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수와 요세푸스

        송창현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08 가톨릭신학 Vol.13 No.-

        플라비우스 요세푸스는 기원후 1세기의 유다인 역사가이다. 그는 여러 저서에서 초대 그리스도교와 신약 성서의 중요한 인물인 예수, 세례자 요한, 그리고 야고보를 언급한다. 그는 유대 고대사 20권 200-201에서 야고보의 처형에 관하여 서술하면서 예수에 대하여 언급하고, 특히 18권 63-64에서 예수에 대해 기록하는데, 이것을 “플라비우스의 증언”이라고 부른다. 즉 예수에 대한 요세푸스의 증언이다. 그런데 16세기 이후부터 이 “증언”의 진정성에 대한 논란이 계속 되었다. 즉 “증언”이 요세푸스의 순수한 작품인지 아니면 후대 그리스도인의 가필에 의한 것인지에 대한 논란이었다. 그리고 요세푸스의 원문을 재구성하려는 다양한 시도도 있었다. 우리는 이 연구에서 요세푸스의 “증언”에 대한 학자들의 다양한 주장들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본문과 전후 문맥을 방법론적으로 분석하여“증언”의 진위 여부를 가려내려고 시도하였다. 우선 “증언”의 공인본과 다양한 증거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리는 “증언”이 전적으로 요세푸스의 것이라는 주장과 전적으로 후대의 그리스도인이 가필한 것이라는 주장은 타당성이 없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요세푸스는 예수의 대하여 본래 적대적으로 기록하였는데, 후대의 그리스도인 편집자가 그것을 긍정적으로 혹은 중립적으로 수정하였다는 가설도 가능성이 없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동시에 우리는 아가피우스의 아랍어 본문이나 유다 전쟁사의 슬라브어 본문에서 “증언”의 원문을 찾으려는 시도도 비판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우리는 “증언”이 본질적으로 요세푸스의 작품이라는 사실을 발견하였고, “증언”의 원문을 재구성하려 시도하였다. 그래서 후대의 그리스도인 필사자에 의해 요세푸스의 원문에 두 곳의 첨가가 이루어졌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이 두 곳은 “굳이 그를 사람이라고 불러야 한다면 말이다”와 “사흗날 그는 다시 살아서 그들에게 나타났다. 왜냐하면 하느님의 예언자들이 이 일들과 그에 대해 헤아릴 수 없는 엄청난 일들을 말하였기 때문이다”인 것으로 드러났다. 예수와 그리스도인들에 대한 요세푸스의 “증언”은 다른 고대 저술가들인 수에토니우스와 타치투스의 기록과 일치한다. 따라서 요세푸스의 “증언”은 비 그리스도교적 사료의 하나로서 역사적 예수 연구를 위한 중요성과 가치를 가진다. Flavius Josephus was a jewish historian of the first century AD. In his works, he mentioned Jesus, John the Baptist, James who were the important persons of the Early Christianity and New Testament. He wrote about Jesus in Jewish Antiquities 20. 200-201 on James execution and especially in Jewish Antiquities 18. 63-64, known as the Testimonium Flavianum. That means the witness of Josephus on Jesus. Since the sixteenth century, the authenticity of this testimony has been suspected by the scholars. It concerned whether this testimony was a genuine work of Josephus or an interpolation of the later Christian writer. Some writers wanted to reconstruct the original text of Josephus. In this study, we examined critically various views of the scholars and tried to discern the authenticity of the testimony through the methodological analysis on the text and the context. Above all, we analyzed the received text and the other various manuscripts. Then we found the claims that the testimony is totally a work of Josphus and that it is totally an interpolation of the later Christian hand have no reason. We found also the hypothesis that at first Josephus wrote antipathically about Jesus and that some positive or neutral alterations was made by a Christian interpolator not has been accepted. We criticized the essay to doscover the original text in the aramaic text of Agapius or the slavonic version of Jewish War. In consequence, we pointed the fact that the testimony was essentially the work of Josephus and tried the reconstruction of the original text. So, we concluded that two interpolations was made by a later Christian hand. These two passages are “if indeed one ought to call him a man” and “On the third day he appeared to them restored to life, for the prophets of God had prophesied these and countless other marvellous things about him”. The testimony of Josephus about Jesus and the Christians is consistent with the other ancient authors, Suetonius and Tacitus. Thus, Testimonium Flavianum has the significance and value as non Christian source for the research on historical Jesus.

      • KCI등재후보

        직종 성별 분리 및 숙련 특성이 임금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수도권 임금근로자를 대상으로 -

        송창현,임업 한국지역학회 2019 지역연구 Vol.3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gender gaps in wage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skill characteristics and gender composition in occupation type.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dealing with gender gaps in wage and job satisfaction have limitations in using a model at a single level.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integrated the analysis of worker level and job level variables through the application of hierarchical linear model.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e 20th year of the Korea Labor Institute Panel Survey and Korea Network for Occupations and Workers data used, factor analysis was utilized to derive cognitive, technical and physical skills. According to the empirical results, female workers in the metropolitan area showed lower average wage and job satisfaction than male worker. these gender gaps were alleviated in occupations which requiring a high level of cognitive skill, while deepening in occupation with a high occupational segreg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policy aimed at reducing the gender gap in the labor market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gaps in wage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skill characteristics and gender composition rates of wage workers in the metropolitan area. 본 연구의 목적은 수도권 임금근로자를 대상으로 직종 성별 분리 및 숙련 특성이 임금 및 직무만족도의성별 격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노동시장 내 성별 격차를 다룬 선행연구들은 개인 수준에만 국한하여 분석을 수행하는 것에 그쳤다는 한계를 가진다. 본 연구는 위계적 선형모형을 활용하여 개인과 직종 두 층위의변수를 포괄하여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한국노동패널조사20차년도 자료와 한국직업정보시스템의 직종별 업무수행능력 중요도 및 수준 자료가 활용되었으며 인지적 숙련, 기술적 숙련, 신체적 숙련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수도권 여성 임금근로자는 임금과 직무만족도 양쪽측면에서 남성 임금근로자에 비해 평균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이와 같은 성별 격차는 인지적 숙련을 높은 수준으로 요구하는 직종에서는 보다 완화되는 한편, 직종 성별 분리의 정도가 높은 직종에서는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직종 성별 분리와 숙련 특성에 따른 임금 및 직무만족도의 성별 격차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성별 격차 해소를 목적으로 하는 수도권 노동시장 내 정책의제에 대한 시사점을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 쿰란 사본과 정경의 문제

        송창현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07 Canon&Culture Vol.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tribution of the Qumran manuscripts to the problem of Canon formation in the Second Temple period. Was there any concept about standard version of the Scriptures in that period? Do the Qumran manuscripts open any new perspective concering the problem of canon formation? All books of the Hebrew Scriptures have been found in Qumran with only the exception of Esther. It is not an accident but rather the result of intentional rejection by the Community that this book has not been found. Through the comparison of Qumran manuscripts against the masoretic text, the samaritan text and the Septuagint, It was found that in the Qumran Community there were no canon and no closed list of authoritative books. Nevertheless it is possible to make some suggestions about some criteria for deciding whether a certain work was acknowledged as Scripture by the Qumran Community: quantity of manuscripts preserved, pesharim, translation into Greek or Aramaic, books quoted as authorities. Qumran manuscripts thus contribute to our knowledge about the scriptures in the period of early Judaism. Inside of the Community, 1 Enoch and Jubilees were accepted as having authoritative status as sacred scripture. This fact proves that the canon was in the making.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the Qumran manuscripts in studying not only the problem of Old Testament canon but also the history of Bible text formation, are displayed well in such context. 이 연구는 제 2차 성전 시대의 정경 문제에 대한 쿰란 사본의 공헌을 고찰하는 것이다. 당시 유다이즘 안에는 성서 정경의 개념이 존재했는가? 표준이 되는 성서 목록이 존재했는가? 정경의 문제에 대하여 쿰란 사본은 우리에게 어떤 새로운 전망을 제시하는가? 쿰란에서는 에스델서를 제외한 구약성서의 전체 사본들이 발견되었다. 에스델서가 발견되지 않은 것은 우연이라기 보다는 쿰란 공동체의 고의적 배척의 결과일 것이다. 쿰란의 성서 사본을 마소라 본문, 사마리아 오경, 칠십인 역 등의 본문 전승과 비교 분석해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하였다. 즉, 쿰란에서는 “원 마소라 본문”, “원 사마리아 본문”, 칠십인 역의 대본 본문 전승, 쿰란 공동체의 고유 전승 그리고 중립적인 전승 등이 함께 발견되었다. 그리고 우리는 쿰란 공동체 안에서는 확정된 구약성서의 정경 목록이 존재하지 않았다는 사실도 발견하였다. 오히려 우리는 쿰란 공동체 안에서 권위 있는 책들로 인정되었던 문헌들을 찾기 위한 기준들을 살펴보았다. 그 기준들은 사본의 양과 대중성, 특정한 책들에 대한 주해서, 번역의 기준, 공동체의 사본들 안에서의 인용 등이다. 이러한 기준들에 의해 우리는 쿰란 공동체에서 권위 있는 책으로서 정경적 지위를 가지고 있던 책들을 살펴 보았다. 이 문헌들 중에서 향후 구약성서의 정경 목록에 포함되지 않은 것은 에녹 1서와 희년서이다. 이러한 사실은 쿰란 공동체에서의 권위와 정경의 문제는 완결된 문제가 아니라 과정 중의 문제였다는 것을 입증한다. 여기서 구약성서의 정경 문제 뿐 아니라 성서 본문의 형성의 역사를 연구하는 데 있어 쿰란 사본이 가지는 중요성과 가치가 잘 드러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