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조 음악의 『시경』 수용과 활용 양상

        송지원(Song, Ji-Won)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6 한국문학과 예술 Vol.19 No.-

        고대 중국의 가장 오래된 시가집으로서의 『시경』은 사서삼경의 경전으로 우리나라에 유입되어 유학사(儒學史)에 큰 영향을 끼쳤다. 특히 『시경』은 음악과 관련된 경전으로서 원래 노랫말이 있는 음악이었으며, “『시경』은 곧 『악경』”이라고 보는 학자들도 있으리만치 음악적인 면에서 중요한 경전의 위치를 점하고 있다. 특히 유학의 심화가 이루어지는 조선조에 『시경』은 문학 텍스트만이 아닌, 노랫말 있는 음악이라는 시각이 확대되었다. 텍스트만 남은 시에 노래 선율이 있다면 그 선율의 모습은 사람들마다 다르게 그려질 수 있다. 따라서 조선에서는 학문적 권위를 지니는 주희가 선택한 시경 선율을 유입하고 그것을 손보아 여러 의례에서 활용하였다. 또 『시경』의 텍스트가 지니고 있는 교화적 기능은 그 노랫말에 당시 쓰이고 있는 여러 선율을 붙여 연주하는 시도로 이어기지도 했다. 조선 전기에 여러 의례를 제정하는 가운데 활용된 『시경』의 노랫말 선택 양상에서 그러한 시도들을 찾을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조선 후기로 가면서 『시경』이 ‘시와 악’의 화두와 함께 학문적 논의가 심화되는 현상들이 이어진다. 이처럼 조선조 음악에서 『시경』을 수용하거나 활용하는 사례는 다양하다. 이 글에서 그와 같은 양상에 대해 논의하였다. 첫째, 『시경』의 음악이 남아 있지 않기 때문에 중국에서 모의시악(模擬詩樂)을 만들어 놓은 음악을 조선이 수용하고 그것을 활용하는 양상에 대한 것, 둘째, 텍스트만 남아 있는 『시경』의 가사에 제3의 선율을 입혀 활용하는 양상, 셋째, 그러한 『시경』 관련 음악들이 여러 의례에서 쓰이는 양상에 관한 내용을 살펴보았다. 또 『시경』이 ‘노래가 있는 음악’이라는 전제에서 성립한 시악학(詩樂學)으로의 전개 양상에 관한 것도 논의하였다. The Book of Songs, which is the oldest book of poetry of the ancient China, is one of the scriptures of the Seven Chinese Classics and influenced the history of Confucianism after entering Korea. Especially, the Book of Songs is a scripture related to music which used to have lyrics and takes an important position as a scripture in terms of music so that some scholars even view the Book of Songs as the Scripture of Music. Especially in the Joseon Dynasty when Confucianism took its root firmly, the view that considered the Book of Songs as music with lyrics, not just as literary text, spread widely. If a poem that used to have a melody has only its text left, its melody will be imagined differently by different people. So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melody of the Book of Songs that had been chosen by Zhu Xi, who held academic authority, was introduced to Joseon, touched up, and used in various ceremonies. In addition, the edifying function of the text of the Book of Songs led to the efforts to combine the lyrics with various melodies that were used at that time. Such efforts can be found in the aspect of choosing lyrics of the Book of Songs, which were used in establishing various ceremonies in the early Joseon era. In the meantime, in the late Joseon era, there were in-depth academic discussions on the Book of Songs along with the theme of ‘poetry and music’. Like this, there were various cases where music in the Joseon Dynasty accepted or used the Book of Songs and this paper discussed such aspect. First of all, this paper examined the aspect of how Joseon accepted and used what China made as trial poetry and music, since the music of the Book of Songs does not exist now. Second, it reviewed the aspect of combining the lyrics of the Book of Songs with a third melody. Third, it studied the aspect of how music related to the Book of Songs was used in various ceremonies. Also, it discussed the developing aspect of the study of poetry and music that was formed under the premise that the Book of Songs was ‘music with songs’.

      • KCI등재
      • KCI등재

        朝鮮 中華主義의 음악적 실현과 淸 文物 수용의 의의

        송지원(Song Ji won) 국립국악원 1999 국악원논문집 Vol.11 No.-

        The late Chosun period boasted of her culture. It, also known as Chosun Chunghwaism, changed several aspects in governmental policy on music. Regulating the ceremonial music rather than importing new materials or re-defining music theory are good examples of Chunghwaism. Especially, the theoretical writing of the scholar-king Chŏngjo with Sŏ myŏng-ŭng represented the higher goal of Chosun, establishing her status as the cultural center of East Asian culture. The time was right after the fall of Chinese Ming Dynasty; the Chosun asswned the responsibility of becoming the center for Confucian.ism. What was considered to be the most ideal music, that is, to re-discover the music of the past, was emphasized during this period. On the contrary, some scholars from the northern tradition who had been to the Ching china searched for a new type of music and civilization, and adopted yangŭm as a result. This paper deals with two contrasting efforts by two groups in the late Chosun period.

      • KCI등재

        서명응의 詩樂學 연구

        송지원(Song, Ji-won) 한국고전번역원 2013 民族文化 Vol.42 No.-

        조선후기의 학자 保晩齋 徐命膺에 의해 수행된 詩와 樂 관련 연구는 조선후기 학술계에서 개별 분과학문의 개성화와 전문화가 활발하게 이루어진 현장을 보여준다. 조선후기의 학자 서명응은 영조, 정조 년간 중앙의 핵심관료를 지내면서 국가규모의 편찬사업에 두루 간여하여 여러 학문 분야에 걸쳐 중요한 저술을 남긴 인물이다. 그는 여러 학문 분야에 정통했지만 특히 詩와 樂에 관하여는 ‘침식을 잊을 정도로 심취’하여 일정 정도의 성취를 이루어내었다. 그가 침식을 잊고 연구한 詩와 樂은 근본적으로 詩樂의 원론적 탐색과 관련된 것이기도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제사와 연향, 군사의례 등 각종 국가전례에서 쓰이는 ‘樂章으로서의 詩樂’의 이상적인 형태를 찾아 그것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나아가 시와 악이 堂上의 노래와 堂下의 연주로 편성되는 이상적 형태의 음악을 제시함으로써 儒家의 樂論을 현실적으로 구현하는 방식을 탐구하고자 한 것이기도 했다. 따라서 서명응이 추구한 詩樂의 理想은 국가전례의 이상과 일정 지점에서 조우한다. 그러나 그것은 때로 이념적 이상으로 제시되는 것에 그치기도 한다. 시와 악의 원론적 탐색을 거쳐 그것을 실행에 옮기는 단계까지 연결되는 것은 현실적으로 무리가 따르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현실에서의 실행 여부를 놓고 서명응의 연구에 대한 가치를 매기는 것은 무의미한 일이 될 것이다. 오히려 가장 이상적인 시와 악이 무엇인지 고뇌했던 조선후기 학자가 그 고민의 결과로서 제시한 악장과 음악의 만남, 당상악과 당하악의 이상적 형태에 대한 고찰은 우주론적 의미에서의 시와 악에 대해 보다 깊이 성찰하는 기회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Study on poetry and music conducted by Bomanjae Seo Myoung-Eung, a scholar of the late Joseon dynasty, shows the scene of active individualization and specialization of individual branch study in an academic field. Seo Myoung-Eung, a scholar of the late Joseon dynasty, wrote on various academic fields, engaging national compilation project while he worked as a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 Although he was well-versed in various academic fields, he was especially interested in poetry and music that he forgot to eat and sleep. He gained some achievement in those fields. Poetry and music he studied, forgetting to eat and sleep, are related to a theoretical investigation into Poetry musicology but ultimately, they are to find and suggest an ideal form of ‘poetry musicology as a Akjang (movement)’ that is used at traditional national ceremonies such as ritual, reception and military protocol. Furthermore, they were for the investigation into how to realize Confucian’s theory of music realistically by suggesting ideal form of music that consists of Dangsang’s 堂上 songs and Dangha’s 堂下 instrument play. Therefore, idea of poetry musicology which Seo Myoung-Eung seeked meets the ideal of traditional national ceremonies at some points. However, it sometimes is limited to being just suggested as ideological idea. That is probably because it is hard to connect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poetry and music to the stage of action in reality. However, it would be meaningless to measure the value of Seo Myoung-Eung’s study depending on carrying it out in reality. Rather, combining Akjang and music, and the ideal form of Dangsanak (music on the hall) and Danghaak (music under the hall) suggested by the late Joseon dynasty scholar who studied what the most ideal poetry and music are can give an opportunity of reflecting on poetry and music more deeply in cosmological sense.

      • KCI등재
      • KCI등재

        사례연구를 통한 지능형 홈 디자인 가이드라인 도출에 관한 연구

        송지원(Song, Ji-Won)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08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7 No.1

        가정은 다양한 물리적, 사회적 행위가 일어나는 장소이다. 이를 지원하고자 하는 지능형 홈 연구는 사용자들이 실생활에서 부딪히는 다양한 상황과 니즈를 적절히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가정생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미래의 가정을 적절히 예측하고 이를 디자인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례연구 방법을 통하여 일상의 가정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미래의 가정생활에 대한 시나리오와 지능형 홈 디자인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실제의 가정에서는 가족 구성원의 거주 환경에 대한 상호작용뿐만 아니라 가정 내외의 요소들과 복잡한 상호작용을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상호작용들은 상호 관련을 맺고 있다. 따라서 지능형 홈 디자인은 이러한 가정에서의 사회적 상호작용들을 지원할 수 있어야 미래의 가정에서 실용적이고 실제적인 활용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Smart Home needs to support real home life. Aiming to design practical smart home interaction, this study tries to understand users’ current real home life and predict future home. By using a case study method, family members’ interaction in a typical home environment is investigated. The study found that family members interact not only with their home environment, which currently most smart home research has focused on, but also with other family members or with people and agents who are out of the home. Smart Home for real home life should support these social interactions in a home setting. Based on the analysis, I suggest a user scenario and guidelines for Smart Home design.

      • KCI등재

        조선시대 산대(山臺)의 역사적 전개

        송지원(Song, Ji-Won)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8 한국문학과 예술 Vol.28 No.-

        산대(山臺)란 산 모양으로 만든 거대한 인공 가설무대로 삼국시대 이래 고려를 거쳐 조선조까지 전승되어 왔다. 신라시대로부터 유래하여 고려시대로 이어진 팔관회, 연등회와 같은 국가적인 규모의 행사를 거행할 때면 산대를 만들어 놓고 온갖 연희와 춤과 음악을 연행하는 전통이 있었다. 이때 산대 주변에서 펼쳐지는 온갖 연희는 그 시대에 연행되는 다양한 공연물로 채워졌다. 산대가 설치된다는 것은 나라의 중요한, 혹은 볼만한 공연문화가 한 자리에 모인다는 의미가 된다. 그러나 산대를 설치하는 데에는 대규모 물력이 필요하여 조선 중후기 무렵 폐지되지만 그 규모를 통해 조선시대에 번성했던 공연문화의 규모를 짐작할 수 있다. 또 산대를 중심으로 펼치는 다양한 연희는 전통시대에 다양하게 전개되었던 우리 공연예술의 다양함과 수준을 알려준다. 이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에 산대가 설치되는 역사와 그 전개과정을 살펴본다. 신라시대로부터 시작되어 조선시대에 산대 폐지 논의가 이루어지고 조선 후기에는 산대의 양상이 달라지는 과정을 논한다. 현재에 산대는 더 이상 만들어지지 않지만 산대를 설치하는 것의 현재적 의미는 무엇인지 생각해 보고자 한다. Sandea literally means “mountain stage”, it is a makeshift stage which has the shape like a mountain, and is passed down from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to the Joseon Dynasty. Actually it comes from Silla period, and also relates to the national ceremonies like Palqwanghoi (팔관회) and Yondunghoi(연등회) in Goryo Daynasty. They built the Sandea to perform a play on the stage with dances and music also. People enjoyed the various performance not only on the stage but also around the Sandae. Building up the Sandea means a great deal of people from all around regions come for it. With the problem making huge fund to buil it up, Sandea was put under a ban in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though, we could imagine the spectacular scenery of performing art at that time, and the cultural diversity and level. This paper examine the history about Sandae which strated from Silla to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Especially it contains the process of starting discussion about the prohibiting Sandae and the various form of the Sandae in the late Joseon Dynasty. Sandae has a place only in our imagination though, it is need to think what is the meaning of Sandae nowadays.

      • KCI등재

        의례(儀禮) 기록의 방식: 『국조속오례의서례(國朝續五禮儀序例)』 읽기

        송지원 ( Ji Won Song ) 한국실학학회 2012 한국실학연구 Vol.0 No.23

        이 연구는 五禮書의 ``序例`` 讀法에 관한 연구이다. 오례서의 ``서례``는 국가의례에서 본 행사를 기록한 儀註를 실제 의례로 행할 때 알아야 할 각종 규정, 즉 제사의 성격, 제사 지내는 시기, 제사에 참여하는 齋官, 의례에서 연주하는 음악과 악대의 편성, 의례 참여자의 복식, 왕의 행차에 동원되는 각종 儀仗旗, 의례에 쓰이는 器物 등에 대해 기록한 것을 말한다. 의례의 시행절차를 기록한 ``의주``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 ``서례``에 기록된 이들 규정을 함께 읽어야 하는 것은 本書와 서례를 별도로 작성했던 조선시대 국가전례서의 기록 방식 때문이다. 오례서의 ``서례``부분은 오례서를 이해하는 것 이상으로 치밀하게 읽고 이해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간 ``서례``에 대하여 집중한 연구는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 오례 기록의 규범을 이룬 『국조오례서례』를 기준으로 하여 그 전후의 서례와 함께 살펴봄으로써 서례 기록의 일반성과 특수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 연구는 영조대에 편찬된 『국조속오례의서례』를 빌미로 오례서의 「서례」를 어떻게 읽어야 할 것인지 파악하는 데 초점이 있다. 따라서 영조대 의례의 내용에 대해 집중적으로 밝히기 보다는 「서례」 일반에 관한 논의에 비중이 더 두어질 것이다. 이 글이 오례서를 읽는 과정에서 올 수 있는 독법상의 오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이 있으며, 같은 사안을 다르게 읽는 경우가 허다한 현실을 인식하고 쓴 글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례」만을 다룬 연구가 없는 현실에서 「서례」의 시스템을 어떻게 인식하고 「서례」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고민해 보는 기회로 삼고자 한다. This is a study on the reading of ``Seorye 序例`` of Oryeseo 五禮書. ``Seorye`` of Oryeseo is record of various rules which should be known when actually carrying out Euiju 儀註 of the main event in national ritual, including nature of memorial service, period of holding memorial service, holding offices who participate in each service, organization of music and band, clothing of the ritual participants, all sorts of ceremonial flags and articles used in ceremony. To properly understand ``Euiju,`` which documented procedures of ritual, we must read those rules recorded in ``Seorye`` because of recording methods of national liturgical book in Joseon Dynasty where the main book and ``Seorye`` were written separately. Therefore, the part of ``Seorye`` of Oryeseo must be closely read and understood much more than understanding of Orye. Nevertheless, the studies focusing on ``Seorye`` have been rare, this study attempts to discover generality and specialty of Seorye documents by examining the ones before and after Gukjooryeseorye 國朝五禮序例, which has made norms for Orye records. This study focuses on understanding how to read Seorye with Gukjo sogoryeui Seorye, which was published in the period of King Yeongjo. Thus, instead of intensively examining some things from ritual in the time of King Yeongjo, the study will give more weight to general discussion about Seorye. The current article has the purpose of minimizing misunderstanding in reading, which might happen in the course of interpreting Orye, and it`s written in the perception of the fact that there are many examples of reading the same case differently. Therefore, with reality in which studies dealing only with Seorye, this study should be an opportunity to concern about how to appreciate the system of Seorye and how to read it correctly.

      • KCI등재
      • 생상의 《동물의 사육제》 분석 및 감상지도안 연구

        송지원 ( Ji Won Song ) 한국피아노학회 2010 피아노음악연구 Vol.4 No.-

        In this thesis, Le Carnival des Animaux by Saint-Saens (C. Camille Saint-Saens, 1836-1921) was analyzed and the teaching plan for music appreciation class was built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the music teachers of seventh-grade-students to effectively teach music appreciation class and to train the students` ears for successful music listening. Le Carnival des Animaux was selected for this study because it is appropriate for the music appreciation class since each piece of the work represents the image of many animals in various musical languages. This work, which is program music, is a collection of 14 pieces and each piece can be learned individually or collectively. In addition, since it is animal characters, the work is suitable for students to do physical movement expressing their feelings while they listen to the piece. This research is composed of theoretical background, music analysis and the teaching plan for music appreciation class.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opinions of theorists related to teaching music appreciation classes were reviewed. This section includes the appropriate method, importance, evaluation, and teaching stages of music appreciation class. In the music analysis section, the form, subject melody, harmony, use of scales, and symbolic or descriptive elements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nimal in Le Carnival des Animaux were discussed. In the last section, the teaching pla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work was presented. In the teaching plan, four teaching materials were suggested in order to motivate student`s music listening and succesfully organize the class. The materials are checklists, theme charts, call charts and test charts. The checklist is divided into a timbre checklist which distinguishes the timbres of various musical instruments and an adjective checklist which checks the adjectives which describes the mood of music. This allows students to easily observe musical responses by letting them expressly show their vague impressions and thoughts. Theme chart, which is the picture or scores of the subject of music, helps students to know in advance the main melodies. Call Chart is a chart which presents musical characters (rhythm, melody, timbre, strength and structure) in pictures or scores. By using call charts in appreciation classes, it has the advantage of letting students see the contents of the music they are listening to in detail.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enabling students listen following the music since students can maintain their concentration. Test chart allows to develop the ability to identify musical elements by adequately answering the questions after listening to music trying to lead to an active liste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