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혈액투석 중인 말기 신장질환 환자의 우울과 삶의 질

        김형준,이우미,안선호,송주흥,김재민,김성완,이상열,Kim, Hyoung-Jun,Lee, Woo-Mi,Ahn, Seon-Ho,Song, Ju-Heung,Kim, Jae-Min,Kim, Sung-Wan,Lee, Sang-Yeol 대한불안의학회 2006 대한불안의학회지 Vol.2 No.2

        Objective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its impact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of the patients with End-Stage Renal Disease (ESRD) on Hemodialysis. Method : The Quality of life (QOL) of patients was evaluated by HRQoL Questionnaire, "Medical Outcome Survey 36-Item Short Form Health Survey Korean Version (SF-36-K)". The patients on Hemodialysis in ESRD, were chosen from the hemodialytic room at Wonkwang University and Jeongeup-Asan Hospital. The number of patients was 95 (64 from Wonkwang University Hospital and 31 from Jeongeup-Asan Hospital) and all of them were above 19 years old. We performed various investigations to find a statistical correlations between HRQoL and physical & psychosocial factors such as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linical characteristics (hemoglobin level and albumin level etc), and the score of Beck's depressive inventory (BDI). Results : The HRQoL value of patients on hemodialysis in ESRD is far poorer than the HRQoL reference value of Koreans and Americans, who are in normal healthly. The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s by BDI of the ESRD patients on hemodialysis is 68.6%, and age and depression have negative correlations with HRQoL of the patients. However, education level, serum albumin level, and social support have positive correlations with HRQoL. The patient group with depression has significantly poorer HRQoL than the group without depression. Conclusion : The HRQoL of ESRD patients on hemodialysis is not good in both physical and mental aspects.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is very high and depression has negative impact of HRQoL of patients. Based on our study, it is essential to accompany with therapeutic Strategy to improve the HRQoL of ESRD patients on hemodialysis.

      • SCOPUSKCI등재

        서맥으로 치료받은 만성 신질환 환자들에 대한 임상적 고찰

        최두환 ( Choe Du Hwan ),안선호 ( An Seon Ho ),정성원 ( Jeong Seong Won ),이유민 ( Lee Yu Min ),김현정 ( Kim Hyeon Jeong ),이명수 ( Lee Myeong Su ),백승훈 ( Baeg Seung Hun ),송주흥 ( Song Ju Heung ) 대한신장학회 2004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3 No.2

        배 경 : 만성 신질환 환자들은 심혈관계 합병증으로 인한 사망률이 증가하는데 고칼륨혈증 등과 같은 전해질 이상을 동반할 수 있고, 기저질환 혹은 약물에 의해서도 변화될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저자들은 현저한 서맥으로 인한 증상을 주소로 내원한 만성 신질환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을 관찰하고 심전도 변화를 야기하는 요인들의 분석과 항께 안정적으로 투석을 시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 법 : 1999년 7월부터 2003년 7월까지 서맥 때문에 응급실로 내원한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서맥의 조절 및 고칼륨혈증에 대한 통상적인 방법을 시행했음에도 불구하고 생명징후의 불안정과 임상적 증상이 지속되어 임시 인공 심박조율기를 삽입한 후 혈액투석을 시행한 14예에 대한 임상적 특성과 유발 요인을 관찰하였다. 결 과 : 관찰 대상 14예 중 유지혈액투석 중인 말기신부전은 8예, 투석전 만성 신질환 환자는 6예였다. 만성 신질환 원인은 당뇨병성이 10예, 비당뇨병성이 4예였고, 평균 연령은 60.8±11.4세, 10명은 남자, 4명은 여자였다. 응급실 내원시 검사실 소견은 s-Cr 8.2±4.1 ㎎/dL, K 6.0±1.4 mEq/L, Ca²^(+) 4.4±1.3 ㎎/dL, P 5.7±3.4 ㎎/dL, Mg 3.2±0.8 ㎎/dL, HCO₃^(-) 16.4土3,7 mEq/L, 수축기 혈압 95.7±19.9 mmHg, 심박동 26.5±6.6 bpm였다. 심 전도 소견은 방실접합부 이탈율동 (sinus arrest with escape junctional rhythm) 11예, 완전 3도 방실전도장애 (complete third degree atrioventricular disturbance) 3예였다. 이중 방실접합부 이탈율동이었던 11예는 임시 인공심박조율기를 삽입하고 혈액투석을 시행한 후 정상 율동으로 회복되었고, 유지혈액투석 중이던 환자에서 발생한 완치 3도 방실전도장에 1예는 영구형 인공심박 조율기를 삽입하였으나 6개월 후 정상 율동으로 회복되었다. 투석 전인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발생한 완전 3도 방실전도장애 2예 중, 1예는 주석 후 정상 율동으로 회복되었고 1예는 투석 후에도 정상 율동으로 회복되지 않아 영구형 인공 심박조율기를 삽입한 후 현재까지 작동 중이다. 혈중 칼륨이 6.5 mEq/L 미만인 경우가 9예었고, 5.5 mEq/L 미만인 경우도 4예가 있었으며 이들은 모두 당뇨를 기저질환으로 가지고 있으면서 4예 모두 digoxin을 사용하고 있었고 diltiazem은 3예, α,β-차단제는 1예에서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전체 14예 중 8예에서 diltiazem, 3예에서 β-차단제, 3예에서 α,β-차단제를 사용하고 있었고, 1예에서는 미상의 항고혈압제를 사용하였다. Digoxin은 5예에서 사용 중이었고 이중 4예는 정상범주의 농도를 유지하고 있었고 1예에서 4.0 ng/mL였다. 투석 전인 만성 신질환 환자군과 유지혈액투석 중인 환자군으로 구분 하여 비교시 K 5.8土1.0 vs 6.2±1.7 mEq/L, HCO₃^(-) 17.7±3.7 vs 15.4±3.8 mEq/L, Ca²^(+) 4.5±2.3 vs 4.3±0.6 ㎎/dL로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고, Mg만 2.4±0.9 vs 3.5±0.5 ㎎/dL (p<0.05)로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 결 론 :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서맥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특히 당뇨가 합병된 경우 diltiazem, digoxin, β-차단제, α,β-차단제 등과 같이 전도장애를 야기할 수 있는 약물은 주의해서 사용해야 하며, 고칼륨혈증이 발생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고칼륨혈증이 없더라고 요독증 때문에도 서맥이 발생할 수 있음으로 보존적 치료에도 생명징후가 불안정한 경우 우선적으로 임시 인공심박조율기를 사용해 혈압을 안정화시킨 후 가급적 빨리 혈액투석을 시행하는 것이 치료의 한 방법이라 사료된다. Since profound hyperkalemia induces fatal arrhythmias, the recognition of its electrocardiographic manifestations is very important. The changes on the ECG correlated roughly with the severity of hyperkalemia. It has been, however, less recognized that severe hyperkalemia is associated with bradycardia. We present 14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manifesting marked bradycardia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hyperkalemia. It is interesting that diabetes mellitus which was complicated in 10 of 14 patients in the present study might exaggerate bradycardia with or without hyperkalemla. 9 patients, who were taking drugs such as diltiazem. β-blocker, α, β-blocker, and digoxin, developed bradycardia even when their plasma potassium concentration were moderate (<6.5 mEq/L). Therefore, we suggest that synergistic action of these drugs, hyperkalemia, diabetse mellitus, and uremic toxin in patient with chronic kidney disease might play a role in inducing bradycardia. (Korean J Nephrol 2004;23(2):256-26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