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학졸업자의 자기관리역량과 노동시장성과

        송창용,손유미,송초의 핵심역량교육학회 2017 핵심역량교육연구 Vol.2 No.1

        This study analyzed the labor market outcomes according to self-management skill of university graduates using KRIVET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KEEP) 10th data. Most of studies on self-management skills have been studied through educational approach. However,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effects of self-management skill on the outcome of labor market by focusing on the linkage between education and labor marke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ollowing three facts have founded. First, self-management skill of the unemployed is higher than that of the employed. In the case of the unemployed,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are economically affordable because their parents' income is relatively high, and these students are more likely to remain unemployed to prepare for further study or employment. Second, self-management skill of self-employed workers is higher than that of wage workers. This suggests that self-employment needs more self-management skill than wage worker's area. Third, with the higher self-management skill, employed at higher wages job. In other words, the quality of employment gets better. Lastly, when entering the initial labor market with more specific plans on the future career gets low wages. As noted earlier, given that the relatively low wage earners are irregular workers, it can be inferred when having an upward career goal, the reality of receiving the current relative low wages is endured to achieve higher goals. The fact that career specificity and career maturity have negative correlation with an average monthly wage suggests that university graduates’career goals are more related to job quality than to wages. 본 연구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10차 데이터를 활용하여 대학졸업생의 자기관리역량에 따른 노동시장성과를 분석하였다. 지금까지 자기관리역량에 대한 연구들이 대부분 교육적 접근으로 이루어진 반면, 본 논문은 실제 자기관리역량이 노동시장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주목함으로써, 교육과 노동시장의 연계의 관점에서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사실을 발견하였다. 첫째, 취업자보다 미취업자들의 자기관리역량이 더 높게 나타나고 있다. 미취업자의 경우, 부모의 소득이 상대적으로 높아서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는 학생이 대다수이고, 이 학생들이 진학 또는 취업 준비를 위해 미취업자로 남아있을 확률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임금근로자보다는 자영업자의 자기관리역량이 더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자영업이 임금근로자의 영역보다 개인의 자기관리 역량이 더 필요함을 알려주고 있다. 셋째, 자기관리역량이 높을수록 임금이 높은 직장에 취업하고 있다. 즉 취업의 질이 더 좋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초기 노동시장에 진입하는 시기에서 진로에 대해 구체적인 계획이 있을수록 낮은 임금을 받는다. 앞서 살펴보았듯이 상대적으로 낮은 임금을 받는 대상이 비정규직임을 감안한다면, 상향적인 진로목표를 가지고 있는 경우 현재의 상대적 저임금을 받는 현실을 자신의 보다 높은 상위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견뎌내고 있는 것으로 유추해볼 수 있다. 진로 구체성과 진로성숙도가 월평균 급여와 부적 관계를 갖고 있다는 점은 졸업생들의 진로목표가 단순히 임금보다는 직무의 질과 관련성이 높다고도 볼 수 있다.

      • K-CESA 의사소통역량이 대인관계역량에 미치는 영향

        배현주,백영은,송초의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18 핵심역량교육연구 Vol.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소통역량과 대인관계역량의 상관성과 의사소통역량이 대인관계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17년도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K-CESA)의 의사소통역량과 대인관계역량에 참여한 전국 72개 대학(중복 제외), 14,117명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관련 연구결과와 다르게 나타났다. 첫째, 의사소통역량의 총점, 5개의 하위요인과 대인관계역량의 총점, 5개의 하위요인 간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상관도가 높지 않았다. 둘째, 의사소통역량 총점 수준에 따라 대인관계역량 총점과 5개 하위요인의 평균 차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의사소통역량의 말하기와 쓰기 하위요인은 대인관계역량의 총점과 5개 하위요인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영향력이 높은 변인은 말하기 하위요인이었는데, 토론과 중재 하위요인은 대인관계역량 총점과 5개 하위요인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의사소통역량과 대인관계역량의 역량 개념과 요인의 특성 간 대응이 어렵고, 측정도구의 개발과 활용 목적이 상이하여 관련 연구결과 해석에 한계가 있지만, 의사소통역량과 대인관계역량의 직접적인 상관관계와 영향력이 관련 연구결과와 달리 크지 않았음을 실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tify the correlationship and the effect of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results of 14,117 students from 72 universities (excluding duplicates) participated in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K-CESA in 2017 were analyzed. The result of this study appreared differently from those of related studie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total score of communication competence, 5 subfactors and total socre of interpersonal competence, 5 subfacto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correlation was not high. Second, according to the level of communication competence total score, the difference beteween total score of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average of 5 subfactors was significant. Third, speaking and writing subfactors of communication competence were found to affect both the total score of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5 subfactor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s was speaking subfactor. However, debate and mediation subfactors had no effect on total score of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5 sub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are difficult to correspond with competence concept and factor characteristics. Moreover, there is a limitation in interpreting related study results as the purpose of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measurement tools is different. Nevertheless, this result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demonstrates direct correlations and influences are not significant as the results of the related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