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ime 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기법을 이용한 Coaxial Cable에서의 결함 감지 및 추정

        송은석,신용준,최덕선,육종관,박진배,Powers, Edward J. 한국항행학회 2003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7 No.1

        본 논문에서는 도선사에서 발생하는 결함 위치와 이상 유무를 감지하는 새로운 고분해능 반사측정법인 시간-주파수 영역반사측정법 (TFDR, Time-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을 제안하였다. 고전적인 반사측정법들은 단지 시간 또는 주파수의 한 영역에서 분석되어져 왔으나, 본 논문에서 제시한 TFDR은 도선의 결함 위치와 이상 유무를 발견하기 위해 과도신호의 시간과 주파수 영역의 정보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시간-주파수 분석기법으로 특성화하였다. TFDR의 기준신호 설계는 측정 케이블의 물리적 성질들을 고려하여 주파수 밴드를 결정하며, 도선의 결함감지와 추정은 시간-주파수 상호상관관계 함수에 의해 이루어진다. TFDR 시스템을 이용하여 여러 결함 상태를 가진 실제 coaxial cable (RG-142, RG-400)에 대해 실험하였고 정확성을 입증하기 위해 TDR (Time Domain Reflectometry) 장비와 성능은 비교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TFDR이 TDR보다 작은 오차로 결함을 찾아냄을 나타내고 있으며, 측정된 정확도는 TFDR의 오차율이 0.5%이하로 TDR (54750A/54754A) 장비보다 성능이 월등히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In this paper, a new high resolution reflectometry scheme, time-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TFDR), is proposed to detect and locate fault in wiring. Traditional reflectometry methods have been achieved in either the time domain or frequency domain only. However, time-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utilizes time and frequency information of a transient signal to detect and locate the fault. The time-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approach described in this paper is characterized by time-frequency reference signal design and post-processing of the reference and reflected signals to detect and locate the fault. Design of the reference signal in time-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is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the frequency bandwidth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cable under test. The detection and estimation of the fault on the time-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relies on the time-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is compared with commercial time domain reflectometry (TDR) instrument. In these experiments provided in this paper, TFDR locates the fault with smaller error than TDR. Knowledge of time and frequency localized information for the reference and reflected signal gained via time-frequency analysis, allows one to detect the fault and estimate the location accurately.

      • KCI등재

        조선 후기 應元·印均派의 활동: 應元, 印均, 三忍

        송은석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0 한국문화 Vol.52 No.-

        The Eungwon-Ingyun School played an active part in creating Buddhist sculptures at the south-east area of Jeolla province in the early-mid 17th century and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schools in Jeolla area like Wono school, Beopryeong school, Muyeom school in the early 17th century, Unhye school, Saeknan school in the late 17th century. The Eungwon-Ingyun School consisted of the master sculptors Eungwon, Ingyun, Samin and assistant sculptors Gohan, Sasun, Seoksam, Sangui, Jagyeong. It was organized in the early 1620s under the leadership of Eungwon and Ingyun and was led by Eungwon in 1620s, Ingyun between 1630s and 1650s, and Samin after 1650s. They created 20 sets or 39 pieces of statues. And the statues made by them had common distinctive features. All of the statues revealed the bodies under heavy clothes, and the clothes on the pedestal were waved like flowing water. Ingyun, creating the almost of all statues of his school, made his distinctive style after studying the style of his predecessor or teacher, Eungwon. His works of art can be divided up into four stages of period by style. The first stage of the Ingyun style was in the early 1630s. The statues made in this period had voluminous faces and bodies, and the sides of their faces were vertical and the bottom of the chins were horizontal. The folds of the draperies were rhythmic. Especially there was a unique expression of wrinkled drapery like waves on the top of the pedestal. The second stage of the Ingyun style was in the late 1630s. The statues of this period had more voluminous chicks and broad chins in faces. The third stage was in 1640s. Faces of statues of this period thinner than former stage, but cheeks were broader and chubbier than former stage too. The fourth stage was in 1650s. The statues of this period had features such as long and thin faces, round chin, small buil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17세기 말-18세기 초 彫刻僧 守一의 造像 활동

        송은석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70 No.-

        The Buddhist sculptu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are studied generally through a process like below: firstly, the stylistic features of Buddha statue which was known sculptor``s name by the record of balwonmun are extracted, secondly, the sculptor of the Buddha statue without record are estimated by making a comparison to the Buddha statue with record, and thirdly, the style of sculptures changing with time are explored. We can estimate who create the statue, and when, for analyzing style, and correct the sculptor and dating of the statue with document wrongly recorded too. In foundational research for estimating the sculptor and dating of the statues, style is a very useful analytical tool. This article is a study on monk sculptor Suil, one of the most important sculpto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his works, and on value and limitation of textual records as art-historical sources. A monk sculptor Suil is newly introduced in the academic community through this article. At the end of the era of rebuilding Buddhist temples and recreating Buddhist statues for about 100 years after the war between Joseon and Japan(1592-1598), Suil created and repaired Buddhist statues at the south part of Korean peninsula. Suil``s early works, except Buddhist statues dated 1675 in Myeongbu-jeon of Sojae-sa temple in Dalseong and Buddhist statues dated 1676 in Myeongbu-jeon of Jeokcheon-sa temple in Cheongdo, are unknown. Ksitigarbha image, a main statue in Myeongbu-jeon, in Sojae-sa is revealed that it is not Suil``s work by formal analysis in this paper. Any textual record about Suil was not known between 1676 and 1695. He repainted in gold on Buddha Triad in Borim-sa at Jangheung in 1695, and created Seven Buddhas and Fifty-three Buddhas in the past in Daeheung-sa at Suncheon in 1702, Amitabha Triad in Simjeok-am at Sacheon in 1703. Buddha images enshrined in Daeheung-sa in Suncheon are now dispersedly enshrined in temples at Seogwipo, Boseong, Namwon, and some Buddha images which were estimated at the belongings of Daeheung-sa temple are found in the temples at Seoul, Jeollanam-do, Jeollabuk-do, etc. As a result of practical completion of reconstructing the temples in the late 17th century, creating new Buddha images decreased steadily, repairing the old statues increased greatly. Suil mainly created new Buddha images in 1670s, however, after the 1690s, he created new Buddha images on the one hand, repaired old images on the other hand. 조선 후기 불상과 조각승에 대한 연구는 아래와 같은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 첫째, 발원문 등의 기록에 의해 조각가가 확인된 불상의 양식적 특징을 추출하며, 둘째, 기록이 없는 불상들은 조각가 기록이 있는 불상들과 비교하여 조각승을 추정하고, 셋째, 조각가의 작풍이 시간에 따른 변화하는 과정을 규명한다. 양식 분석을 통하여 불상을 언제 누가 만들었는지 알 수 있다. 또한 잘못된 기록에 의한 조각가와 제작 연대의 왜곡을 바로잡을 수도 있다. 불상의 조각가와 제작 시기를 판단하는 기초 연구에서 “양식”은 매우 중요한 분석 도구인 것이다. 이 글은 조선 후기의 주요 조각승들의 하나인 수일과 그의 작품 활동을 고찰한 연구이자, 불상에 수반한 문자 기록의 미술사 사료로서의 가치와 한계에 대한 연구이기도 하다. 조각승 수일은 이번 논문을 통해 학계에 처음 보고된 새로운 조각가이다. 그는 임진왜란 종전 이후 100여 년 동안 전국적으로 벌어진 사찰 재건기의 끄트머리인 17세기 말부터 18세기 초 사이에 경상도와 전라도 일대에서 불상을 만들고, 수리하고, 개금하는 작업을 하였다. 수일의 초반기 작품은 현재 1675년의 달성 소재사 명부전의 제 존상과 1676년의 청도 적천사 명부전의 제 존상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중 소재사의 지장상은 수일의 작품이 아닌 것으로 이번 논문을 통해 밝혀졌다. 수일의 작품이 확실한 소재사의 시왕상과 적천사의 지장상을 소재사 지장상과 비교 분석한 결과에 의한 것이었다. 수일은 1676년 적천사 명부전 존상들을 조성한 이후 1702년과 1703년에 전남 순천 대흥사와 경남 사천 심적암에서 각각 과거칠불·오십삼불상과 아미타삼존상을 제작하였는데, 그 사이 25년 동안 불상을 조성한 기록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순천 대흥사에 봉안되었던 불상들은 현재 서귀포, 보성, 남원 등지의 사찰에 흩어져 봉안되어 있으며, 대흥사에 봉안되었던 불상으로 추정되는 불상들도 서울, 전라남도, 전라북도 등지에 흩어져 봉안되고 있음이 양식 분석을 통해 새롭게 확인되었다. 수일은 1670년대에 불상을 새로 조성하는 작업을 주로 하다가, 1690년대 이후에는 불상 조성과 함께 개금, 중수 등을 병행하였다. 17세기 후반 사찰의 재건 및 중창 사업이 거의 완료된 결과, 새로운 불상을 조성하는 일은 줄어든 대신 오래된 불상을 수리하는 일이 크게 증가하였기 때문이었다.

      • KCI등재

        조선 후기 佛殿 내 儀式의 성행과 佛像의 造形性

        송은석 한국미술사학회 2009 美術史學硏究 Vol.263 No.263

        In this study, I argu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Buddha statues of late Joseon, such as the disproportionately large head, slightly bent upper body and the overall lack of sculptural depth and sense of volume, are the direct result of various practical considerations related to religious services performed within the sanctuaries in which they were housed.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 reached such a level in late Joseon that lectures and rituals were frequently held in various temples across the country, with a large contingent of faithful attending. As a result, Buddhist sanctuaries soon proved too small to hold all the participants. They added on a veranda to extend the space and placed the altar, its wall and columns further into the back of the hall to create additional room. Another problem with the spatial constraints was that the faithful were brought much closer to the Buddha statue, creating an effect of familiarity with a sacred representation that ran contrary to the awe and reverence owed to Buddha. What it appears was done to remedy this issue was to elevate the altar, to create further distance and force the faithful to look up to the Buddha statue. In late Joseon, the statue of Buddha was placed at a height of about 2m from the floor, in a position more elevated than previously, by almost 1m. Buddhist sculptures of late Joseon were frequently characterized as having a disproportionately large head with both the head and upper body stooped, and lacking the sense of volume and bodily details so much so that they appear almost as though square pillars. While the deficit in sense of volume and depth was a consistent trend among Joseon sculptures, continuously observed since the late Goryeo Dynasty, the disproportionately large head and upper body and the stooped posture are characteristics that are only seen in late Joseon Buddha statues. These new features, emerged during late Joseon, may have been the consequences of the narrow and crowded space of Buddhist sanctuaries and the elevated position of the Buddha statue forcing the faithful to view the statue from a steep vertical angle. Given this particular angle of view, late-Joseon sculptors of Buddhist statues may have wanted to make Buddha’s face appear gentler and more merciful. If occasioning close communication between the worshipper and the worshipped deity is the foremost goal of placing a Buddhist statue inside a worship hall, late Joseon Buddhist sculptures should be considered as successfully meeting this goal. 이 글은 조선 후기 불상이 몸에 비해 머리가 크며, 상체가 구부정하고, 신체의 양감과 입체감이 줄어든 이유가 불전 내부 여러 요소들의 상호 영향에 의한 것임을 밝힌 논고이다. 조선 후기에는 불교의 대중화 정책으로 불전 안에서 법회와 의식이 자주 실행되었으며, 많은 신도들이 불전에서 행해진 법회에 참석하였다. 이는 곧 불전 내부 공간의 부족으로 이어졌는데, 마루를 전면적으로 설치하고, 불단과 후불벽 그리고 내부 기둥을 뒤쪽으로 물리는 작업을 통해 부족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불전 내부에서 법회와 의식이 자주 행해지면서 일반 신도들은 불전 안 가까운 거리에서 성스런 불상을 마주하게 되었는데, 이는 곧 예배상에 대한 외경심이 약화되는 부작용을 초래하였다. 불단에 보조적인 壇을 더하고 대좌를 높인 작업은 불상을 보다 높은 곳에 봉안함으로써 외경심을 회복하려는 조치였다고 이해된다. 좁은 불전 안에서 2m 가량의 매우 높은 위치에 봉안된 조선 후기 불상은 1m 내외의 낮은 대좌에 봉안되었던 이전의 불상들과 조형에서 차이가 생겨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조선 후기 불상은 신체에 비해 머리가 크고, 상체와 머리를 숙이고 있으며, 신체의 양감이 줄어들었으며, 사각기둥을 쌓아 놓은 듯 입체감이 약한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양감과 입체감이 줄어든 조형은 고려 말 이후로 지속되어 온 조선시대 조각의 일반적인 경향으로 판단되는데, 상체와 머리가 큰 신체 비례와 상체와 머리를 숙이고 있는 모습은 조선 후기 불상만의 특징이다. 이런 특징은 높이 봉안된 불상의 바로 아래에서 올려다 볼 예배자들에게 불상의 원만한 상호를 보여주고자 하는 조각가들의 배려와 고심의 결과였을 것이다. 예배자와 예배상 사이의 종교적 교감을 이루게 해주는 것이 불상 봉안의 가장 중요한 목적이라면, 조선 후기 불상들은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조각가의 노력이 매우 잘 반영된 조각품일 것이다.

      • KCI등재

        1622년 慈壽寺⋅仁壽寺의 章烈王后 發願 佛事와 안동 선찰사 목조석가불좌상

        송은석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7 石堂論叢 Vol.0 No.67

        The wooden Śākyamuni statue enshrined in Seonchal-sa Temple of Andong is one of the eleven Buddhist statues, which were enshrined in Jasu-sa Temple or Insu-sa Temple for the resigned royal concubin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near royal palace, Gyeongbok-gung, in Seoul. These eleven statues were created by the most famous and talented monk-sculptors, Hyeonjin, Suyeon, Eungwon and so on, at that time and sponsored by the Queen Jangyeol, wife of the King Gwanghae, in 1622. A Huryeongtong (ritual container), a written prayer, a women's Jeogori (jacket), Dhāraṇīs, and written papers were found from the belly of the statue. A written prayer contained various important information such as the time when the Buddhist statue was created, the sponsors, the purpose of the creation, and the names of the sculptors. In addition, we could recognize the situation of the Royal Buddhism and the activities of the Buddhist sculptors all over the country in the late period of King Gwanghae. It was confirmed that the Śākyamuni statue of the Seonchal-sa Temple, unlike the Vairocana statue of the Jijang-am Hermit had a mixed sculptural style of Hyeonjin, Eungwon, and Suyeon and so on, was composed of Hyeonjin style only. So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bination of the sculptors from various monk-sculptors' schools was in various ways, and the style of the statues was in various ways too. 622년 광해군의 正妃인 章烈王后가 발원하여 자수사와 인수사에 봉안하였던 11존상 중의 하나인 안동 선찰사 목조석가불좌상은 당대 최고의 聲價를 구가하던 조각승들인 현진, 수연, 응원 등에 의하여 조성된 불상이다. 선찰사 불상이 서울 지장암 목조비로자나불좌상, 서울 칠보사 목조석가불좌상 등 함께 조성된 불상들에 비하여 크기는 작지만, 작품의 완성도는 떨어지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복장에서 후령통, 발원문, 저고리, 다라니, 筆寫된 종이 등이 발견되었으며, 발원문을 통하여 불상의 조성 시기, 후원자, 조성 목적, 조각가 이름 등 다양하고 중요한 정보를 읽어낼 수 있었다. 또한 이미 발견되어 조사된 지장암 비로자나불상과 칠보사 석가불상 발원문과 비교하여 광해군 말기 왕실 불교의 상황과 조선 전국의 불상 조각가의 상황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었다. 선찰사 석가불상과 함께 조성된 지장암 비로자나불상에 현진, 응원, 수연 등 여러 조각승들의 조각 양식이 반영되었던 것과 달리, 선찰사 석가불상은 칠보사 석가불상처럼 거의 현진 양식만으로 조성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여러 조각승 유파가 참여하였던 대단위 불사 속에서도 참여한 조각승 유파의 다양한 조합에 의해 다양한 양식의 불상들이 조성되었다는 사실도 확인되었다.

      • KCI등재후보

        TFDR 기법을 이용한 Coaxial Cable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결함 감지 및 추정

        송은석,신용준,육종관,박진배 한국전자파학회 2003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14 No.10

        본 논문에서는 도선상의 결함 감지 및 추정 방법인 고분해능 시간-주파수 반사측정기법(time-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관측된 신호를 시간과 주파수 영역에서 동시에 분석 가능한 시간-주파수 상호 상관 관계(time-frequency cross correlation) 특성을 채택하였다. 제안된 방법인 TFDR의 정확도는 고주파용 coaxial cable을 가지고 실험을 통하여 기존의 방식들과 비교 검증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의 다양한 결함들에 대한 감지 및 추정 결과, 기존의 방법에 비해 월등하다는 것을 명백히 나타내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high-resolution time-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technique as a methodology of detection and estimation of faults on a wire. This method adopts the time-frequency cross correlation characteristics of the observed signal in both time and frequency domains simultaneously. The accuracy of the proposed method is verified with experiments using a RG type coaxial cable and comparing it with traditional time domain as well as 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methods. It is clearly shown here that the proposed algorithm produces excellent result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s for single as well as multiple fault cables.

      • KCI등재

        고층 건축물의 기둥축소량 계측-예측의 비교를 통한 해석보정 방안

        송은석,김재요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9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32 No.6

        본 논문에서는 해석결과를 보정하여 고층 건축물의 기둥축소 예측값과 실제값 간의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해석보정법이 제안되었다. 이를 위하여 41층 규모의 철근 콘크리트 건물에 대한 시공단계해석이 수행되었으며, 해석결과는 기둥과 코어로 나뉘어 네 가지의 가정된 계측결과들과 비교되었다. 해석보정은 기둥에서는 오차 한계를 넘어서는 시공단계에서 코어에서는 모든 시공단계에 적용되었으며, 해석이 보정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오차가 발생하므로 해석보정이 자주 수행될수록 오차는 감소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제안된 해석보정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장기적인 축소값이 실제값과 유사하게 예측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an analytical method was proposed to correct the analysis results and minimize the errors between column shortening predictions and real values in high-rise buildings. In this regard, the construction sequence analysis of 41-story reinforced concrete buildings was performe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to four assumed field measurements that were divided into the column and the core. The analysis correction was applied at a stage over the error limit in the column and at all stages in the core. Since the error occurred continuously after the analysis was corrected, additional corrections of the analysis resulted in a smaller error. By applying the proposed analytical correction method, it was confirmed that the long-term shortening value can be accurately predi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