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촌마을단위 경관진단지표 적용 및 경관형성방안에 관한 연구 -충청북도 9개 마을을 대상으로-

        송희중 ( Hee Jung Song ),김대식 ( Dae Sik Kim ),도재형 ( Jae Heung Doh ),구희동 ( Hee Dong Koo ) 한국농촌계획학회 2013 농촌계획 Vol.19 No.4

        본 연구에서는 농촌마을의 공간중심의 통합적 경관계획 수립에서 벗어나 마을경관의 특성을 계획에 반영할 수 있도록 현재 농촌마을의 경관수준을 진단하고 농촌마을 경관형성을 위해 개선되어야 할 경관요소와 개선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구체적으로 농촌마을단위 경관진단지표의 점수화 체계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적용하여 활용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지금까지 많은 연구들이 어려워했던 정량적인 경관진단을 시도하였다. 객관적 점수화를 위해 5점 척도로 평가하였으며, 기존의 연구들의 점수화 방식을 참조하고 수정하거나 새로 도입하여 각 지표들의 점수화 방식을 설정하였다. 경관진단지표의 적용을 위해 충청북도 지역의 2011년부터 2013년까지 경관형성계획을 수립했거나 수립 중에 있는 9개 마을을 선정하였는데, 비교적 경관 형성계획 수립에 적극적인 지역을 대상으로 거북이권역(청원군), 대학찰옥수수권역(괴산군), 백마권역(괴산군), 송면권역(괴산군), 수레울권역(음성군), 상촌면(영동군), 칠성면(괴산군), 맹동면(음성군), 덕산면(진천군)으로 정하였다. 농촌마을별 현장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최종 평가 점수를 산출하여 마을내부경관과 마을주변경관으로 나누어 진단하였다. 경관진단결과 전반적으로 권역단위 마을이 읍면소재지에 비해 평균 20%이상 경관이 우수하였는데 주요 원인으로는 권역단위 마을이 마을경관에서는 풍수적 입지의 안정감, 마을내 식생, 문화역사자원이 우수하고, 마을 주변경관에서는 농지, 마을과 인접한 녹지, 물환경자원이 높게 평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반시설, 건축물, 공공가로, 편익시설은 9개 마을 모두 정비 미흡과, 시설 노후, 정돈이 안 되고 산만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송면권역이 가장 경관이 양호하였으며 상당히 많이 도시화 된 읍단위 마을로서는 맹동면과 덕산면의 경관이 가장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읍면지역임에도 상촌면, 칠성면은 권역단위 마을보다도 우수한 입지와 마을식생, 역사문화 시설 자원 보유 및 유지로 높게 평가되었다. 지표별 분석결과, 마을경관 중 경관형성이 시급한 것은 기반시설, 건축물, 공공가로, 편익시설의 정비로 나타났으며, 마을 주변경관은 토지환경자원, 물환경자원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관진단 결과 현재 경관 수준별 정책적 지원 판단 기준으로 살펴보면, 맹동면과 덕산면을 제외한 7개 마을은 본 연구에서 정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관수준 60%를 상회하지만 마을경관과 주변경관으로 나누어 마을경관을 보면 상촌면을 제외한 8개 마을이Ⅲ등급(60%) 이하였으며, 마을주변경관은 덕산면 1개 마을이 Ⅲ등급 이하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관진단결과의 검증을 위해 실시한 각 마을별 경관 계획가 경관진단 종합점수에서는 본 연구자가 진단한 결과보다 마을 전체로는 225점(7%) 높게 평가되었으며, 권역단위마을은 평균 136점(4%), 읍면단위마을은 337점(12%) 높게 평가되었다. 마을별로는 대부분 마을이 10% 이내의 오차를 보이며 본 연구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낸 반면 맹동면, 덕산면과 같이 도시와 농촌이 혼재돼 있는 마을은 20%이상 차이를 나타냈다. 대체적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경관진단지표에 의한 진단결과가 권역별로 심층 경관계획을 수립한 전문가에 의한 진단결과가 거의 유사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접근하는 농촌마을단위 경관진단지표의 적용이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므로 농촌경관형성계획 수립 이전 농촌마을별 경관수준 진단에 따라 경관개선이 시급하고 중요도가 높은 요소를 찾아 계획을 수립하고 집중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등 다양한 정책적 접근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In this study, it propose what the landscape elements is to be improved urgently and how to improve landscape by reflecting the rural village characteristics away from the spatial integrated landscape planning. The study area for landscape research is selected as the 9 rural villages in Chungcheongbuk-do, and research is done by using village unit landscape diagnostic index(VULDI). the result is shown that average VULDI value of the rural village zones is bigger than one of the town village zones with difference of 15%. Two zones of Chilseong-myeon and Sangchon-myeon among the town village zones are appeared to be similar with the rural village zones in landscape level by VULDI value. Generally, the rural villages to maintain the good landscape have the low population and high engagement rate in agriculture. Looking political support criteria at the landscape level, the seven zones except Deoksan-myeon and Maengdong-myeon have high VULDI value more than 60%, which means that it seems unnecessary to support political landscape improvement. However, when it is divided into two parts of the village inside landscape and the surrounding landscape, 8 rural village zones except one zone of Sangchon-myeon have low VULDI value less than 60%, which means it is necessary to support political landscape improvement. It is important to give the intensive support of ever urgent landscape improvements and high priority landscape elements on the results of the diagnostic before planning of the rural landscape formation.

      • 농촌마을단위 경관진단지표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송희중 ( Hee-jung Song ),김대식 ( Dae-sik Kim )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3 No.-

        농촌경관 형성을 위한 농촌경관 진단 지표를 제시하고 AHP법의 계층분석법을 사용하여 체계화 하였으며 충북지역 내 9개 농촌마을을 대상으로 적용 하므로써 농촌마을경관 현황을 진단하고 경관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첫째, 경관진단 지표를 개발하기 위하여 지난 10년간 경관평가지표 관련 문헌을 분석하여 경관 유형을 분류하고 기능별로 경관 평가 지표를 도출하고 체계화하였다. AHP법 형태의 델파이 조사를 1차와 2차에 걸쳐 실시하여 분류체계를 확정하고 항목 간 중요도를 도출하였다. 분류체계는 대분류 2개, 중분류 10개, 소분류 20개로 구성되었으며, 대분류는 마을경관과 마을 주변경관으로 구분하였다. 설문조사 대상자는 학계, 한국농어촌공사, 업계 전문가 21명의 응답을 받아 분석하였다. 둘째, AHP중요도 분석결과, 대분류 항목에서는 마을경관이 마을 주변 경관보다 약 20%정도 더 중요하다고 평가했으며 중분류에서는 주거지가 가장 중요하며, 두 번째로 마을 식생, 그 다음으로 마을주변 농지, 녹지, 물환경 순으로 평가했다. 소분류에서는 마을의 풍수적 입지가 93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마을 내 경관수목ㆍ식생환경자원ㆍ문화역사가 순으로 높은 중요도를 보였다. 마을 주변 경관에서는 농지 및 산의 능선부(스카이라인) 가 58점으로 높았으며 토지환경자원, 영농형태 순으로 높은 중요도를 보였다. 셋째, 농촌경관 진단 결과 전반적으로 권역단위 마을이 읍면소재지에 비해 평균 15% 이상 경관이 우수하였으며, 지표별로는 마을경관 중 기반시설, 건축물, 공공가로, 편의시설 정비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 평가 점수는 5등급으로 구분하여 3등급이하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으며 3등급 이하 마을은 도시화가 심한 2개 읍면소재마을이며, 마을경관 측면에서는 8개 마을이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마을별 경관진단 결과를 기준으로 이미 수립된 경관형성계획 수립 항목과 비교한 결과 70개 사업아이템 중 30개 항목이 기반시설, 건축물, 공공가로, 편의시설 정비 등 경관형성계획이 시급한 부분을 반영하고 있으며, 나머지 40개 항목은 마을주변경관 개선을 반영하고 있었다. 특히 경관진단결과 경관 수준이 양호한 1개 마을은 경관형성이 시급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나 경관형성계획을 통해 생활환경개선 위주의 경관개선을 제안하고 있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로부터 마을주변 자연경관과 같이 거시 조망경관은 인위적인 개발을 통해 경관을 형성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그 다음으로 중요도가 높은 마을경관 정비를 통해 농촌마을 경관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지표를 활용한 진단을 통해 경관형성계획 수립 여부를 판단하고 경관형성이 시급하고 중요도가 높은 지표 위주로 경관형성을 계획하여 농촌마을의 경관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농촌마을단위 경관진단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송희중 ( Hee Jung Song ),김대식 ( Dae Sik Kim ) 한국농촌계획학회 2013 농촌계획 Vol.19 No.3

        본 연구에서는 농촌마을단위에서 적용할 수 있는 경관진단지표를 AHP법을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농촌마을 경관진단지표 도출을 위하여 선행연구들의 관련 지표를 수용하여 적용하였다. 이를 대상으로 관련 공무원, 공공기관, 학계, 관련업계 전문가 집단에 21명에 대하여 1차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여, 1차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재수립한 경관진단지표체계에 대하여 2차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안을 확정하였다. 대분류 마을경관은 농촌마을 주거 및 생활환경 경관에 대해 거시적, 미시적 경관을 진단할 목적으로 설정된 지표로 주거지의 풍수적 입지와 기반시설의 친환경정비, 공공건축물의 색채, 주택 지붕 및 담장의 형태, 가로 및 교통시설의 경관개선적 정비, 골목길 담장의 개방성, 편의시설 개수, 경관수목 식재 또는 식생환경자원, 유·무형문화재 자연유산 등을 각각 진단할 수 있으며, 농촌마을의 최소 경관형성을 위한 수준을 제시할 수 있도록 지표를 세분화 하였다. 대분류인 마을주변경관은 그 자체 또는 마을 경관을 얼마나 보완해 주는지를 진단할 목적으로 설정된 지표로 농지의 경작면적, 영농형태, 녹지의 스카이라인, 특이한 지형, 동식물 식생형태, 종풍부도, 수자원 및 수질 등을 각각 진단할 수 있으며, 마을 경관의 상대적이고 보완적인 경관 수준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진단지표를 수립하였다. 최종확정된 경관진단지표를 이용하여 AHP 중요도 평가를 위한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AHP법에 의한 항목간 중요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학계, 한국농어촌공사, 지역개발 전문가에게 송부하여 17명으로부터 회신 받아 중요도를 도출하였다. 경관진단지표 중요도 평가 결과에서는 대분류 항목에서는 마을경관이 마을주변경관보다 약 20%정도 더 중요하다고 평가했으며 중분류에서는 주거지가 가장 중요하며, 두 번째로 마을 식생, 그 다음으로 마을주변 농지, 녹지, 물 환경 순으로 평가되었다. 소분류에서는 마을의 풍수적 입지가 93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마을내 경관수목·식생환경자원·문화역사가 74점으로 높은 중요도를 보였다. 반면 차량 및 보행자 시설 정비와 마을 골목길은 낮게 평가되었다. 마을 주변 경관에서는 농지 및 산의 능선부(스카이라인) 가 58점으로 높았으며 토지환경자원이 50점, 영농형태 48점순으로 높은 중요도를 보였다. 반면 종풍도와 수질등급 및 물환 경자원은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었다. 위와 같이 델파이조사와 AHP법을 통하여 개발된 농촌마을단위 경관진단지표는 마을내부와 마을주변으로 나누어 평가를 하도록 구성되었으며, 점수화체계를 부여하면 농촌마을 경관계획수립을 위한 실질적인 진단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it provides the diagnostic index for the rural landscape 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diagnostic index, this study first analyzed documents and papers on the landscape formation. Landscape types are also classified by their function and then landscape index was developed by AHP method. Classification system was categorized as three steps: 2 items for 1st step, 10 items for 2nd step, and 20 items(criteria) for 3rd step. In the survey of weighting values with AHP method, the analysis result for the first step showed that rural village landscape is more important than landscape around the village by approximately 20%. In the second step, residence is rated as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village tree planting, and then farmland around the rural villages, greenery, and water environment. In the third step, the feng shui is rated as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tree planting, village forest, culture, and history. While vehicle maintenance, village alleys and pedestrian facilities are rated lower. In index of the around the village, weighting value for index of the farm land and skyline has the highest value. While species richness, water quality and water resources were rated relatively low. In the future, the rural landscapes diagnosis index will be applied to measure the level of the rural villages landscapes and it is expected to propose political support for the landscapes 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