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통형조사창에서의 절리선 길이분포를 이용한 암반 내 절리직경분포 추정에 관한 연구

        전기환(Kihwan Jeon),송재준(Jae-Joon Song),조영도(Young-Do Jo) 한국암반공학회 2011 터널과지하공간 Vol.21 No.5

        본 연구에서는 암반 내 원통형 공동면에 나타나는 절리선 길이분포를 이용하여 암반 내에 존재하는 절리의 직경분포를 추정하기 위한 알고리듬을 제안하였다. 암반 내 절리의 직경분포를 추정하기 위해서 송재준(2005)에 의해 제시된 Joint Center Volume(JCV)의 개념이 적용되었다. 평면 조사창에 나타나는 절리선에 대한 JCV 값을 산정하는 송재준(2005)의 알고리듬을 확장하여 원통형 공동면을 조사창으로 하는 경우의 암반 내절리 직경분포 추정을 위해 전수조사 기법을 적용한 JCV 계산 알고리듬을 개발하였다. 추정된 절리 직경분포는 Monte-Carlo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하여 절리직경 모분포와 비교 검증하였으며 추정된 절리 직경분포가 모분포와 20% 내외의 오차 범위에서 수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suggests an algorithm for estimating joint diameter distribution in rock mass from the joint trace length distribution around a circular tunnel. For estimating the joint diameter distribution the concept of Joint Center Volume (JCV) suggested by Song. (2005) was applied and the calculation method of JCV for the cylindrical window survey was developed by using the complete survey method. The estimated joint diameter distribution was verified against the original joint diameter distribution by Monte-Carlo simulation. It was observed that the estimated joint diameter distribution was converged to the original joint diameter distribution with less than 20% of error.

      • KCI등재

        최소자승법을 이용한 원판형 절리의 직경분포와 체적빈도 추정에 관한 연구

        송재준(Jae-Joon Song) 한국암반공학회 2005 터널과지하공간 Vol.15 No.2

        이 연구에서는 최소자승법을 이용하여 절리의 직경분포를 추정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이전에 Song and Lee가 제안한 방법에서는 현장에서 조사한 양끝내포선(contained trace)분포로부터 무한 조사창에서 정의되는 절리선(joint trace) 길이 분포를 먼저 구하고 이 후에 직경분포를 구하게 된다 그러나 새로 제안한 방법을 사용하면 중간 추정과정없이 현장에서 얻은 양끝내포선 분포로부터 바로 절리의 직경분포를 구할 수 있다 이전의 방법과 비교할 때 새로 제안된 방법은 표본의 크기가 작을 때 조금 더 높은 추정정밀도를 보이며, 직경분포를 추정하는 과정에서 절리의 기하학적 파라미터의 하나인 체적빈도(volumetric frequency)도 제공한다. 새로운 추정법의 검증을 위해 Monte Carlo 시뮬레이션을 적용하였다. An estimation technique of the joint diameter distribution using the least square method is suggested. When utilizing the technique by Song and Lee, the diameter distribution would be obtained only from the trace length distribution defined in an infinite window after the trace length distribution is estimated from the contained trace length distribution. With the new technique, however, the diameter distribution can be directly obtained from the sample histogram of the contained trace lengths. Compared with the previous technique, it shows a more accurate result for small sizes of joint samples and provides the joint geometry parameter of volumetric frequency. Verification of this new technique was completed by using Monte Carlo simulations.

      • KCI등재

        영산강 상류의 수질 변화에 관한 연구

        송재준 ( Jee-june Song ),김백범 ( Baek-beom Kim ),홍순강 ( Sun-gang Hong ) 한국환경기술학회 2015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6 No.2

        영산강은 광주·전남을 대표하는 하천으로 우리나라 4대의 국가하천이다. 약 180만명의 인구가 영산강 상류지역에 밀집되면서 영산강에 생활하수 등 영양염류를 포함한 오염원들이 유입되고 있다. 최근 강 살리기 사업을 통해 영산강 하천 유지용수를 증가시키고 농업용 댐의 둑 높이기 등으로 오염원들의 유입을 차단시키고, 자정능력을 증가시켜 수질상태를 개선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결과 유량을 확보한 반면에 수질의 체류시간이 증가하였고 기후변화의 영향 등을 받아 녹조현상으로 인한 문제점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비점오염원의 과다유입과 영산강의 구조적인 취약성 문제로 조류가 다량 발생하여 친수활동에 부적절한 영향이 나타나고 있어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특히 갈수기에 용수가 부족하여 3∼6월에 오염도가 매우 심각하여 부영양화 현상이 빈번히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영산강 상류지역의 오염 정도를 파악하고, 연도별 수질변화 추이를 조사하여 오염정도를 파악하고, 지역별 오염도의 심각성을 알아봄으로써 그에 대한 대처방안을 세워 그 지역에 맞는 체계적인 관리방안을 수립해야 할 것 이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장기적인 연구와 관리, 추가적인 조사를 통하여 영산강 수질개선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Yeongsan river is one of four national rivers as represented Gwangju and Jeollanam-Do. 1.8 million population are concentrat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Yeoungsan river so there are flowing in Yeoungsan river environmental pollution sources, including nutrient salts like domestic sewage. Latest, through business of save the river, there are trying to improve water state by increasing river maintenance water, letting off pollution sources`s inflow by make agricultural dam`s embankment higher and increasing self-purification capacity. Flux is secured, on the other hand, problem frequently occur by algal bloom because of influencing climate change and increasing water`s detention period. Occurring algae is connected algae bloom due to non-point pollutant source`s excessive inflow and problem of Yeoungsan river`s structural weaknesses. So improper influence is appeared at waterfront space. Therefore we need detailed and systematic management plan urgently. Especially owing to a period of water shortage, March~June`s pollution is serious. So eutrophication frequently occur. Apprehending pollution sources`s degree at the upper region of the Yeoungsan river, by investigating year-on-year change that apprehend pollution degree. And by checking seriousness of regional groups pollution degree, we map out a specific plan. And then, have to manage regional groups suitably. We have to notice of study, through long-term study, management and additional survey, have to do our endeavor for water improvement of Yeoungsan river.

      • KCI등재

        Alum과 Chitosan을 이용한 도축장 폐수 슬러지의 비료화 가능성 연구

        송재준 ( Song Jee-june ),홍순강 ( Hong Soon-gang ),이영호 ( Lee Young-ho ) 한국환경기술학회 2000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 No.2

        유기성 슬러지의 자원화를 위해서는 유기성 폐수의 처리과정에서 주입되는 alum과 polymer같은 무기성 약품의 양을 감소시켜야 한다. 이들 무기계 응집제가 첨가된 슬러지는 슬러지의 이용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축장 폐수의 슬러지 대한 재이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응집제를 사용하여 슬러지를 만들어 실험하였다. 무기계 응집제인 alum과 무해한 것으로 알려진 유기계 응집제인 chitosan을 이용하여 슬러지를 만들었다. 만들어진 슬러지를 가지고 7개 중금속(Zn, Cu, Cr, Cd, As, Hg, Pb)에 대하여 용출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chitosan을 이용하여 응집한 슬러지가 alum으로 응집한 슬러지보다 중금속을 덜 함유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For the sake of reusing the organic sludge into resources, we should decrease the amount of inorganic chemicals such as alum and polymer, added in the process of treating the organic wastewater. The sludge added with those inorganic coagulants has been a problem in the utilization of sludge. In this research, We performed experiment using sludge prepared with coagulants in Order to assess the possibility of reutilization of slaughterhouse wastewater. We prepared sludge by using alum, an inorganic coagulant, and chitosan, known as a harmless organic coagulant, Then, we carried out a gushing-out test on seven heavy metals (Zn, Cu, Cr, Cd, As, Hg, Pb) with the sludge we prepar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sludge coagulated by alum contained less heavy metals than the sludge coagulated by chitosan.

      • KCI등재

        정보교류체제와 협업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송재준(Jae-Jun Song),김문중(Moon-Jung Kim),범상규(Sang-Kyu Beom) 한국산업경제학회 2013 산업경제연구 Vol.26 No.6

        본 연구는 팀제에서 정보교류체제와 팀 협업을 활성화 시키는 요인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TMS에 의한 팀 성과의 영향과 팀 협업의 매개효과와 더불어 각 구성요소들 간의 팀 구성원의 과업에 대한 성숙도의 조절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검증결과, 팀 협업의 매개효과가 존재하는데, 이는 팀 TMS와 팀 성과에 대한 직접효과뿐 아니라 팀 협업을 통한 매개효과로서, 팀 협업을 통하여 팀 성과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그리고 팀 구성원의 경력과 지식 및 의지에 따른 직무수행 성숙도와 심리적 성숙도의 질적 영향에 따라 팀 성과가 영향을 받는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TMS의 성과에 대한 영향과 4가지로 구성되는 팀 협업을 통한 매개효과의 검증을 통해 구성원의 실질적 행동요소들이 성과에 직결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탐색적 연구로 추출된 협업의 요인들이 팀 조직의 성과향상을 위한 수단으로 제공되었다. 셋째, TMS와 팀 협업요인 및 성숙도를 활용한 객관적 지표를 근거로 조직운영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성과향상의 평가 기준을 제시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his research tried to figure out the effects between TMS and team collaboration in complex modern enterprises that already adopted team system as their organizational structure. Also researchers were tried to understand the mediation effect of TMS between team collaboration and team performance as well as the moderate effect of maturity between each variable. Analysis has been done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he verifiable results of path analysis showed the mediation effect of team collaboration. There is a direct effect of TMS to team performance and this proven mediation effect of team collaboration indicate creation of better team performance between TMS and team performance. And, the quality of job maturity of experience and knowledge of team member as well as personal maturity of their intention and willingness have moderate effects. The result of the research implies the effect of TMS to team performance and mediation effect of team collaboration consist of four factors and it means that actual performing factors are directly connected to team performance. Aslo, those four factors of team collaboration founded by exploratory research have been provided as a way for building better team performance. In addition, modern enterprise can build objective standards by leveraging TMS, team collaboration factors and maturity and the standards can be used as improving effectiveness as well as the possibility of being measurement for team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