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어교육에서 학습자와 교사와의 상호 문화소통의 필요성 고찰 -초급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송재란(Song Jai Ran)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5 한국어교육연구 Vol.- No.3

        2011년 이후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수가 정체되었지만 아직도 각국에서의 한국어에 대한 관심은 지속적이다. 국내 유학생 중에서도 중국인 유학생이 전체의 59.3%을 차지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어 학습자중에서도 중국인 학습자로,그 중에서도 한국어를 처음 배우기 시작하는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학습의 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20년 이상 모국의 생활, 문화, 언어 등에 익숙한 학습자들의 사고는 한국어를 배우는데 누구나 예외없이 언어습득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경험할 수 있다. 그래서 교사는 목표언어인 한국어에 모든 초점을 맞출 것이 아니라 학습자의 모국어간섭과 문화의 차이에서 오는 어려움을 인정해 주어야 한다. 중국인 학습자들도 이러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예를 들어서 한국어 모음을 익히는 과정에서도 모국어간섭을 받는다. 단모음 /ㅡ/와 이중모음 /ㅢ/, /ㅗ/와 /ㅓ/의 발음에 지속적인 오류를 일으키는 것이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이러한 상황에서 교사가 그들의 모국어간섭을 수용하기보다 한국어 이해만 촉구한다면 역효과가 날 수 있음을 논하고자 한다. 필자가 가르치고 있는 교재에서 호칭어 ‘-씨’가 사용되고 있다. 호칭어에서도 한국과 중국과의 이해의 차이가 있음을 먼저 학습자에게 설명해주면서 ‘-씨’를 설명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국어교사가 문화상대주의적 입장에서 학습자의 문화를 함께 수용할 때 보다 나은 학습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늘 인식해야 한다. 이때 학습자는 상호 문화의 이해를 통해 한국어 교육의 지향점일 한국어 의사소통능력을 더욱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이다. Ever since 2011 the number of the internal foreign students have been stagnant, but many contries have interests with korean contiually. Among the interal foreign students chinese students take 53.3% of the whole students. This Essay would like to discuss about korean language learning method for the beginning level chinese students. Those who have the thinking that made by the native life, culture and language over 20years must be met many difficulty in language acquisition unexpectionally. Therefore the teacher should not focus on the korean language as a goal, but accept the difficulty from difference of a native tongue interference and culture. Especially these difficulties are adapted to chinese language learners. For example, the chinese learners are influenced by the native of the tongue interference in the process of the practice the korean vowel. They have corrupted consistantly the pronounciation of the short vowel / ㅡ/, the dipthong /ㅓ/, /ㅗ/ and /ㅓ/. In this condition, I want to discuss about the fact that teacher's demand of the understanding of the korean culture without accepting their native tongue interference will make a negative effects. In the textbook which I am teaching now, the address form ‘-씨’ is in use. In this using address form, teachers must explain the difference of the understanding between korean and chinese first to the learners. Korean teachers must have their own recognition that the move effective teaching method can get by the accepting the learner's culture from the angle of the cultural relatirism. At this time learners can make remarkable progress in having the capacity of korean language communication which is the tarket of the korean teaching from the understanding of mutual culture.

      • KCI등재후보

        외국인학습자를 위한 추측 양태 표현 이해 교육

        송재란(Jai Ran Song)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0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3

        양태 표현이란 명제에 대한 화자의 태도이다. 한국어 양태 표현에서는 화자의 심리적인 태도와 더불어 화용적 측면의 이해가 동반되어야 실제 언어생활을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고급 한국어 학습자라도 의사소통을 할 때 맥락의 상황에 맞게 정확히 이해하면서 적절한 의사 표현을 한다는 것이 쉽지 않은 경우가 많다. 이는 실제 담화 상황에서 복잡한 문법 구성 형식으로 양태의 미세한 차이로 제안, 추측, 거절, 요청과 같은 다양한 화용적 기능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한국어 양태 표현의 양상들을 살펴볼 것이다. 특히 한국어를 제2 언어로 연구한 연구자들이 자신의 모국어와 한국어를 대조 연구하여 한국어에서 양태 표현을 분명하게 이해하지 못한 이유를 고찰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양태 표현의 특징을 살펴서 각 언어 형태가 지시하는 양태 의미를 구분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외국인 학습자가 한국어 양태 표현을 적절하게 구분 또는 활용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위한 방법을 고찰하고자 한다. Modality expression is the speaker’s attitude toward the proposition. In korean modality expression it is necessary to accompany the psychological attitude of speaker and understanding of the pragmatic aspect to maintain accurately the actual language. Even for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it is often not easy to communicate properly and understand the context properly. This is because a complex grammatical structure in the actual discourse situation is required to perform various pragmatic functions such as a request for limited guess rejection due to minute differences in aspects. This study will examine aspects of koran language pragmatic expression through prior studies. In particular, researchers who have studied Korean as 2nd language will be able to find out why they did not cleary understand the mode expression in korean language through a comparative study of their native language and Korean. And by analyzing the features of the mode expression, I will analyze the meaning of the mode indicted by each mode language typ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methods for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s so that foreign learners can properly distinguish or utilize the Korean modality expressions.

      • KCI등재후보

        한국어 학습의 코칭을 통한 교수법 제안

        송재란(Song Jai Ran)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4 한국어교육연구 Vol.1 No.-

        오늘날 모국어가 아닌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실제 많은 연구자들이 한국어를 제2언어로 배우는 학습자들을 위한 효과적이고 다양한 학습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본고는 교사, 교재 중심이 아니고 학습자 스스로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그 방법으로 첫째, 교사들이 한국어 교습의 과정 이전 먼저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동기를 나누는 것이다. 둘째, 한국어를 배우는 것은 분명 학습자들의 몫이지만 교사도 함께 상호책임을 지는 것이다. 처음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배우고자 했던 열정도 떨어지고 학습 능력도 오르지 않아 좌절할 때 교사가 학습자의 목표를 상기시켜 주며 상호책임을 질 때 학습자들은 스스로 공부할 수 있는 힘을 얻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은 코칭이란 리더십의 기술을 접목한 것이다. 코칭은 코치를 받는 코치이가 자신의 꿈과 비전을 스스로 발견하고 그것들을 이룰 수 있도록 돕고 힘을 부어주는 리더십이다. 본고는 코칭의 많은 기술 중에서 SEA와 피드백을 사용하고자 한다. SEA와 피드백은 교사와 학습자 사이에 서로 신뢰감을 형성하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신뢰는 관계형성에서 매우 중요하다. 교사와 학습자간의 관계형성이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인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지식적인 한국어 학습 교수법이 아닌 심인적인 학습법을 통한 교수법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Nowadays Korean language learner's steadily increasing as a 2nd language not their mother tongue. Actually many researchers are studying effective and various studying methods for the learners who are studying Korean as a 2nd language. This essay is looking for the methods which is not focus ofn the teacher and text but focus on learner's self-lead studying language. The 1st effective method is sharing the motivation at first before the teaching process. The 2nd effective method is that teachers have the accountability with student even though they have the responsibility of learning. When the learner's first passion and learning capacity of the learning Korean language go down, the reminding of the motivation and the teacher's accountability empowering to the students. These methods are using the skills of the coaching leadership. Coaching leadership is the empowering leadership to make the coachees find their dream and accomplish them. This essay is going to use the SEA and Feedback among many coaching skills. Feedback is the skill to make trust between teachers with learners.Trust is very important to make relationship. To make good relationship is the motivation of the learner's self-leading study. through these process I would like to propose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method not by just teaching knowledge but by psychogenical teaching.

      • KCI등재후보

        질문 방식을 활용한 한국어학습 교수법 제안

        송재란(Song Jai Ran)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5 한국어교육연구 Vol.- No.2

        소크라테스의 '산파술'이라는 질문법 유래로 질문에 대한 연구가 현재까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질문에 의한 교수법은 학습자가 스스로 자신이 알고자 하는 해답을 찾는 과정으로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수업일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도 제2언어로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학습자를 위한 방법으로 질문에 의한 교수법을 적용하고자 한다. 일방적으로 수업을 진행하는 교사의 수업 방식에 학습자들은 쉽게 지루함을 느낀다. 수업 내용을 이해 못하면서 학습자들은 점점 수동적이고 적극성을 갖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수업 방식에서 벗어나서 질문에 의한 수업 형태로 교사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 상호소통의 수업을 하고자 하는 것이다. 한국어가 모국어가 아니고 아직 학문적으로 한국어를 접근하지 않은 학습자에게 전 수업을 질문법으로 진행하긴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그래서 전반적인 학습 내용은 교사의 설명으로 진행하고 수업 도입 질문과 교사의 설명 후에 1차 질문을 학습자가 만들어서 짝을 이루어 질문을 서로 공유하고 대답하는 과정이다. 2차 질문 과정도 1차 과정과 같다. 동시에 각 팀은 나눈 질문 중에서 하나를 골라 발표를 하는 것이다. 교사는 이와 같은 것을 칠판에 써서 그 질문을 하나씩 읽으면서 전체 학습자가 답을 대답하는 과정을 찾는 교수법이다. 질문의 형태도 참으로 중요하다. 닫힌 질문으로 수업의 질과 양을 제한하는 방식을 지양하고 열린 질문의 형태를 취하여 수업의 다양한 내용과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질문형태를 취해야 한다. 이처럼 질문을 활용한 한국어 학습방안은 학습자 모두가 적극적으로 수업에 임할 수 있게 하고 또한 학습자간의 다양한 수업내용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질문을 이용한 수업의 성공여부는 교사가 질문을 이용하는 방법을 수용하고 인식하느냐의 여부에 달려있다고 할 것이다. After that question of the Socrates's method until now many studies of the questions are in progress. Teaching method of using questions is the course of the student's positive and active class which is make progresed by the student's own effort of the answering the qustion. Therefore this study will apply to the teaching method of using question for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as a 2nd language. There are much different lingustic ablity among the students. One way teaching makes the students tedious easily, not understanding the contents of the class, the students passive and half hearted little by little. Escape from this problem, I intend to make the class communicate between the two of them; teacher and student, student and student by using question. It is a hard fact for the student who is not learn Korean his Mother tongue and must access to Korean language to go on the class by using question skills. The most of the class teacher lead the class by the explanation, the other part of the class will be in the processes teacher's inviting question and the student's their own 1st question after the teacher's explation. The process of the 2nd question is same as the 1st question. At this time each team express one question among the shared questions. Teacher writes the contents on the board and asks the questions to all the students. Students answer the question silmultaneously. The form of the question is very important. We should sublate as it as possible the teaching method; which restrain the quality and quantity of the class, so we can take the open question which can get the various contents and imformations. Like this, Korean language teaching method proposal to use effect questions make the students participate in the class positively and own the various contents of the class among the students. The success of the class of using question depends on whether teacher accept and recognize the method of the using ques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