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0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1

        축사 내 무창기공형 집열기의 적용은 겨울철 환기 및 구조적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 공기 질 또한 개선할 수 있는 좋은 해결책이다. 그러나 특정기간 내 발생하는 열에너지는 오히려 축사내부를 과열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축사 내 무창기공형 집열기의 적용 시 발생하는 초과 열에너지의 저장 및 활용을 위해 잠열축열재를 적용하여 축사 내부온도 변화 및 축열 시스템의 열 성능을 각각 분석하였다. 실험은 경상대학교 내 실험돈사에서 수행되었으며, 무창기공형 집열기는 실험돈사 남쪽 벽면 내 10 m2의 넓이로 설치하였다. 축열 시스템은 돈사 내 집열기가 설치된 남쪽 벽면에4.08 m2의 넓이로 설치하였으며, 실험에 사용된 잠열축열재는 Na2SO4ㆍ10H2O로 총 91.98 kg을 설치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집열기 내부온도는 일 중 외기온 대비 약 35℃ 높은 최고 65℃까지 상승하였으며, 일사량과 집열기의 효율은 비선형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R2 = 0.58). 집열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초과 에너지의 축열 및 방열을 통해 실험기간 동안 평균 축열 시간은 약 5시간 50분, 평균 방열시간은 약 2시간 33분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축열 시스템 내 축열에 따른 공급 공기의 최고 온도는 최고 약 30℃ 감소한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방열 직후 공급 공기의 온도는 약 10℃ 상승하였다. 일사량과 UTC 내 에너지 발생량(R2 = 0.96) 및 일사량과 축열 에너지(R2 = 0.87)의 비선형적 관계를 각각 검증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집열기 내 평균 에너지 발생량은 약 13,548.21 kcal/day, 평균 축열 및 방열 에너지는 약 7,739.78 kcal/day, 1,793.47 kcal/day로 각각 측정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